• Title/Summary/Keyword: Lactobacillus sp.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26초

세균성 시들음병에 대한 식물성 유산균(Lactobacillus sp.)의 저해효과 (Antagonistic Effect of Lactobacillus sp. Strain KLF01 Against Plant Pathogenic Bacteria Ralstonia solanacearum)

  • 아누파마슈레스타;최규업;임춘근;허장현;조세열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5-53
    • /
    • 2009
  • KLF01으로 명명된 세균이 토마토의 뿌리에서 분리 되었고 생화학적, 유전학적 검증을 통해 Lactobacillus sp.로 동종 되었다. In vitro 실험에서 식물성 세균인 Ralstonia solanacearum를 비롯하여, Xanthomonas axonopodis pv. citri,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 Eriwinia pyrifoliae, Eri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group에게도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추와 토마토를 이용한 in vivo 실험에서는 특히 R. solanacearum에 대해 대조구와 비교 시들음병의 진행을 저해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김치분리균주 Lactobacillus sp.를 Starter로 한 발효생식 제조에서의 위생미생물 살균효과 (Effects of Fermentation to Improve Hygienic Quality of Powdered Raw Grains and Vegetables Raw Grains and Vegetables Using Lactobacillus sp. Isolated from Kimchi)

  • 김동호;송현파;변명우;차보숙;신명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65-769
    • /
    • 2002
  • 김치로부터 분리 된 Lactobacillus sp.를 starter로 한 생식의 발효과정 에서 위생미생물의 살균 및 일반품질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험에 사용한 생식분말 현탁액의 coliform group과 SS agar분리 미생물은 각각 2.3$\times$$10^3$ cfu/mL, 8.6$\times$$10^3$ cfu/mL으로 분포하여 위생미 생물의 오염 가능성이 컸다 발효생식 에 starter로 접종한 Lactobucillus sp.는 발효초기 1.1 $\times$ $10^3$ cfu/mL에서 발효 48시간 이후 107 cfu/mL수준으로 증식하였으며 coliform group과 SS agar분리 미생물은 발효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발효 48시간 이후에는 거의 사멸되었고 60시간 이후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발효생식의 pH는 발효초기 6.8에서 발효 48시간 후 PH 4.0 이하로 낮아졌고 산도는 발효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발효 48시간이 경과한 발효생식 현탁액, 2% lactic acid수용액, 그리고 pH 7.3으로 중화시킨 발효생식 현탁액을 E. coli sp.와 Salmonella sp.에 처리한 결과 발효생식의 현탁액을 처리한 시험구의 살균효과(D value≒6 min)가 lactic acid 처리구(D value≒6 min) 및 중성 pH의 발효생식 현탁액(1) value ≒120 min)에 비하여 높아 김치 분리균주 Lactobacillus sp.가 생산하는 bacteriocin의 살균작용이 lactic acid를 비롯한 유기산과 복합자용에 의하여 상승작용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멸치 젓갈로부터 r-Aminobutyric Acid(GABA)를 생성하는 Lactobacillus 속의 분리.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obacillus sp. Produced r-Aminobutyric Acid(GABA) from Traditional Salt Fermented Anchovy)

  • 전재호;김현대;이홍수;류병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2-79
    • /
    • 2004
  • 멸치젓갈로부터 ν-aminobutyric acid(GABA)을 생성하는 유산균주를 분리 동정하였다. 멸치젓갈로부터 분리한 9종의 유산균 중 GABA 생산능이 우수한 균주를 순수 분리하여 형태학적 특성과 gram positive identification(GPI) card 와 API 50kit로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brevis BH-21, Lactobacillus rhamnosus BH-28 및 Lactobacillus plantarum BH-38로 동정하였다. 이들 Lactobacillus 속 균주중 Lactobacillus brevis BH-21이 GABA생성능력이 제일 우수하였고, GABA 생성함량은 배지(0.1% glucose, 0.1% yeast extracts, 0.05% polypeptone, 0.002 % MgSO$_4$$.$4$H_2O$, 0.001% FeSO$_4$$.$7$H_2O$, 0.01% NaCl, 0.1% monosodium glutamate, pH 6.0)에서 Lactobacillus brevis BH-21을 배양하였을 때, 배양 24시간에 43.2mg/mL의 GABA을 생성하였다.

프로바이오틱스 생산 exopolysaccharide에 의한 항염증 활성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robiotic-produced Exopolysaccharide)

  • 이승훈;권민정;강형택;정정욱;김병오;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09-71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식품원으로부터 7종류의 프로바이오틱스를 분리하여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하였으며, 그 결과 Bacillus sp.와 Lactobacillus sp.로 확인되었다. 먼저 LPS로 활성화 된 RAW 264.7 세포주에 7종의 균주 배양액을 처리한 후, nitric oxide (NO) 생성을 측정하였다. 처리한 균주의 배양액 중 Bacillus sp. FG-1과 Lactobacillus sp. FG-6 균주의 배양액 처리군에서 현저하게 NO 생성이 저해되었다. 또한, 이들의 처리에 의해 COX-2, iNOS 그리고 TNF-α와 같은 pro-inflammatory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되었다. 균주가 생산하는 여러 물질중 exopolysaccharide (EPS)가 항염증 활성과 관련이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두 균주로부터 EPS를 분리하여, 이들이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두 균주가 생산하는 EPS가 NO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고, pro-inflammatory 유전자의 발현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EPS가 프로바이오틱스가 생산하는 여러 물질 중 항염증 활성의 핵심물질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저염 물김치의 미생물균총 특성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ow Salt Mul-kimchi)

  • 오지영;한영숙;김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02-508
    • /
    • 1999
  • 염 농도$(0{\sim}3%)$와 발효 온도$(4,\;15,\;25^{\circ}C)$를 달리 하였을 때 물김치의 미생물 균총의 특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 물김치의 경우 총 균수는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염 농도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배추 물 김치의 경우 염 농도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Lactobacillus, Lenconostoc 속 균수는 염 농도 1.0% 숙성 김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배추 물김치는 $4^{\circ}C$에서 염 농도 3.0% 시료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그 외 시료들은 온도별, 염 농도별 큰 차이가 없었다. Streptococcus 속과 Pediococcus 속은 Leuconostoc, Lactobacillus속 보다 낮은 분포를 보였고, 염 농도 1.0% 숙성 김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배추 물김치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대장균수와 Gram (-)균수는 염 농도 3.0% 김치가 균수도 적었고 초기에 증가하였다가 젖산균이 증식하여 산도가 증가하면 그 수가 감소되었다. 효모는 발효 초기에는 발견되지 않다가 발효 후기에 증가하였으며 온도와 염 농도가 높을수록 균수가 증가하였다. 배추 물김치에서도 $15,\;25^{\circ}C$에서 염 농도가 높은 시료에서 비교적 높게 계수되어 무 물김치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배추 물김치의 경우 초기부터 효모가 계수되어 주재료간 차이를 보였다. 각각의 선택배지에서 순수분리, 동정된 균은 무 물김치의 경우 젖산균류는 염 농도 0.2% 김치에서는 Lactobacillus plantarum, L. pentosus, Leuconostoc citrum, 염 농도 1.0% 김치에서는 L. plantarum, L. pentosus, Leu.mes.ssp.mesenteroides/dextranicum, Streptococcus facium이 동정되었고, 염 농도 3.0% 김치에서는 L. plantarum, L. brevis, Leu. mes.ssp.mesenteroides/dextranicum, Str. facium이 각각 분리 동정되었으며 Pediococcus는 미확인되었다. Gram (-)균과 효모는 공통적으로 Gram (-)균으로는 Aeromonas hydrophila, 효모로는 Candida pelliculosa가 각각 분리 동정되었다. 배추 물김치의 경우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citrum, Leu. mes.ssp.mesenteroides/dextranicum, Streptococcus facium이 동정되었으며, Pediococcus는 역시 미확인되었다. Gram (-)균은 Pseudomonas fluorescens, Pseu. aureofaciens가 각각 분리 동정되어 주재료간 차이를 보여주었다.

  • PDF

시판 한식간장 염도와 간장 미생물 다양성 및 바이오제닉 아민 농도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Salt Content, Microbial Diversity, and Biogenic Amine Concentration in Commercial Ganjang)

  • 하광수;이란희;류명선;서지원;김진원;양희건;박영경;정도연;양희종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531-539
    • /
    • 2024
  • 식품의 바이오제닉 아민은 아미노산 탈탄산화 반응에 의해 생산되며, 알레르기, 소화 문제 및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식품의 바이오제닉 아민의 함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장의 염도가 미생물 다양성과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간장의 염도는 종 추정치 및 종 풍부도 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lpha-diversity 지수는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간장의 염도가 증가함에 따라 histamine과 tyramine의 함량이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간장의 염도를 기반으로 미생물 분포와 바이오제닉 아민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Lactobacillus sp.와 Bacteroids sp.의 분포는 염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이오제닉 아민의 함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Tetragenococcus sp., Chromohalobacter sp.와 Halomonas sp.의 분포는 염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이오제닉 아민의 함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간장의 염도 범위 내에서 염도가 증가함에 따라 Lactobacillus sp., Bacteroides sp. Streptococcus gallolyticus, Pseudomonas sp.의 분포가 증가하였으며, 이들 미생물 분포의 증가는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의 감소 또는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와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Lactococcus sp. HY 449가 생산하는 Bacteriocin의 Lactobacillus fermentum IFO 3023에 대한 억제작용 (Mode of Action of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coccus sp. HY 449 against Lactobacillus fermentum IFO 3023)

  • 김상교;이상준;백영진;박연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66-270
    • /
    • 1994
  • A bacteriocin was isolated from the supernatant fluid of M17G broth culture of Lactococcus sp. HY 449 strain, which showed stro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growth of selective indicator strain, Lactobacillus fermentum IFO3023. When the bacteriocin wasa added to the growing indicator cells or cell suspensions, viable cells and optical density were density were decreased, indicating bacteriolytic mode of action.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f indicator cells treated with bacteriocin revealed apparent damages on the cell surface and eventual lysis of cell walls.

  • PDF

Halophilic lactobacillus sp. HL-48균주와 젖산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 방법 (Fermentation Method of Kimchi Using Halophilic Lactobacillus sp. HL-48 and Lactic Acid)

  • 최경숙;성창근;김명희;오태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6-251
    • /
    • 1999
  • To extend the storage period and to inhibit contamination of Kimchi by Escherichia coli, conditions of Kimchi brining and effects of the fermentation starter, halophilic Lactobacillus HL-48 were investigated. Optimum brining condition for Kimchi was accomplished in 15% NaCl and at pH2.5-3.0 adjusted by lactic acid. Starter-treated Kimchi showed pH 4.2 after 18hr fermentation, while the pH of starter-untreated Kimchi resulted in 3.3. After 36hr fermentation, the number of E. coli in starter-treated Kimchi was found clearly to decrease and not detected macroscopically, but contamination of E. coli (5.3$\times$103CFU/ml) was observed in starter-untreated sample. Organic acids in Kimchi contained organic acids such as 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and lactic acid. among ther, lactic acid content was remarkably high in the early fermentation stages. However, from 24hr fermentation, lactic acid content of starter-untreated Kimchi was higher than that of starter-treated Kimchi.

  • PDF

유산균 접종에 의한 하수 슬러지의 가용화 (Solubilization of Sewage Sludge by Inoc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 양현상;최정은;이은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33-239
    • /
    • 2008
  • A new approach to the solubilization of excess activated sludge by the inoc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was studied to reduce the amount of sludge produced in the activated sludge treatment process. Aerobic microorganism in sludge was lysed in anaerobic condition and the cytoplasmic substance eluted was utilized as a carbon source by lactic acid bacteria. On the basis of sludge solubilization efficiency, Lactobacillus brevis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were selected the best candidates among five kinds of Lactobacillus sp. and seven kinds of Leuconostoc sp. The sludge solubilization efficiency by heter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 was more efficient than that of homofermentative bacteria. Initial value of soluble COD (sCOD) was 1050 mg/L at the initial inoculation time increased to 3070 mg/L (192% solubilization) at 96 h of the incubation time. The inoculation of lactobacillus brevis to the sludge resulted in 2824% increase in sCOD value after 96 h of incubation than the control experiment.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showed 152% increase of solubilization and 30% increase of S-COD/T-COD on 96 h of incubation time. Considering the increase of S-COD by the inoculation of Leuconostoc sp. on 24 h, 10% inoc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to the sludge was most effective.

Optimum Conditions for the Biological Production of Lactic Acid by a Newly Isolated Lactic Acid Bacterium, Lactobacillus sp. RKY2

  • Wee Young-Jung;Kim Jin-Nam;Yun Jong-Sun;Ryu Hwa-Wo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1호
    • /
    • pp.23-28
    • /
    • 2005
  • Lactic acid is a green chemical that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biodegradable polymer. To produce lactic acid through microbial fermentation, we previously screened a novel lactic acid bacterium. In this work, we optimized lactic acid fermentation using a newly isolated and hom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um. The optimum medium components were found to be glucose, yeast extract, $(NH_4)_{2}HPO_4,\;and\;MnSO_4$.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a batch culture of Lactobacillus sp. RKY2 was found to be 6.0 and $36^{\circ}C$, respectively. Under the optimized culture conditions, the maximum lactic acid concentration (153.9 g/L) was obtained from 200 g/L of glucose and 15 g/L of yeast extract, and maximum lactic acid productivity ($6.21\;gL^{-1}h^{-1}$) was obtained from 100 g/L of glucose and 20 g/L of yeast extract. In all cases, the lactic acid yields were found to be above 0.91 g/g. This article provides the optimized conditions for a batch culture of Lactobacillus sp. RKY2, which resulted in highest productivity of lactic ac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