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plantarum A

검색결과 590건 처리시간 0.025초

Leuconostoc paramesenteroides의 내산성 변이주로의 개량과 starter로의 첨가효과 (Strain Improvement of 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as a Acid-Resistant Mutant and Effect on Kimchi Fermentation as a Starter.)

  • 김영찬;정은영;김은해;정대현;이옥숙;권태종;강상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1-160
    • /
    • 1998
  • 김치로부터 Leu. paramesenteroides의 야생균주 Pw를 분리하여 내산성 변이균주 P-100으로 개량하였다. 야생균주 Pw는 HCI로 조정한 pH 4.0이상에서부터 증식하였으며, 유기산 혼합용액으로 조정한 pH 4.0에서는 증식하지 못하였다. 변이균주 P-100은 HCI로 조정한 pH 3.8 이상부터 증식하였으며, 유기산 혼합용액으로 조정한 pH 4.0에서부터 증식하였다. 내산성으로 개량한 변이균주 P-100과 야생균주 PW를 starter로 김치에 첨가하여 1$0^{\circ}C$에서 발효시킨 결과를 보면, 무첨가군에 비해 야생균주 Pw 첨가군은 2.25배, 변이균주 P-100 첨가군은 2.67배 정도의 산패지연 효과를 나타내었다. 유기산 함량의 변화에서도 숙신산 및 아세트산 함량이 변이균주 P-100 첨가군과 야생균주 Pw 첨가군에서 무첨가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젖산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관능검사에 있어서 전체적인 기호도의 경우, 숙성 21일째 첨가군에서 무첨가군보다 매우 높은 기호도 점수(4.0)를 얻었다. 김치 발효 기간중 Leuconostoc 속 균수는 내산성 변이균주 P-100 첨가군, 야생균주 Pw 첨가군, 그리고 무첨가군의 순이였으며, Lactobacillus 속 균수는 이와 반대를 보여 lactobacillus 속 균이 생육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상 젖산 발효균으로서 산 생성 수율이 낮고 풍미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내산성 변이균주 Leu. paramesenteroides P-100을 starter로 첨가함으로써 발효말기까지 Lac. plantarum과 경쟁적으로 생육이 가능하여 김치 가식 기간의 연장과 함께 기호도가 증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녹각 및 목이버섯의 젖산발효를 통한 GABA 생산 및 항염증활성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GABA production of old antler and Auricularia auricula-judae extract fermen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 권순영;황기;이삼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74-28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젖산발효를 통해서 얻어진 목이버섯과 녹각 추출액 혼합물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녹각 추출액의 GABA생성 최적조건에서 probiotics 및 기능성 강화를 위해 목이버섯을 2.5% 첨가하여 $30^{\circ}C$에서 7일간 젖산발효를 하였다. 발효 7일 pH 5.06, 산도 0.77%로 나타났으며 $1.3{\times}10^8CFU/mL$로 높은 균수를 유지하였고 GABA를 1.4%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이버섯을 첨가했을 때 젖산균 발효물의 물성이 개선되며 단기간에 고농도의 GABA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각 추출액의 젖산발효물의 세포 생존율을 실험한 목이버섯 2.5% 조건에서 발효 전 6 mg/mL에서 독성이 나타났으나 발효 후 독성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 후 6 mg/mL 농도에서는 $5.58{\mu}M$로 발효 후 NO 생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녹각 추출액과 목이버섯 혼합물의 젖산균을 이용한 정치배양을 통해 단기간에 고농도의 GABA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젖산 발효물은 세포독성 완화 효과 및 NO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효물은 GABA, probiotic, 식이섬유 등을 함유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양어 사료첨가제로서의 유산균 발효 개똥쑥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Lactobacillus-fermented Artemisia annua L. as a Potential Fish Feed Additive)

  • 이아란;우개민;강수경;한성구;이봉주;김수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52-660
    • /
    • 2017
  • 최근 양어에서는 전염병, 환경오염, 어분 가격 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쑥에서 분리한 L. plantarum SK3494를 이용하여 전통 약초인 개똥쑥을 발효시켜 in vitro 생리활성을 측정하고 어류용 사료첨가제로서의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개똥쑥의 발효시 유산균수는 9.38 log10 CFU/ml이며, pH는 4.1로 나타났다. 발효개똥쑥의 항산화활성은 DPPH 측정과 MAC-T 세포 내 과산화물 감소 실험에서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 발효개똥쑥은 어류 병원균인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와 Vibrio ichthyoenteri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유산균을 이용한 개똥쑥 발효물은 양식용 사료첨가제로써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Pediococcus pentosaceus strains from kimchi in weaned piglet challenged with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enterica

  • Dongcheol Song;Jihwan Lee;Kangheung Kim;Hanjin Oh;Jaewoo An;Seyeon Chang;Hyunah Cho;Sehyun Park;Kyeongho Jeon;Yohan Yoon;Yoonjeong Yoo;Younghyun Cho;Jinho C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3호
    • /
    • pp.611-626
    • /
    • 2023
  • Escherichia coli (E. coli) and Salmonella enterica (SE) infections in pigs are major source associated with enteric disease such as post weaning diarrh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diococcus pentosaceus in weaned piglets challenged with pathogen bacteria. In Experiment.1 90 weaned piglets with initial body weights of 8.53 ± 0.34 kg were assigned to 15 treatments for 2 week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wo trials in a 2 × 5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consisting of two levels of challenge (challenge and non-challenge) with E. coli and SE, respectively and five levels of probiotics (Control, Lactobacillus plantarum [LA], 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WK1 [38W], Pediococcus acidilactici K [PK], Lactobacillus reuteri PF30 [PF30]). In Experiment.2 a total of 30 weaned pigs (initial body weight of 9.84 ± 0.85 kg) were used in 4 weeks experiment. Pigs were allocated to 5 groups in a randomized complete way with 2 pens per group and 3 pigs per pen. Supplementation of LA and 38W improved (p < 0.05)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pathogen bacteria count, fecal noxious odor and diarrhea incidence.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38W strains isolated from white kimchi can act as probiotics by inhibiting E. coli and SE.

Effects of Bacterial Inoculants and Cutting Height on Fermentation Quality of Barley Silage

  • Lee, Hyuk Jun;Kim, Dong Hyeon;Amanullah, Sadar M.;Kim, Sam Churl;Song, Young Min;Kim, Hoi Yu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63-168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cterial inoculation (Lactobacillus plantarum) and cutting height on the chemical compositi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in whole crop barley silage. Barley forage (Youngyang hybrid) was harvested at about 27% of dry matter (DM) level at two different cutting height (5 vs. 15 cm). And it was chopped to 5 cm length and treated with or without L. plantarum. Four replicates of each treatment were ensiled into 10 L mini silo (3 kg) for 100 days. After 100 days, bacterial inoculation decreased (p=0.001) DM content, while increased cutting height increased (p=0.002) DM in uninoculated silage. Crude protein (CP) concentration was decreased by increasing height in uninoculated silage (8.84 vs. 8.16) but increased in inoculated silage (8.19 vs. 8.99). Both neutral detergent fiber (NDF) (p<0.011)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p<0.004) were decreased by increasing cutting height of forage at harvest. The IVDMD and ammonia-N was increased (p=0.001) by increasing cutting height and inoculation, respectively. Lactic acid bacteria (LAB) was increased (p=0.002) in inoculated silage, but yeast count was decreased (p=0.026) in uninoculated silages. It is concluded that increased cutting height of forage at harvest could be useful to make a fibrous portion with increase of dry matter digestibility of silages.

김치유래 Lactic acid bacteria에 의한 양배추 즙의 발효특성 (Characteristics of Cabbage Juice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 임혜은;오유리;김나영;한명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1-408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bbage juice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sakei SL1103, Lactobacillus plantarum LS5, and mixed starter). Cabbage juice was inocul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and fermented at 30 for 72 hrs. Changes in lactic acid bacteria number, pH, titratable acidity, Brix, and color during fermentation were analyzed. After fermentation for 24 hrs, cabbage juice fermented by mixed starter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9.45 log CFU/mL). The pH of all cabbage juice also decreased to 3.88~4.19 sharply, while cabbage juice fermented by Lac. sakei SL1103 showed the highest Brix ($8.38^{\circ}Bx$). Cabbage juice fermented by mixed starter showed the highest L value (56.83). In the sensory evaluation, cabbage juice fermented by a mixed starter (Leu. mesenteroides, Lac. sakei SL1103, and Lac. plantarum LS5)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s in tast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refore, cabbage juice fermented by mixed starter (Leu. mesenteroides, Lac. sakei SL1103 and Lac. plantarum LS5) has the highest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fermented cabbage juice as an excellent bioactive functional food.

사료 내 Prebiotic, Probiotics와 Synbiotic의 첨가가 대왕붉바리(Epinephelus akaara ♀×Epinephelus lanceolatus ♂)의 성장, 비특이적 면역력, 항산화능, 장내 미생물 조성과 항염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ebiotic, Probiotics and Synbiotic on Growth, Nonspecific Immunity, Antioxidant Capacity, Intestinal Microbiota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Hybrid Grouper (Epinephelus akaara ♀×Epinephelus lanceolatus ♂))

  • 김원훈;임종호;강민주;노충환;이경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850-860
    • /
    • 2023
  • The effects of dietary mannan oligosaccharides,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licheniformis supplementation on hybrid grouper Epinephelus akaara ♀×Epinephelus lanceolatus ♂ were evaluated. The fish were fed a basal diet and five other diets consisting of 0.6% mannan oligosaccharides, L. plantarum, B. subtilis, and B. licheniformis and mixture of each 0.15% prebiotic and all the probiotics (designated as MOS, LP, BS, BL, and SYN) for 56 days. Growth performance and feed utiliz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Lipid level of whole-body was significantly high in MOS and BL groups. Plasma aspartate aminotransferase was significantly low in BL and SYN groups. Nitro-blue tetrazolium, lysozyme and anti-prote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in BS, SYN, and all probiotic groups,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high. Intestinal Vibrio bacteria was significantly low in all probiotic and SYN groups. Gene expression of interleukin-1β and interleukin-10 in SYN group;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2 in MOS and BS groups, toll-like receptor 2-2 in BS and BL groups; and C-type lectin in MOS, LP and SYN groups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Our findings indicate that mannan oligosaccharides, L. plantarum, B. subtilis, and B. licheniformis could improve innate immunity, antioxidant capacity, anti-inflammation, and intestinal microbiota of hybrid grouper.

프로바이오틱스 혼합물의 in vitro에서의 안전성 및 탄수화물 소화 저해 효능 평가 (In vitro safety and efficacy of probiotics mixture on carbohydrate digestion inhibition)

  • 서은솔;우장빈;서민영;우정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38-545
    • /
    • 2023
  • 본 연구는 probiotics mixture(Lactobacillus acidophilus PBS066(DSM 24936),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PBS067(DSM 24937), Limosilactobacillus reuteri PBS072(DSM 25175))의 안전성 및 탄수화물 소화 효소 저해 효과를 in vitro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균주는 유럽식품안전처(EFSA) 지침에서 권장하는 항생제 내성 프로필을 충족시켰으며, 모든 균주는 용혈 활성 및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Probiotics mixture, L. plantarum PBS067 그리고 L. reuteri PBS072는 α-amylase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robiotics mixture와 이의 균주 3종 모두 α-glucosidase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본 연구에 사용한 probiotics mixture 및 이의 단일 균주 3종의 안전성과 탄수화물 소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probiotics mixture 이의 단일 균주 3종은 섭취하여도 안전하며 섭취 시 체내 탄수화물 대사를 잠재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자미 식해 발효에서 Lactobacillus brevis GS1022과 Pediococcus inopinatus GS316의 균총 변화 연구 (Change in Lactobacillus brevis GS1022 and Pediococcus inopinatus GS316 in Gajami Sikhae Fermentation)

  • 임수정;배은영;설민경;조영제;정희영;김병오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91-500
    • /
    • 2020
  • 유산균은 장 건강, 심장질환, 우울증, 비만 등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다고 널리 알려져 있고, 특히 한국은 다양한 발효식품에서 유산균을 섭취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 발효식품에서 분리된 유산균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김치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어류 전통 발효식품인 식해류의 유산균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인 가자미 식해의 발효에 관여하는 유산균의 배양일에 따른 균총의 변화를 관찰하고, 가자미 식해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로 이용 가치가 있는 균을 분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포항의 가정집에서 제조된 가자미 식해에서 유산균을 제조일로부터 50일까지 5일 간격으로 분리하고 동정하였고, 동정 결과 P. pentosaceus, P. inopinatus, Lc. mesenteroides, L. brevis, L. plantarum 5개 균주가 발효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초기 발효에는 Pediococcus sp.가, 중기 이후부터는 Lactobacillus sp.가 우세하게 발효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리한 유산균 중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가지는 균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산내성, 담즙산 내성 시험을 통해 균주를 선별한 뒤 응집능, 표면 소수성,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가자미 식해 분리 균주 중 최종적으로 선택된 소화액 내성이 뛰어난 L. brevis GS1022와 응집능이 뛰어난 P. inopinatus GS316은 프로바이오틱 균주로 이용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한국전통식품 김치로부터 분리한 유산균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ood Kimchi)

  • 김다영;김홍석;유정식;조윤아;김철현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8권2호
    • /
    • pp.89-9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 음식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한국의 전통 발효 식품에서 젖산균을 확인하기 위해 분리된 균주의 그람염색을 수행한 후 Macrogen에서 16S rRNA 분석 결과, DKGF9(Lactobacillus plantarum), DKGF1(Lactobacillus paracasei ), DKGF8(Lactobacillus casei ), DK207(Lactobacillus casei ), DK211(Lactobacillus casei )이 확인되었다. 우리는 한국의 전통 발효 식품인 김치에서 분리된 5가지 LAB의 기본 생물학적 활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했다. 37℃, 55℃, 65℃, 75℃에서 각각 5분, 15분 5균주의 내열성 확인 결과, 상업 균주인 Lactobacillus acidophilus LA-5의 내열성과 유사하거나 더 높음을 보여주었다. 장내부착능에서는 선발균주 모두 상용균주와 비교했을 때 107 CFU/mL 이상으로 우수한 결합능을 보여주었고, KCTC(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서 분양받은 Escherichia coli KCTC1682, Salmonella enterica KCTC2054, Bacillus cereus KCTC3624 3종을 활용한 항균활성 결과, 모든 균주는 상업용 균주인 L. acidophilus LA-5와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더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단백질분해능력 실험에서, 5개의 균주는 clear-zone의 직경이 24시간에서 72시간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고, L. paracasei DKGF1이 가장 큰 직경을 갖고 있어 단백질분해능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5개의 균주로부터 선택된 3개의 균주는 ABTS, DPPH, FRAP, Hydroxyl radical scanenging 활성을 포함하여 다양한 항산화활성 효과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5가지 균주 중에서 우수한 기능성을 갖는 L. paracasei DKGF1이 잠재적인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나타내며, 건강 관련 제품의 개발에 유용한 균주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