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Fermentation

검색결과 963건 처리시간 0.031초

Lactobacillus plantarum Improves the Nutritional Quality of Italian Ryegrass with Alfalfa Mediated Silage

  • Ilavenil, Soundarrajan;Arasu, Mariadhas Valan;Vijayakumar, Mayakrishnan;Jung, Min-Woong;Park, Hyung Soo;Lim, Young Cheol;Choi, Ki Choo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4-178
    • /
    • 2014
  • The present study was planned to analyze the nutritional quality, microbial counts and fermentative acids in Italian ryegrass (IRG) 80% and alfalfa 20% (IRG-HV) mediated silage inocul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LAB) as a probiotic strain for 3 months. Crude protein (CP),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and In-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lactic acid bacteria (LAB), yeast and fungi counts and fermentation metabolites such as lactic acid, acetic acid and butyric acids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the nutritional quality and metabolite profiles of silag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LAB. For microbial counts, LAB showed dominant followed by yeast as compared with control silage. The pH of the silage also reduced significantly when silage inoculated with LAB. The result confirmed that silage preparation using different crops with L. plantarum inoculation is most beneficial for the farmers.

Characterization of Yeast and Bacterial Type Strains with Food and Agricultural Applications by MALDI-TOF Mass Spectrometry Biotyping

  • Harnpicharnchai, Piyanun;Jaresitthikunchai, Janthima;Seesang, Mintra;Jindamorakot, Sasitorn;Tanapongpipat, Sutipa;Ingsriswang, Supawade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38-147
    • /
    • 2020
  • Various microorganisms play important roles in food fermentation, food spoilage, and agriculture. In this study, the biotype of 54 yeast and bacterial strains having high potential for utilization in food and agriculture, including Candida spp., Lactobacillus spp., and Acetobacter spp., were characterized by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 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 MS). This characterization using a fast and robust method provides much-needed information on the selected microorganisms and will facilitate effective usage of these strains in various applications. Importantly, the unique protein profile of each microbial species obtained from this study was used to create a database of fingerprints from these species. The database was validated using microbial strains of the same species by comparing the mass spectra with the created database through pattern matching. The created reference database provides crucial information and is useful for further utilization of a large number of valuable microorganisms relevant to food and agriculture.

단백분해효소와 Starter Culture의 종류에 따른 frozen soy yogurt의 저장성 (Storage characteristics of frozen soy yogurt Prepared with different proteolytic enzymes and starter cultures)

  • 이숙영;이정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7-224
    • /
    • 2005
  • The storage characteristics of frozen soy yogurt prepared with hydrolyzed soy protein isolates were evaluated. In order to facilitate lactic fermentation bacteria grow and produce lactic acid as fast rate as possible, soy protein isolate(SPI) was hydrolyzed using two kinds of proteases; bromelain and a-chymotrypsin. The cultural systems employed thereafter for lactic fermentations were Bifidobacterium bifidum or B. bifidum and Lactobacillus bulgaricus. The viable cell counts, normal- and bile acid tolerances from the mixed cultures of B. bifidum and L. bulgaricus decreased sharply during the initial first 3 days of frozen storage and then showed a gradual decrease thereafter. Melt-down percent of the all frozen products have been favorably affected as was shown by less melting at raised testing temperature during 28 days of frozen storage except for the initial 3 days during which a minor change has been observed. Among the various volatile flavor components, the contents of acetaldehyde, acetone, diacetyl and methanol generally increased during the frozen storage. In sensory test, the frozen soy yogurt prepared with a-chymotrypsin and mixed culture of B. bifidum and L. bulgaricus was the most desirable, the highest scores in sourness, bitterness and mouthfeel.

사전 열처리 공정 처리한 야채류 복합추출물의 항산화활성 평가 (Antioxidant Activity Evaluation of Vegetable Complex Extract of Pre-Heat Treatment Process)

  • 김현경;황혜영;김흥태;김혜진;서수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409-416
    • /
    • 2022
  • 식재료로서 안전성이 확립되고 항산화성이 입증되어 있으며, 유익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동시에 섭취할 수 있는 과일 및 야채의 복합 추출물을 항산화 활성이 더욱 증가하도록 가공한 항산화성 복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항산화성 복합 추출물은, 사전 열처리 과정을 추가하는 것에 의해 DPPH 라디컬 소거능으로 측정되는 항산화능이 41% 증가하여 항산화성이 현저하므로, 항산화능을 이용한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Growth Characteristics of Bacteriocin-Producing 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JNU533 in a Glucose-Containing Skim Milk Medium

  • Jiho Shin;Subin Kim;Sejong Oh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138-148
    • /
    • 2023
  • In this study, 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JNU533 (JNU533) was isolated from Swiss-type cheese, and the bacteriocin produced by this strain was characterized. The spot-on-lawn assay was us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spectrum and characteristics of the JNU533-derived bacteriocin. Results confirmed that the JNU533-derived bacteriocin inhibited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The size of the bacteriocin was approximately 4.9 kDa, and it was heat- and pH-stable under various temperature and pH conditions. Furthermore, the possibility of using JNU533 as a starter culture in the manufacturing of fermented dairy products was assessed. A single colony of JNU533 was inoculated into 10% skim milk containing 0.5% glucose to investigate its characteristics in milk culture. The decrease in the pH was similar to that elicited by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Furthermore, the results confirmed that JNU533 inhibited the growth of various bacteria and could be used as a milk fermentation starter. This study highligh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teriocin produced by JNU533 and the growth features of this strain in a skim milk medium.

차세대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소, 돼지, 닭의 장내 미생물 군집 분석 및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Gut Microbiota among Broiler Chickens, Pigs, and Cattle through Next-generation Sequencing)

  • 정호진;하광수;신수진;정수지;류명선;양희종;정도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079-1087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가축의 장내 미생물 군집 분포와 시료간 미생물학적 차이에 대하여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국의 축사에서 닭, 돼지, 소의 분변시료를 무작위로 채집하여 α-diversity를 분석한 결과, 종 추정치와 종 풍부도가 세 종류의 가축 모두에서 통계학적 유의성을 가지면서 소, 돼지, 닭 순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그러나 조류에 속하는 닭과 포유류에 속하는 돼지, 소에 대한 각 사이의 종 다양성은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돼지와 소의 사이의 종 다양성은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가축 내 장내 미생물 군집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문 수준에서 세 종류의 가축 모두 Firmicutes가 우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속 수준에서는 닭의 분변시료는 Weissella, 돼지의 분변시료는 Prevotella, 소의 분변시료는 Acinetobacter가 우점 속으로 나타났다. 각 가축 분변시료의 미생물 군집 분포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PERMANOVA 분석을 수행한 결과, 닭, 돼지, 소의 분변시료 내 미생물 군집의 중심과 산포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가축 분변시료의 미생물 군집을 대표하는 biomarker를 분석하기 위해 LEfSe 분석을 수행한 결과, Weissella와 Lactobacillus는 닭의 분변을 다른 두 가축과 구분할 수 있는 미생물로, Preveotella는 돼지의 분변을 다른 두 가축과 구분할 수 있는 미생물로, Acinetobacter는 소의 분변을 다른 두 가축과 구분할 수 있는 미생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축사 여건에 적합한 체증 관련 미생물의 탐색, 생애주기별 장내 미생물 군집과 유전체 분석 및 각 가축에 특화된 생균제 개발 등 추가적인 연구 진행에 필요한 미생물학적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MR 제조 시 수분 함량 및 발효제 (Lactobacillus plantarum) 첨가유무가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creasing Moisture Content with or without Supplementing Inoculant (Lactobacillus plantarum) in TMR on Its Feed Value)

  • 기광석;김현섭;이현준;이왕식;백광수;김상범;임근발;여준모;김용국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97-208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TMR 제조 시 물을 첨가하여 수분 함량을 높여줄 경우 수분 함량(15, 35, 50%)과 발효제(Lactobacillus plantarum) 첨가유무에 따라 저장방법(자연노출과 밀봉보관) 경과시간별(자연노출 : 0, 6, 12, 24, 48, 72시간, 밀봉보관 : 0, 2, 6, 10, 14, 18일) 사료가치 변화를 조사할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연노출 상태로 저장한 경우, 수분 함량이 적을수록 외관상태가 양호하였으며 수분 함량이 높을수록 곰팡이가 생기는 시기가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시료의 냄새도 수분함량별, 발효제 첨가유무별로 달랐는데 물만 첨가하여 수분 함량을 35%와 50%로 맞춘 시료는 자연노출 24시간째에 시큼한 냄새가 나기 시작하였으나 같은 수분 함량의 시료에 발효제를 첨가한 시료에서는 발효에 의한 냄새로 시큼한 냄새가 나지 않았고 오히려 발효로 인해 향긋한 냄새가 났다. 발효제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에서는 자연노출 후 6시간이 경과하면서 지속적으로 내부온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발효제를 첨가한 수분 함량 50% 시료에서는 자연노출 6시간부터 지속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발효제를 첨가한 수분 35% 시료는 자연노출 48시간부터 온도가 급격히 상승함을 보이고 있다. 발효제를 첨가한 시료를 자연노출 시 수분 함량에 따른 경과시간별 pH 변화를 보면, 수분 15%에서는 경과시간에 따른 변화가 적었으나 수분 35%와 50% 시료는 각각 12시간째와 24시간째부터 pH가 급격하게 증가 하였다. 자연노출 시 같은 수분 함량의 TMR 시료에서 발효제를 첨가한 것은 6시간까지는 암모니아 발생이 낮아지다가 6시간 이후부터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발효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은 12시간 이후에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자연노출 시 영양소 함량 변화는 경과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수분의 증발로 인해 영양소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밀봉보관 시에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TMR 제조 시 수분함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물을 첨가시킬 때 물만 첨가하는 것보다는 물에 발효제(Lactobacillus plantarum)를 섞어 주는 것이 경과시간에 따른 TMR의 사료가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김치와 식초 유래 젖산균으로 발효시킨 오디와 실크 단백질을 첨가한 발효유의 물리 화학적 특성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lberry extract and silk protein added yogurt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vinegar and kimchi)

  • 정성엽;강선아;김민주;강은선;오현호;이나라;박선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1호
    • /
    • pp.17-23
    • /
    • 2018
  • 본 실험에서는 오디와 실크 단백질을 첨가하고 식물성 젖산균인 Lactobacillus plantarum와 Bacillus acidiproducens로 발효시킨 기능성 발효유를 제조하고 이들의 발효유의 물리화학적 품질을 조사하고자 한다. 제조한 발효유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품질은 발효유의 총 페놀 함량 및 안토시아닌 함량, 점도, 색도 값을 측정하고 기호도를 조사하여 결정하였다. LP와 BA로 제조한 발효유는 대조균주인 YF과 유사한 pH와 산도를 나타내었으나, 오디와 실크 단백질을 첨가한 발효유는 유의적으로 낮은 pH값와 높은 산도를 나타내었다. 발효유의 색도는 오디와 실크 단백질을 첨가한 발효유에서 높은 적색도와 낮은 명도, 황색도 값을 나타내었고, 생균수와 점도에서도 오디와 실크 단백질을 첨가한 발효유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 <0.05). 생균수의 경우 BA + MS, LP + MS, YF, BA, LP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YF를 기준으로 오디와 실크 단백질을 첨가한 발효유와 첨가하지 않은 발효유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관능평가에서도 오디와 실크 단백질을 첨가한 발효유에서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BA + MS, LP + MS, BA, YF, LP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고 식초에서 얻은 균으로 제조한 발효유가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김치 및 식초 유래 유산균으로 발효유는 기존에 상업적으로 사용하는 유산균으로 제조한 것과 물리화학적 특징에 차이가 없었다. 더 나아가 오디추출물과 실크 단백질을 첨가한 발효유는 오디추출물과 실크 단백질이 첨가되지 않은 발효유보다 물리화학적 품질도 향상되고, 기호도도 높여서 향후 제품화 가능성도 기대할 수 있겠다.

항균성 물질을 생산하는 Lactobacillus amylovorus IMC-1의 배양학적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amylovorus IMC-1 Producing Antibacterial Substance)

  • 목종수;송기철;김영목;장동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49-254
    • /
    • 2002
  • 발효식품의 제조에 유용한 starter 개발 및 probiotics로서 이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항균성 물질을 생산하는 Lactobacillus amylovorus IMC-1 균주를 이용한 skim milk medium에서의 산생성, 단백질 분해활성, lactose 분해활성 및 유사구균과 혼합발효 그리고 병원성 세균에 대한 살균력 등을 검토하였다. L. amylovorus IMC-1은 10% skim milk에 yeast extract를 첨가하여 12시간 배양하였을 때 산도 0.8%이었고, 72시간째에는 2.7%로 우수한 산 생성력을 보였다. IMC-1 균주의 ${\beta}-galactosidase$ 활성은 균체 1 mg당 약 $39{\mu}M/minute$로 매우 강한 반면, $phospho-{\beta}-galactosidase$의 활성은 매우 낮았다. 또한 이 균주는 10% skim milk에서 배양 12시간째 $6\;{\mu}g/mL$, 72시간째에 $69\;{\mu}g/mL$의 유리 tyrosine을 생산하여 단백질 분해활성이 낮았다. 전기영동상의 band pattern으로부터 casein중 ${\alpha}-casein$을 주로 이용하며, ${\beta}-casein$은 거의 이용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10% skim milk에서 IMC-1 균주 및 St. thermophilus NIAI 510의 단독 또는 혼합배양을 실시한 결과, 혼합배양, IMC-1 균주 및 St. thermophilus 순으로 산 생성력이 높았으며, 유산구균 단독배양 및 혼합배양에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치즈 향기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0% skim milk medium에서 혼합배양에 의한 최적의 유산발효 시간은 산 생성력 및 공존 균수 등을 고려할 때, yeast extract 0.1% 첨가시에는 16시간, 0.5% 첨가시에는 12시간 배양하는 것이었다. IMC-1이 생산한 항균성 물질은 Escherichia coli O157을 배양 24시간째 2 log정도 감소시켰고, 48시간 배양 후에는 피검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Shigella flexneri는 배양 4시간째 2 log이상 감소하였고, 6시간 배양 후에는 검출되지 않아 항균성 물질은 강한 살균작용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Effects of wild or mutated inoculants on rye silage and its rumen fermentation indices

  • Paradhipta, Dimas Hand Vidya;Joo, Young Ho;Lee, Hyuk Jun;Lee, Seong Shin;Kwak, Youn Sig;Han, Ouk Kyu;Kim, Dong Hyeon;Kim, Sam Chur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6호
    • /
    • pp.949-956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s of new inoculants producing-antifungal or esterase substances on rye silage and its rumen fermentation indices by comparing wild with mutated types. Methods: Rye harvested at dough stage was ensiled into 3 L mini bucket silo (1 kg) for 90 d in triplicate following: distilled water at 20 μL/g (CON); Lactobacillus brevis 100D8 (AT) and its inactivation of antifungal genes (AT-m) at 1.2×105 cfu/g, respectively; and Leuconostoc holzapfelii 5H4 (FD) and its inactivation of esterase genes (FD-est) at 1.0×105 cfu/g, respectively. After silo opened, silage was sub-sampled for the analysis of ensiling quality and its rumen fermentation indices. Results: Among the wild type inoculants (CON vs AT vs FD), FD inoculant had higher (p<0.05) in vitro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the total degradable fraction,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 in rumen, while AT inoculant had higher (p<0.05) lactate, acetate, and lactic acid bacteria in silage. Silage pH and the potentially degradable fraction in rumen increased (p<0.05) by inactivation of antifungal activity (AT vs AT-m), but lactate, acetate, and lactic acid bacteria of silage decreased (p<0.05). In silage, acetate increased (p<0.05) by inactivation of esterase activity (FD vs FD-est) with decreases (p<0.05) of pH, ammonia-N, lactate, and yeast. Moreover, inactivation of esterase activity clearly decreased (p<0.05) in vitro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the total degradable fraction,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 in the rumen.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d that FD inoculant confirmed esterase activity on rye silage harvested at dough stage, while AT inoculant could not be confirmed with antifungal activity due to the absence of mold in all sil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