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ic Acid Bacteria Starter Culture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4초

수산물 가공부산물의 이용에 관한 연구 I -가다랭이 내장 발효 silage 제조를 위한 유산균주의 배양특성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Wastes from Fish Processing I -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for Preparing Skipjack Tuna Viscera Silage)

  • 윤호동;이두석;지청일;서상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
    • /
    • 1997
  • 가다랭이 통조림을 제조할 때 대량 폐기되는 내장을 유효하게 이용할 목적으로 어류 내장 silage 제조를 위한 유산균주의 배양특성 및 저장기간에 따른 원료의 성상변화를 조사한 결과, MRS 배지에서 배양한 L. bulgaricus 및 L. plantarum 균주는 $pH\;5.5\~6.5$, 배양온도 $35^{\circ}C$ 부근에서 산생성 및 증식이 양호하였으며, 가다랭이 내장 자숙액에 사용된 당질원인 당밀 dextrose의 적정 첨가농도는 가다랭이 내장 중량 당 각각 $10\%$$7\%$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라 산첨가 silage의 pH는 초기 4.0에서 저장 42일째 pH 4.5로 다소 증가하였으며, 유산균 발효 silage는 초기 pH 5.9에서 점차 감소하여 pH 약 4.0까지 저하되었다. silage의 초기 VBN 함량은 약 $62\~65\;mg/100g$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저장 42일후 산첨가 silage는 112.6\;mg/100g이었고, L. bulgarius 및 L. plantarum 발효 silage는 각각 139.9 mg/100g와 155.0 mg/100g 이었다. L. plantarum 발효 silage의 저장중 경시별 아미노질소 함량은 저장 4일째 1391.3 mg/100g으로서 약 $81\%$의 가수분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L. plantarum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 silage의 초기 생균수는 $2.7\times10^8/g$에서 저장 35일째는 $2.3\times10^7/g$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 of Protective Compounds on the Survival, Electrolyte Leakage, and Lipid Degradation of Freeze-Dried Weissella paramesenteroides LC11 During Storage

  • Yao, Amenan A.;Wathelet, Bernard;Thonart, Philipp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8호
    • /
    • pp.810-817
    • /
    • 2009
  • The effect of cryoprotectants (maltodextrin+glycerol) and cryoprotectants+antioxidant [ascorbic acid and/or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mixtures on the survival, electrolyte leakage, and lipid degradation of freeze-dried Weissella paramesenteroides LC11 during storage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cells without additives) over a 90-day storage period at 4 or $20^{\circ}C$ in glass tubes with water activity ($a_w$) of 0.23. The survival, electrolyte leakage, and lipid degradation were evaluated through colony counts,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content, respectively. The fatty acids composition was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in both the total lipid extract and the polar lipid fraction, 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after the 90-day storage period. As the storage proceeded, increases in leakage value and TBARS content, as well as a decrease in viability, were observed. After 90 days of storage, the major fatty acids found in both the total lipid extract and the polar lipid fraction were palmitic (16:0), palmitoleic (16:1), stearic (18:0), oleic (18:1), linoleic (18:2), and linolenic (18:3) acids. The survival, leakage value, TBARS content and 18:2/16:0 or 18:3/16:0 ratio were the greatest for the protected strain held at $4^{\circ}C$. Cells with the cryoprotectants+BHT mixture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survival and 18:2/16:0 or 18:3/16:0 ratio in both lipid extracts, as well as the lowest leakage value and TBARS content after the 90-day storage period. Drying cells with the cryoprotectants+BHT mixture considerably slowed down polar lipid degradation and loss of membrane integrity, resulting in improved viability during storage.

배양 조건에 따른 유산균의 Diacetyl 생성 (The Effects of Culture Conditions on the Diacetyl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 김동욱;정소영;박기문;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0-126
    • /
    • 1989
  • Str. diacetylactis와 Leu. cremoris를 commercial culture로부터 분리한 후 멸균된 10%(w/v) 환원 탈지유에 단독 및 혼합(1 : 1) 배양하면서 diacetyl 생성에 미치는 배양 조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생육최적 온도는 Str. diacetylactis의 경우 $30^{\circ}C$, Leu, cremoris는 $34^{circ}C$로 나타났으나, diacetyl 생성 최적 온도는 모두 $22^{\circ}C$로, 2%(v/v) starter 접종시 Str. diacetylactis, Leu. cremoris 그리고 혼합 배양의 경우 diacetyl 생성량은 각각 배양 60, 48, 48시간에 2.24, 2.29, 2.21ppm으로 최대치를 보인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배지내 초기 pH는 pH 4.8에 모두 최고의 diacetyl 생성량을 보여 각각 4.32, 6.66, 7.30ppm을 나타내었다. Starter 접종량이 많아질수록 diacetyl 생성량은 증가하였지만 증가폭은 크지 않았으며 diacetyl의 전구 물질인 citrate를 sodium citrate형태로 농도별로 첨가하였을 때 0.3, 0.1, 0.1%(w/v) 첨가시에 각각 2.58, 2.54, 2.52ppm으로 최대치를 보였다. 최적 조건하에서 24시간 배양시 diacetyl 생성량은 각각 4.40, 6.59, 7.25ppm으로 나타났으며, diacetyl생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초기 pH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염장 죽순을 이용한 요구르트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Yogurt Prepared with Salted Bamboo Shoots)

  • 박은진;전덕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9-186
    • /
    • 2006
  • 담양 염장 죽순을 첨가한 요구르트를 개발하기 위해 죽순에 함유되어 있는 일반성분을 분석하였고, 관능검사를 통해 최적 발효조건과 죽순첨가 형태를 결정하였다. 죽순은 수분함량이 82.59 %, 단백질 4.56 %, 지질 0.52 %, 회분 0.50 %, 그리고 식이섬유소가 11.72 %(w/w) 함유되어 있었으며, 무기질은 Ca, P, S, Na, Mg, K 순서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죽순을 첨가하기 위한 요구르트는 ABT-5 미생물을 0.005 % 접종하여 $40\;^{\circ}C$에서 13시간 발효시켰으며, 요구르트 첨가용 죽순은 형태를 달리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5{\times}5{\times}5\;mm$ 크기로 절단한 죽순을 50 % 설탕에 절임하여 15 %(w/w) 비율로 첨가한 시료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죽순 요구르트는 $4\;^{\circ}C$ 냉장온도에서 15일 동안 저장 중 pH와 산 생성, 젖산균수, 그리고 비피더스균수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저장성이 우수였다. 따라서 죽순 첨가 호상요구르트는 기호성과 품질 특성이 우수하고 영양학적으로도 훌륭한 상품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Antifungal Efficacy of Extracts Derived from Kimchi Filtrates

  • JeungSun LEE;Seong-Soo CHA;Min-Kyu KWAK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9권6호
    • /
    • pp.1-7
    • /
    • 2023
  • Secondary metabolites in the culture filtrates of lactic acid bacteria offer varied chiral moieties, making them a valuable resource for drug design scaffolding. Our previous methodology included using a combination of anion exchange resins, Amberlite IRA-67 and Purolite A420S, to purify significant quantities of Lactobacillus plantarum LBP-K10 peptidyl compounds. However, current experimental evidence regarding the impact of native culture extracts and/or filtrates on pathogenic fungi in vivo/in vitro is insufficient. This study analyzed the antifungal properties of two different probiotic cultures: the CH2Cl2-extracted filtrate of Chinese cabbage kimchi (CH2Cl2-extracted CCKWLB and CH2Cl2-extracted CCKWOLB) and the non-extracted filtrate of Chinese cabbage kimchi (non-extracted CCKWLB and non-extracted CCKWOLB).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inoculated with probiotics while the other group remained non-inoculated. Filtrates from both experimental groups were utilized for antifungal assays. The treatments employing CCKWLB, with an initial inoculation of Lb. plantarum LBP-K10 as a starter, demonstrated significant antifungal activity under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Our study offers new perspectives on the antifungal properties of CH2Cl2-extracted kimchi filtrates, which are naturally produced by lactobacilli. The efficacy of antifungal compounds is supported by substantial evidence demonstrating their efficient uptake by cells and the antifungal properties exerted by metabolites.

온도를 달리한 누룩 발효 기간별 배양 유산균 변화 및 분리 유산균들의 효소 활성 (Change in the composition and enzyme activity of culturable lactic acid bacteria in Nuruk during fermentation at different temperatures)

  • 남강;이남근;염은지;김용식;김대혁;여수환;정용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920-925
    • /
    • 2015
  • 발효 온도를 달리한 전통방식으로 제조된 두 가지 형태(TN-A와 TN-B)의 누룩들로부터 발효 기간별 배양된 유산균 총균수, 유산균 종들의 변화 및 분리된 유산균들의 효소활성을 비교하였다. TN-A의 유산균 총균수는 $10^4{\sim}10^5$ log CFU/mL로 발효 3일차부터 발효 기간에 관계없이 유지되었고, TN-B에서는 발효 6일차까지 $10^2$ log CFU/mL로 유지되다가 6일차 이후 유산균이 검출되지 않는 특징을 보였다. 유산균 종들의 변화에 있어서, TN-A는 발효 3일차에 우점종 유산균으로 나타난P. pentosaceus 종이 발효 종료 시점이 30일차 까지 우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TN-B는 발효 3일차와 6일차에 각각 P. pentosaceus와 E. hirea로 나타나 유산균이 검출된 발효 기간까지 TN-A 보다는 많은 변화를 보였다. TN-A와 TN-B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들의 효소 활성은 단백질분해효소와 당화효소 활성을 분석하였다. 단백질분해효소평가는 티로신 생성량으로, 당화효소 활성은 아밀로스 분해에 따른 아밀로스 잔여 함량으로 평가한 결과, 분리된 유산균(9종)들은 0.49~0.89 mg/mL의 티로신 생성 범위의 단백질분해 활성과 0.64~0.79 mg/mL의 아밀로스 분해 활성 범위를 보였고, 유산균들 중 가장 높은 단백질분해효소와 당화효소 활성을 보이는 균주는 각각 P. acidilactici와 L. sakei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온도를 달리하여 전통적인 방법으로 누룩을 제조하였을 시 누룩 내에 유산균들을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토대로 향후 많은 연구들이 진행된다면, 누룩관련 제품에 유산균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산미와 풍미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전통적인 누룩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LHC52의 항균활성과 요구르트의 관능성 연구 (A Study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 of Yogur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LHC52 Isolated from Kimchi)

  • 이승규;한기성;정석근;오미화;장애라;김동훈;배인휴;함준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28-335
    • /
    • 2010
  • 이 연구는 김치에서 분리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요구르트 제조용 유산균 스타터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분리한 103개의 산생성 균주를 PCR로 screening하여 72개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의 배양액을 paper disk method를 사용하여 병원성 미생물(E. coli, S. Enteritidis, 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고, 활성이 강한 균주를 선별하여 API 50CHL과 16S rRNA sequencing 방법으로 균을 동정하였다. 균은 L. plantarum으로 확인되어 L.plantarum LHC52로 명명하였다. L. plantarum LHC52는 특히 E. coli에 대해 높은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L.plantarum LHC52를 사용하여 제조한 요구르트의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검사 결과 대조구와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 결과 김치에서 분리한 L. plantarum LHC52의 항균활성이 우수한 요구르트 제조 스타터 균주로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막걸리 유래 미생물의 활용을 위한 연구 동향 (Application of Functional Microbial Strains Isolated from Traditional Rice Wine in Korea)

  • 이영석;설정만;정덕열;김수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29-235
    • /
    • 2016
  • 우리나라는 예전부터 전통적인 방법으로 누룩을 제조하고, 이를 발효제로 막걸리를 만들어 왔다. 막걸리는 여과 또는 살균 과정없이 다양한 미생물을 살아 있는 상태로 섭취하기 때문에 영양학적으로나 기능적인 측면에서 가치가 높다. 최근 많은 연구에서 막걸리로부터 미생물을 분리동정하고 다양한 기능성에 대해 스크리닝한 결과, 높은 프로바이오틱스 활성과 다양한 스펙트럼의 항균활성을 가진 균주들이 선별되었다. 특히 일부 유산균들은 GABA와 EPS 등의 기능성 물질을 생성하기도 했다. 또한, 일부 유산균과 효모의 경우 각각 bacteriocin 및 killer toxin을 통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막걸리 유래 기능성 미생물과 그 대사산물은 기능성 식품 소재나 안전한 식품첨가물 및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casei MCL Strain Exhibiting Immunomodulation Activity

  • Choi, Jae-Kyoung;Lim, Yea-Seul;Kim, Hee-Jin;Hong, Yeong-Ho;Ryu, Buom-Yong;Kim, Geun-Ba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35-643
    • /
    • 2012
  • As an appraisal for the application of a new starter culture, more than 200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were isolated from raw milk and healthy human feces. The strains showing excellent growth and acid production ability in 10% skim milk media were selected and identified as Lactobacillus casei based on the results of their API carbohydrate fermentation patterns, as well as 16S rDNA sequence analysis. To assess the effect of L. casei strains on irritable bowel disease (IBD),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selected strains against the nitric oxide (NO) production of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was measured. Among the tested L. casei strains, L. casei MCL was observed to have the greatest NO inhibitory activity. Additionally, L. casei MCL was found to inhibit mRNA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1{\beta}$, IL-6, TNF-${\alpha}$), as well as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involved in pathophysiologic processes such as inflammation. The mRNA expression of anti-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IL-10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1{\beta}$ (TGF-${\beta}$) of L. casei MCL, was confirm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CR. In conclusion, L. casei MCL showed decreases i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up-regulated expression of the anti-inflammatory cytokine.

김치 유래 GABA 생성 Lactobacillus plantarum의 발효 및 항상화 특성 (Fermented Propert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GABA Producing Lactobacillus plantarum from Kimchi)

  • 이영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40-446
    • /
    • 2021
  • GABA는 식물, 동물 및 미생물 등 자연계에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항고혈압, 이뇨, 진정, 수면유도 및 항스트레스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식품, 의약품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 부터 분리한 GABA 형성 유산균을 옥수수 수염 추출물에 적용하여 발효 특성과 발효물의 항산화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신규 L. plantarum LAB459의 분리와 동정은 생화학적 특성, 당자화성 및 16s rRNA 염기 서열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그리고 TLC와 HPLC 분석을 통해 분리된 L. plantarum LAB459가 GABA 생성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탈지유가 포함된 옥수수 수염 열수 추출물에 대해 발효를 수행한 결과, 동결 건조된 발효물에 약 1 ㎍/mg 수준의 GABA가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발효물에 대한 플라보노이드와 항산화 분석은 옥수수 수염 열수 추출물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된 L. plantarum LAB459는 다양한 식품 발효의 스타터 또는 식품 소재와 의약품 소재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