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 plantarum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19초

김치 부재료가 젖산균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imchi Minor Ingredient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 이진희;조영;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11-520
    • /
    • 1995
  • 파, 마늘, 생강, 적생고추, 고추가루의 멸균 추출액의 농도가 2%와 4%가 되도록 첨가한 배지에서 김치의 주된 젖산균들인 Leu. mesenteroides와 Lac. plantarum의 생육을 조사하였는데, 모든 부재료가 Lac. plantarum의 생육을 저해하였으며 마늘은 이 균에의 저해효과가 가장 컸으며, 생강이 Leu. mesenteroides의 생육에 증진 효과를 보였고, 마늘이 역시 Leu. mesonteroides의 생육에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마늘, 생강 및 고추가루의 연속분획추출 후 멸균액을 배지에 첨가해 역시 두균의 생육정도를 조사하였을 때 마늘의 부탄을 분획물이 두균의 생육에 저해효과를 보여 그 효과물질은 alkaloid나 flavonoid일 것으로, 또 생강과 고추가루의 물 분획물이 Leu. mesenteroides의 생육 촉진 효과를 나타낸 바 그 효과물질은 당류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김치유래 Lactic acid bacteria에 의한 양배추 즙의 발효특성 (Characteristics of Cabbage Juice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 임혜은;오유리;김나영;한명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1-408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bbage juice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sakei SL1103, Lactobacillus plantarum LS5, and mixed starter). Cabbage juice was inocul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and fermented at 30 for 72 hrs. Changes in lactic acid bacteria number, pH, titratable acidity, Brix, and color during fermentation were analyzed. After fermentation for 24 hrs, cabbage juice fermented by mixed starter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9.45 log CFU/mL). The pH of all cabbage juice also decreased to 3.88~4.19 sharply, while cabbage juice fermented by Lac. sakei SL1103 showed the highest Brix ($8.38^{\circ}Bx$). Cabbage juice fermented by mixed starter showed the highest L value (56.83). In the sensory evaluation, cabbage juice fermented by a mixed starter (Leu. mesenteroides, Lac. sakei SL1103, and Lac. plantarum LS5)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s in tast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refore, cabbage juice fermented by mixed starter (Leu. mesenteroides, Lac. sakei SL1103 and Lac. plantarum LS5) has the highest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fermented cabbage juice as an excellent bioactive functional food.

황금과 황백 추출물이 젖산균 증식 및 김치 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and Phellodendron amurense Extracts on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Kimchi Fermentation)

  • 박민경;정광심;인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420-426
    • /
    • 2004
  • 본 실험에서는 우선, 10가지 한약재로 50%-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Lac. plantarum 및 Leu. mesenteroides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색한 결과 황금추출물은 Leu. mesenteroides에 황백 추출물은 두 균주 모두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보였다. 이어서, 각기 다른 농도의 황금 또는 황백 추출물이 첨가된 MRS broth에서 Lac. plantarum과 Leu mesenteroides를 24시간 배양하며 일정 시간에 증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황백 추출물은 두 균주에 대하여 0.05%∼0.2%의 농도에서 우수한 생육 억제효과가 있는 반면 황금 추출물은 Lac. plantarum의 생육 억제에는 큰 효과가 없으나 Leu. mesenteroides에 대해서는 0.1% 농도에서 황백 추출물 0.05%와 유사한 효과를 보였다. 황금과 황백 추출물의 첨가는 실제 김치 숙성에도 영향을 미쳐 0.02%∼0.04%의 황백 추출물 첨가는pH의 저하, 산도, 유산균 및 총균수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숙성 지연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황금 추출물의 첨가는 0.04% 농도에서 숙성지연 효과를 보였다. 한편, 황금과 황백 추출물의 1:1 혼합 첨가도 0.03%∼0.04%의 농도에서 숙성 지연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같은 농도에서 숙성 지연효과를 비교하면 황백 >황금과 황백의 혼합물>황금의 순으로 나타났다. 0.04%의 황백 추출물 첨가 김치는 숙성 후기인 21일에는 대조구 및 0.02%의 황금 추출물 첨가 김치와, 숙성 28일에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신맛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리 이온의 김치산패 억제작용에 관한 연구 (Effect of Copper Ions on Over-Acidification of kimchi)

  • 채경연;유양자;경규항;박세원;김연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7-93
    • /
    • 2002
  • 김치에 $Cu^{+}$$Cu^{2+}$ 을 1.0, 2.0, 3.0, 4.0 및 5.0 mM 농도로 첨가하여 2$0^{\circ}C$에서 김치의 발효경향을 살펴보고 또한 젖산균 생육에 미치는 구리 이온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Cu$SO_4$와 CuCl의 첨가는 김치에 생육하는 총생균, 젖산균의 생육을 저해하고 김치의 산도를 유지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Leu. mesenteroides의 경우 발효 10일째 대조군의 급격한 감소와는 다르게 발효 14일째에 $10^{5}$ ~$10^{6}$ CFU/ml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Cu^{+}$$Cu^{2+}$의 첨가는 김치의 숙성에 관여하는 주 발효균인 Leu. mesenteroides의 생육기간을 연장시키고 과도한 산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김치의 산패를 지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Fe^{2+}$$SO_4$$^{2-}$ 이온은 김치발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각의 젖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Cu^{2+}$ 이온의 영향을 보기 위하여 각 젖산균마다 Cu$SO_4$를 농도별로 첨가한 후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Leu. mesenteroides 6, Str. faecalis 12, Lac. plantarum 14, Lac. brevis 15, Leu. mesenteroides LA 10, Lac. plantarum LA 97의 6가지 젖산균은 $Cu^{2+}$ 첨가농도에 따른 균주마다 내성의 차이를 보였으나 각각의 균주 모두 $Cu^{2+}$ 첨가에 따라 균의 생육이 저해되었다.

Starter 및 멸치액젓 첨가가 김치양념 및 겉절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arter and Salt-Fermented Anchovy Extracts on the Quality of Kimchi Sauce and Geotjeori Kimchi)

  • 최택권;박소희;유진현;임호수;황성연;조재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6-104
    • /
    • 2003
  • 양념에 Leu. mesenteroides, Lac. plantarum의 젖산균과 멸치액젓 첨가가 김치 양념의 대장균군 제어, 숙성촉진여부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Leu. mesenteroides과 젓갈을 첨가한 경우 초기 숙성이 촉진되나 후기 산패는 완만하였으며 Lac. plantarum의 첨가시에는 초기 숙성에는 큰 차이가 없고 후기 산패가 현저하게 진행되었다. 대장균군은 산도 0.80% 이상에서 사별되었는데 Leu. mesenteroides의 경우가 숙성이 촉진되어 보다 신속히 사멸시켰다.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초기에 starter 첨가구는 $10^6\;CFU/mL$ 정도인데 반해서 starter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에서 총균수는 $10^6\;CFU/mL$, 젖산균수가 $10^4\;CFU/mL$ 이었고 숙성 후에는 첨가군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스타터의 첨가가 숙성 및 대장균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경향으로 동일하게 나왔다. 관능적 특성에서는 Leu. mesenteroides 첨가구가 Lac. plantarum의 경우보다 우수하였다. 한편, 시판 겉절이 김치는 산도가 $0.09{\sim}0.18%$, $pH\;5.46{\sim}5.89$, 총균수 $2.2{\times}10^6{\sim}3.1{\times}10^7\;CFU/ml$, 젖산균수 $2.1{\times}10^4{\sim}6.6{\times}10^5\;CFU/ml$, 대장균군수 $1.8{\times}10^4{\sim}7.1{\times}10^5\;CFU/ml$, 염분 $1.89%{\sim}2.51%$으로 스타터 첨가 겉절이에 비해 pH와 염도를 제외한 품질 특성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인삼 제조 및 품질 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ation product of Ginseng by Lactic Acid Bacteria (FGL))

  • 박수진;김동현;백남수;김성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88-94
    • /
    • 2006
  • 인삼과 유산균은 각각 면역 활성, 생리기능조절 등 생체 효용성을 인정받고 있는 가능성 식품소재이다. 따라서 유산균을 이용한 인삼 발효물은 두 소재의 장점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유산균을 이용하여 인삼 발효물을 제조하고 생균수, pH 및 산도 등을 조사하여 인삼 발효물 제조에 적합한 최적의 유산균주를 선정하고 인삼의 발효공정을 확립하였다. 27종의 유산균 중 인삼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육이 촉진되는 유산균은 Lac.plantarum MG208, Lac.casei Mg311, Lac.rhamnosus, MG315, Lac.acidophilus MG501, Lac.acidophilus MG501C, Lac.reuteri MG505, Lac.fermentum MG590, Bif.longum MG723 등 8종이었다. 특히, Lac.plantarum MG208이 5% 홍삼배지에 배양했을 때 가장 생육이 촉진되는 균주였다. 발효 전 배지 pH를 6.8로 동일하게 보정하였을 때 최종 인삼발효물의 pH는 유의하게 낮아졌고($pH3.45{\sim}4.83$), 특히, 홍삼농도가 높을수록 pH는 더 낮았다($pH3.42{\sim}4.30$). 이와 유사하게 백삼 및 홍삼 발효제조물의 적정산도는 약 10배정도 증가했고, 적정산도 증가율이 가장 높은 균종은 Lac.plantarum MG208, Lac.acidophilus MG501, 및 Bif.longum MG723이었으며, 발효 후 적정산도는 백삼보다 홍삼을 첨가한 경우 좀 더 높았다. 이와같이 여러 가지 유산균주를 이용하여 인삼 발효물을 제조한 결과 생균수와 유산균 발효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pH 및 적정산도 유도면에서 발효인삼 제조에 가장 적합한 유산균주는 Lac.plantarum MG208이며 인삼첨가농도는 1-5%, 배양시간은 48시간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인삼의 유산균 발효물의 생리활성 효능은 앞으로 추가연구를 통하여 검증되어야 하며 그 유용성에 대한 고찰 및 검토가 필요하다.

젖산균과 온도가 김치발효에 미치는 영향(I)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emperature on Kimchi Fermentation (I))

  • 조영;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25
    • /
    • 1991
  • 김치 발효 중에 주로 나타나는 Lac. plantarum, Leu. mesenteroides, Ped. acidilactici, Lac. brevis 등의 젖산균들이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이 젖산균들을 순수배양하여 염도 2.31%의 김치즙에 접종한 후 $30^{\circ}C$, $21^{\circ}C$, $14^{\circ}C$, $7^{\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pH및 총산도의 변화, 휘발성 유기산과 비휘발성 유기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Control group과 Leu. mesenteroides를 접종한 시료, 4종의 젖산균을 혼합 접종한 시효들의 발효온도에 따른 pH 및 산도 변화 경향은 서로 매우 유사하며, 특히 1$14^{\circ}C$에서 이러한 경향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Lac. plantarum이나 Ped. acidilactici 그리고 Lac. brevis를 접종한 시료들은 control group이나 Leu. mesenteroides, 4종의 젖산균을 혼합접종한 시료보다 더 느리게 pH 및 총산도가 변화하였으며 특히 $14^{\circ}C$에서는 control group과 Leu. mesenteroides 그리고 4종의 젖산균을 혼합 접종한 시료에서만이 발효가 진행되었다. 휘발성산과 비휘발성산의 변화 양상도 control group, Leu. mesenteroides를 접종한 시료, 4종의 젖산균을 혼합 접종한 시료에 있어서 서로 매우 유사하였다. 검출한 휘발성 유기산으로는 formfic, acetic acid뿐이었으며, 이들은 Leu. mesenteroides나 Lac. brevis 등에 의해 주로 생성됨을 알 수 있다. Leu. mesenteroides를 접종한 시료에서 다른 발효온도에서보다 $14^{\circ}C$에서 acet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모든 시료에서 lactic acid가 검출되었고, Leu. mesenteroides를 접종한 시료에서 $21^{\circ}C$$14^{\circ}C$에 citric aicd가 검출되었으며 succinic acid는 controlgroup과 Lac. brevis를 접종한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 PDF

발효소시지 제조에 적합한 스타터 선발 (Screening of Lactic Acid Bacteria as a Starter Culture in Fermented Sausage)

  • 유선아;서승호;박성은;손홍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1289-129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전통발효식품 13종과 천연물 4종에서 27균주를 분리한 후 생육속도가 빠르고 pH 저하 능력이 우수한 3종의 균주를 1차 선발하였으며,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Staphylococcus warneri, Sta. epidermidis, Lactobacillus plantarum과 99% 상동성을 보였다. 선발된 3균주의 발효소시지 스타터로서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발효소시지의 환경과 유사한 model-system에서 배양하며 pH 저하 능력, 총산 생성 능력, 생육 능력, 아질산염 소거 능력을 발효소시지의 스타터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5균주 및 상업용 2균주와 비교하였다. Modelsystem에서 pH 저하능과 총산 생성능, 생육능은 관련성이 있었으며, 상업용 균주보다 분리한 Sta. epidermidis DO 10-1, Lac. plantarum MLK 14-2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에도 분리한 3균주가 상업용 균주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를 보였다. 분리한 3균주는 발효소지지 스타터로서의 발효 소거 능력은 우수할 것으로 보이지만 Staphylococcus는 잠재적인 위험성이 제기되는 균주이므로 Lac. plantarum이 발효소지지 제조에 가장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들의 프로바이오틱 효과 (Probiotic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 이설매;이현아;권미라;박의성;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2호
    • /
    • pp.1717-172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서 분리한 L. plantarum pF1 NITE-P1462(Lp-pF1), L. plantarum KCCM 11352P(Lp-PNU), L. plantarum CBT LP3 KCTC 10782BP(Lp-CB)와 L. plantarum KCTC 3099(Lp-3099)의 프로바이오틱 효과(내산 및 내담즙성 측정, 장 부착능과 열 안정성, 항산화 및 항암 기능성의 측정)를 된장에서 유래한 Lac. lactis KFCC 11510P(L-lactis)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4종의 김치 L. plantarum이 Lac. lactis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나타내었다. 4종의 김치 L. plantarum 중 내산 및 내담즙성 측정에서 Lp-pF1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안정성을 나타냈고, 장 부착능 측정에서도 Lp-pF1이 Lp-CB와 함께 가장 뛰어난 부착능을 보였으며, 열 안정성 측면에서는 Lp-pF1과 Lp-PNU가 가장 높은 안정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PPH 라디칼 및 수산화 라디칼소거 활성 측정을 통해 Lp-pF1이 모든 유산균 중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HT-29 인체 대장암세포에서도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Lp-pF1의 프로바이오틱으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Lp-pF1은 특히 높은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가지고 있어 향후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Lp-pF1을 앞서 연구했던 나노화된 Lp-pF1과 함께 섭취하였을 때 단독으로 Lp-pF1만 섭취하는 것보다 더 높은 건강 기능적 효과가 기대되며, 이에 대한 연구도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김치 젖산균의 In Vitro에서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In Vitro Evaluation of Cholesterol Re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Extracted from Kimchi)

  • 김금란;김미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59-268
    • /
    • 2006
  • 본 연구는 김치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젖산균에 관한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Lactobacillus 1종, Leuconostoc 2종과 Weissella 2종을 대상으로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측정하였다. 김치 초기 발효균인 Leu. citreum은 55.46% 콜레스테롤 감소율을 보였고, 대표적인 산패균인 Lac. plantarum은 55.91%, Leu. mesenteroides은 56.37%였으며 W. kimchii,, W. confusa 등에서도 55% 이상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나타났다. 김치의 발효 숙성 과정에 나타나는 젖산균들이 시험관 내에서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확인되어, 향후 in vivo 조건하에서 콜레스테롤 저하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