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eling method

검색결과 657건 처리시간 0.027초

그레이 레이블링 및 퍼지 추론 규칙을 이용한 흰색 자동차 번호판 추출 기법 (License Plate Extraction Using Gray Labeling and fuzzy Membership Function)

  • 김도현;차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1495-1504
    • /
    • 2008
  • 2007년부터 흰색 바탕의 자동차 번호판이 등록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그레이 레이블링 기법과 퍼지 추론 방법을 이용하여 새롭게 사용되고 있는 흰색 번호판을 추출하기 위 한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비재귀 Flood-filling 알고리즘을 개선한 그레이 레이블링(labeling) 기법으로 번호판 후보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레이블에 대한 적합도를 퍼지 추론 시스템에 의해 산출한 후 후보 레이블 중에서 가장 적합도가 높은 레이블 영역을 최종 번호판 영역으로 추출한다. 실내외 주차장 및 거리에서 핸드폰 및 디지털 카메라로 획득한 다양한 자동차 번호판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94%의 추출 성공율을 나타내었다.

경북지역 초등학교 학부모의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도에 대한 인지도 및 자녀의 식품알레르기 실태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Gyeongbuk Area on Allergenic Food Labeling System and Children's Food Allergy Status)

  • 김영균;유경혜;이선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91-506
    • /
    • 2013
  • The allergenic food labeling system for 12 foods has been operated in Korean school food service since 201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ood allergy statu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nd their parents' perceptions of allergenic food labeling system. The parents of school aged(6-9yr olds) children in Gyeongbuk area were recruited to assist in this survey. Surveys were conducted by 404 parents.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y was 18.1%(73 students) and about one-half of the food allergic children had a family history of allergies, in particular, maternal family history. The major symptoms were related to skin and the major allergenic foods were mackerel, eggs, milk, wheat, crab and tomatoes. The parents eliminated the allergenic food from diet of 43.8% of the children with food allergy. Participants had an average knowledge score of 68% correct. The average knowledge score was higher for parents with food allergic children than for parents with intact children(p<.05). Over 61% of the respon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allergenic food labeling system operated in school food service. The requirements for the allergenic food labeling system were the front-of-package labeling, conspicuous description and insert of warning sign. The parents estimated that the most important effect of the allergenic food labeling system was the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in children with food allergy. Because the only prevention method for food allergy is the restriction of allergenic food, the institutional device to expand the food labeling to unpackaged food as well as packaged food and to make people trust the food labeling should be prepared.

Economic Valuation of Food E-labels for Restaurant Offerings

  • Jinwook JEONG;Tongjoo SUH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14권3호
    • /
    • pp.13-21
    • /
    • 2024
  •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use of food e-labels for restaurants to solve the current inadequacies in food labeling within the restaurant sector.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s the feasibility and scalability of implementing e-labels for food labeling purposes, investigates consumers' perceptions of e-labels for restaurant offerings, and assesses the value of implementing e-label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value of food e-labels was estimated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Samples were selected from the survey,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population, using stratified sampling method. In the survey, respondents were provided with information explaining the food e-label and were asked whether they would accept the proposed amount for food e-labeling. Results: Estima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 individual demographic factors of the respondent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willingness to pay (WTP), along with their food purchasing behavior and the degree of food labeling checking. Based on the estimated results, WTP was calculated to be 2,624 KRW. Conclusions: The study findings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related businesses and policies, sugges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and detailed discussions. To activate food e-labeling, promotion and education are essential complements to mere regulatory implementation.

블록기반 라벨과 화소기반 스캔마스크를 이용한 이진 연결요소 라벨링 (Binary Connected-component Labeling with Block-based Labels and a Pixel-based Scan Mask)

  • 김교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5호
    • /
    • pp.287-294
    • /
    • 2013
  • 이진 연결요소 라벨링은 영상처리와 컴퓨터비전 등의 영역에 널리 사용되는 기법 중의 하나이다. 지금까지 여러 가지 방법의 라벨링기법이 연구되어 왔는데 그 중에서 이중스캔 방법이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중스캔 방법에서는 전통적으로 화소단위로 스캐닝을 하면서 순차적으로 라벨링하는 방법을 사용했는데 최근에는 C. Grana et. al. 및 L. He et. al. 등이 제안한 복수의 인접화소를 묶은 블록을 기반으로 라벨링하는 방법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화소기반의 스캔마스크를 사용하면서 라벨링은 Grana의 블록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라벨링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실제 사용하는 영상들에 대해 실험한 결과 영상의 종류에 따라 제안된 방법이 현재 가장 효율이 좋은 He의 방법에 비해 평균 3.9%에서 22.4%까지 성능의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악성코드 분석의 Ground-Truth 향상을 위한 Unified Labeling과 Fine-Grained 검증 (Unified Labeling and Fine-Grained Verification for Improving Ground-Truth of Malware Analysis)

  • 오상진;박래현;권태경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549-555
    • /
    • 2019
  • 최근 AV 벤더들의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신종, 변종 악성코드의 출현 개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속도가 떨어지는 수동적 분석방법을 대체하고자 기계학습을 적용하는 악성코드 분석 연구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지도학습기반의 기계학습을 이용할 때 많은 연구에서 AV 벤더가 제공하는 신뢰성이 낮은 악성코드 패밀리명을 레이블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악성코드 레이블의 낮은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레이블링 기법인 "Unified Labeling"을 소개하고 나아가 Fine-grained 방식의 특징 분석을 통해 악성 행위 유사성을 검증한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다양한 기반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존의 레이블링 기법과 비교하였다.

Accurate Corner Detection using 4-directional Edge Labeling and Corner Positioning Templates

  • Park, Eun-Jin;Choi, Doo-Hyu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580-584
    • /
    • 2011
  • Corner positioning templates are proposed in order to detect the accurate positions of corners that are extracted using 4-directional edge labeling. Top-down and bottom-up directional labeling are used to label the edge segments with four kinds of labels according to their directions. The points whose labels have changed are then determined as corners. The exact positions of the missing corners due to the disconnected edges are detected through the corner positioning templates that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abels of start-points and end-points after the two-pass edge labeling.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detect the exact positions of the real corners.

Pattern recognition as a consistent labeling problem

  • Ishikawa, Seiji;Kurokawa, Kiyoshi;Kojima, Ken-Ichi;Kato, Kiyoshi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89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 Seoul, Korea; 27-28 Oct. 1989
    • /
    • pp.999-1004
    • /
    • 1989
  • This paper discusses a new method of recognizing patterns employing consistent labeling. A consistent labeling problem is a generalized expression of constraint satisfaction problems. When a pattern is recognized by pattern matching, the matching between a reference pattern and an acquired pattern resolves itself into finding correspondence between the pixels on the former and those on the latter. This can be expressed as a consistent labeling problem. Pattern association, a variation of pattern recognition, is also described employing consistent labeling. The proposed technique is supported by experimental results, yet further studies need to be done before its practical use.

  • PDF

음소 및 성조 레이블링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Phoneme and Tone Labeling Program)

  • 이윤경;곽철;권오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435-436
    • /
    • 2007
  • Although previous speech analysis programs usually provide speech analysis and phoneme labeling functionalities, they require much time in manual labeling and support only English alphabets. To solve these problems, we develop a new Windows-based program with an improved phoneme and tone labeling method as well as the conventional speech analysis functionalities. The developed program has the unique feature in semi-automatic phoneme and tone labeling based on hidden Markov models.

  • PDF

동맥스핀표지 뇌 관류 자기공명영상에서 라벨링 간격 및 지연시간, 표지 두께, 절편 획득 순서의 변화에 따른 관류 신호변화 연구 (Investigation of Perfusion-weighted Signal Changes on a Pulsed Arterial Spin Label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Technique: Dependence on the Labeling Gap, Delay Time, Labeling Thickness, and Slice Scan Order)

  • 변재후;박명환;강지연;이진완;이강원;장건호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4권2호
    • /
    • pp.108-118
    • /
    • 2013
  • 동맥스핀표지(Arterial Spin Labeling: ASL) 뇌 관류 자기공명영상법을 이용한 뇌 관류영상기술이 일반적으로 환자의 질병진단에 일반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이유는 영상을 얻을 때 여러 인자들을 최적화시켜야만 좋은 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동맥스핀표지 자기공명영상의 뇌 관류영상을 최적화 하기 위하여 필요한 여러 인자들의 변화에 따른 동맥스핀표지 신호변화를 3.0 테슬라 자기공명영상에서 관찰하는 것이다. 특히, 동맥시 핀표지 자기공명영상 신호 변화가 이들 인자에서 뇌 세포(brain tissues)의 영역에 따라서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평가하였다. 정상 성인 남성 5명을(평균연령 36세; 29세~41세) 대상에서 STAR (Signal Targeting with Alternating Radiofrequency) 동맥스핀표지 방법을 이용하여 3T 자기공명영상에서 영상을 얻었다. 실험은 첫째 영상획득 영역과 라벨링 영역간의 간격 변화에 따른 신호 변화 평가 실험, 둘째 라벨링 후의 시간 변화에 따른 신호 변화 평가 실험, 셋째 라벨링 두께의 변화에 따른 신호 변화 평가 실험, 넷째 슬라이스 획득 순서에 따른 신호 변화 평가실험을 하였다. 획득한 영상의 분석은 회백질과 백질, 전두엽, 측두엽, 후두엽, 두정엽에서의 관류신호변화를 얻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영상획득 영역과 라벨링 영역간의 간격 변화에 따른 관류 신호 변화 연구결과 전체 절편의 평균 값을 보면 회백질에서 좌측과 우측 모두에서 라벨링 간격이 증가할수록 신호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라벨링 간격의 변화에 두정엽이 가장 영향을 적게 받고 후두엽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다. 2) 라벨링 후의 시간 변화에 따른 관류 신호 변화 연구결과 회백질은 라벨링 지연시간 400 ms까지 양쪽 모두 감소하다가 라벨링 지연시간이 1,000 ms까지 증가하였다. 3) 라벨링 두께의 변화에 따른 관류 신호 변화 연구 결과 라벨링 두께가 증가에 따라 회백질과 백질의 신호강도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다가 120 mm 두께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4) 절편 획득 순서에 따른 관류 신호 변화 연구 결과 절편 획득 순서에 따른 백질과 회백질의 관류신호강도 값은 회백질과 백질 모두 머리의 꼭대기부터 영상을 획득하는 descend에서 신호강도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각 실험 조건에 따라서 관류신호 강도가 크게 변화를 하는 것을 보여 주었고, 따라서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관류 영상을 얻고자 할 경우에는 실제 임상 적용 전에 최적화된 프로토콜을 만든 후에 사용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백질의 뇌 관류영상을 얻는 것은 아직 문제가 있는 것으로 생각이 된다.

현 영양표시제도로 파악할 수 있는 한국인의 영양소 섭취 정보의 범위: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Study of the Coverage of Nutrition Labeling System on the Nutrient Intake of Koreans - using the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 박지은;이행신;이윤나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6-127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verage of the current mandatory nutrition labeling system on the nutrient intake of Koreans. Methods: KNHANES dietary intake data (2013) of 7,242 subjects were used in the analysis. KNHANES dietary intake data were collected by a 24-hour recall method by trained dietitians. For analysis, all food items consumed by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foods with mandatory labeling and other foods). In the next step, all food items were re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food type and nutrition labeling regulations: raw material food, processed food of raw material characteristics, processed foods without mandatory labeling, and processed foods with mandatory labeling. The intake of energy and five nutrients (carbohydrate, protein, fat, saturated fat, and sodium) of subjects from each food group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coverage of the mandatory nutrition labeling system among the total nutrient intake of Koreans. Results: The average intake of foods with mandatory labeling were 384g/day, which was approximately one quarter of the total daily food intake (1,544 g/day). The proportion of energy and five nutrients intake from foods with mandatory labeling was 18.1%~47.4%. The average food intake from the 4 food groups were 745 g/day (48.3%) for the raw food materials, 54 g/day (3.5%) for the processed food of raw material characteristics, 391 g/day (25.3%) for the processed foods without mandatory labeling, and 354 g/day (22.9%) for the processed foods with mandatory labeling. Conclusions: Although nutrition labeling is a useful tool for providing nutritional information to consumers, the coverage of current mandatory nutrition labeling system on daily nutrient intake of the Korean population is not high. To encourage informed choices and improve healthy eating habits of the Korean population, the nutrition labeling system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more food items and foodservice men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