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scale test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33초

Full-scale 저경도 납면진받침의 온도의존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Temperature Dependency of Full Scale Low Hardness Lead Rubber Bearing)

  • 박진영;장광석;이홍표;이영학;김희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533-540
    • /
    • 2012
  • 납코어가 삽입된 적층고무받침은 주요 재료가 온도에 대한 의존성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온도 환경이 장치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면진장치인 납면진받침에 대하여 실규모 장치를 제작하고 온도변화에 따른 강성 및 감쇠 특성변화에 대하여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실물 크기의 납면진받침을 사용하여 $-10^{\circ}C$, $0^{\circ}C$, $10^{\circ}C$, $20^{\circ}C$, $30^{\circ}C$, $40^{\circ}C$의 온도 조건에 대하여 ISO22762:2010에서 제시하고 있는 특성시험법을 적용하여 수직강성 및 수평특성에 대하여 의존성 경향을 파악하였다. 또한, 면진받침 설계 시 주요한 평가지표로 사용되는 2차강성 및 특성강도에 대하여 해외 제조사에서 제시하고 있는 온도보정식과 시험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수직강성에 대한 온도의존 경향을 파악하였다.

하수재이용에서 전처리 막 손상에 의한 수질변화가 SDI에 미치는 영향평가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nge by Membrane Damage to Pretreatment Process on SDI in Wastewater Reuse)

  • 이민수;서동주;이용수;정건용
    • 멤브레인
    • /
    • 제32권4호
    • /
    • pp.253-26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하수 재이용을 위한 역삼투막 공정에서 전처리 정밀여과막(MF) 손상에 대한 누출되는 다양한 수질변화로써 막 손상 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역삼투막 유입수질 적합성 평가지표인 SDI (silt density index)를 3에서 5의 범위 내에서 막 손상 시 검지 감도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전처리 분리막이 1에서 3가닥 파단에 따라 SDI는 1.92에서 6.11까지 증가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3을 기준으로 역삼투막 유입수질로 설정하였을 때 분리막이 3가닥까지 파단이 되어야만 막 손상 검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역삼투막의 오염은 잠재적으로 가속화되어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이때 누출되는 입자성과 유기물질에 대하여 0.45 ㎛ 이상의 크기만 걸러주는 입자계수는 입도분포별 막 파단 개수에 따라 일정한 패턴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TOC 농도는 약 2배의 변화패턴으로써 SDI와의 상관관계로써 TOC가 막 손상 수질지표로써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질분석결과와 더불어 USEPA에서 제시하는 막 손상 검지 방법 중 압력손실시험과 이를 기반으로 LRVDIT 모델의 적합성 평가를 한 결과 막 손상 또는 역삼투막 공정으로 유입되는 막오염물질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SDI 및 TOC를 포함한 LRVDIT 모니터링과 UCL 설정을 병행해야 한다.

암반강도 및 압입깊이에 따른 디스크커터의 최적간격 산정을 위한 개별요소법 기반 수치해석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optimum spacing of disc cutters considering rock strength and penetration depth using discrete element method)

  • 이상연;송기일;정주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383-399
    • /
    • 2020
  • 디스크커터의 간격을 최적화하는 것은 TBM 커터헤드의 설계의 핵심요소로, TBM의 굴진성능을 좌우한다. 실대형 선형절삭시험은 디스크커터의 간격 산정을 위해 가장 신뢰성 및 정확도가 높은 시험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대형 실험을 위해 경제적 및 시간적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요소법 기반의 수치해석 연구를 통해 암반의 일축압축강도 및 압입깊이에 따른 비에너지-S/P비 간의 경향성을 분석하였고, 17인치 디스크커터의 최적 간격을 도출하였다. 수치해석모델의 적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디스크커터에 작용되는 회전력을 CSM 모델과 비교·검토하였다. 선형절삭시험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 디스크커터에 작용되는 회전력은 CSM 모델의 이론식으로부터 도출한 회전력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5가지(50 MPa, 70 MPa, 100 MPa, 150 MPa, 200 MPa)의 일축압축강도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 암반강도가 증가할수록 디스크커터의 최적간격의 범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80~100 mm범위에서 최소 비에너지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기존에 보고된 디스크커터의 최적 간격과 일치되는 경향으로써, 본 연구를 통해 산정된 디스크커터 간격을 밑받침한다.

부분 유입 노즐을 적용한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용 초고속 터보발전기 개발 연구 (Research on Development of Turbo-generator with Partial Admission Nozzle for Supercritical CO2 Power Generation)

  • 조준현;신형기;강영석;김병휘;이길봉;백영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1권4호
    • /
    • pp.293-301
    • /
    • 2017
  •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사이클의 다양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Sub-kWe급의 소형 실험장치를 설계, 제작하였으며, 터보발전기를 개발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용 터빈에서는 팽창비가 작고, 유량이 작기 때문에 터보발전기의 회전수가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 부품의 선정, 터빈 공력설계, 축력 및 회전체 동역학 설계가 어려워지게 된다. 이에 터보발전기의 회전수를 줄이기 위하여 노즐의 여러 채널 중 1개의 노즐만 사용하는 부분유입 방법을 세계 최초로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용 터보발전기에 적용하였으며, 회전체의 진동을 측정하여 부분유입 노즐을 적용함에도 회전체 안정성은 허용 범위내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격장 납 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토양세척시 HCl과 EDTA의 영향 연구 (Effects of HCl and EDTA on Soil Washing to Remediate Lead-contaminated Soil in a Firing Range)

  • 김효식;최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3권1호
    • /
    • pp.60-6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실제 납 탄알로 오염된 사격장 토양에 대해 토양세척기법을 적용하기위한 lab-scale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토양오염공정시험법과 EPA Method 3050B 분석결과 각각 4,803.5 mg/kg, 9,443 mg/kg으로 나타났다. 회분식 토양세척 실험에서 HCl을 세척제로 사용한 경우 농도증가에 따른 제거율은 로그적인(logarithmic) 경향을 나타내었고 0.1M에서 약 90% 정도 제거되었으며, EDTA는 농도에 비례하여 제거율도 증가하여 0.1 M에서 약 98%의 제거율을 보였다. 교반강도에 따른 시간별 세척효율을 분석한 결과, HCl과 EDTA를 사용한 경우 모두 교반강도의 증가와 비례하여 토양내 제거율이 증가하였으나 200 rpm과 300 rpm에서의 제거율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응 초기 10분 이내에 대부분의 용출이 이뤄지고 60분 경과 후에는 제거율 증가가 둔화되었다.

유전자변형 미세조류의 생태 유출 모니터링 및 위해성평가 연구 (Monitoring and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Genetically Modified Microalgae)

  • 조기철;전한철;황현주;홍지원;이대성;한종원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2-61
    • /
    • 2019
  • Over the past few decades, microalgae-based biotechnology conjugated with innovative CRISPR/Cas9-mediated genetic engineering has been attracted much attention for the cost-effective and eco-friendly value-added compounds production. However, the discharge of reproducible living modified organism (LMO) into environmental condition potentially causes serious problem in aquatic environment, and thus it is essential to assess potential environmental risk for human health.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monitored discharged genetically modified microalgae (GMM) near the research complex which is located in Daejeon, South Korea. After testing samples obtained from 6 points of near streams, several green-colored microalgal colonies were detected under hygromicin-containing agar plate. By identification of selection marker genes, the GMM was not detected from all the samples. For the lab-scale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GMM, acute toxicity test using rotifer Brachionus calcyflorus was performed by feeding GMM. After feed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tality between WT and transformant Chlamydomonas reinhardtii. According to further analysis of horizontal transfer of green fluorescence protein (GFP)-coding gene after 24 h of incubation in synthetic freshwater, we concluded that the GFP-expressed gene not transferred into predator. However, further risk assessments and construction of standard methods including prolonged toxicity test are required for the accurate ecological risk assessment.

황 화합물계 악취 제거 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 Removing Sulfur Compound Odor)

  • 김진수;유용규;이상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27-132
    • /
    • 2004
  • 활성 오니법에 의한 하수처리장 포기조에서 슬러지를 채취하여 황화물계 악취제거 균주인 Thiobacillus속의 선별 배지로 50개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50개 균주의 동정 결과 7개 균주는 Thiobaecillus neapolitanus, 4개 균주는 Thiobacillus tepidarius, 5개 균주는 Thiobacillus denitrificans, 23개 균주는 Thiobacillus versutus, 2개 균주는 Thiobacillus intetmedius, 9개 균주는 Thiobacillus perometabolis로 동정되었다. 분리 동정한 균주들로 고효율 황화물계 악취(황화수소, dimethyl sulfide, methyl disulfide)제거 균주 스크린을 하였다. 그 결과 황화수소, dimethyl sulfide에 대하여 KT5l(Thiobacillus versutus)균주가 각각 l00%, 85%로 가장 높은 제거율을 보였다. Dimethyl disulfide의 경우에는 전체 균주가 다른 악취성분에 비해 제거율이 낮았는데 KT8l균주가 26%로 가장 높은 제거율을 보였다. 스크린 결과 KT5l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KT51균주를 밀폐된 모형 생물학적 처리 반응기에 적용하여 황 화합물의 제거 효율을 비교한 결과, 황화수소의 경우, 100 ppm을 주입 후 균주 적용전의 운전 결과는 30분 이후에 0.02 ppm 미만(99.8%)으로 제거한 반면, 균주 적용 시의 운전 결과는 15분에 황화수소를 0.02 ppm 미만(99.8%)으로 처리하였다.

Evaluation of Leachate Replacement Effect on Solid State Anaerobic Digestion of Dairy Manure and Sawdust Bedding Mixtures

  • Jo, Hyeonsoo;Lee, Seunghun;Kim, Eunjong;Ahn, Heekw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93-305
    • /
    • 2017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leachate replacement frequency on solid state anaerobic digestion (SSAD) of dairy manure using 22 L volume lab-scale digesters at mesophilic temperature ($37^{\circ}C$) in batch mode. Three different leachate replacement strategies (no replacement, once every three days, and once every nine days) were applied and three digesters per each treatment were operated for 45 days. Results showed that leachate replacement test unit every nine days resulted in 1.6 times more methane production ($53.8N{\cdot}mL\;g^{-1}{\cdot}VS$) from SSAD compared to test unit every three days ($34.0N{\cdot}mL\;g^{-1}{\cdot}VS$). No leachate replacement strategy applied group showed slightly higher methane production ($56.3N{\cdot}mL\;g^{-1}{\cdot}VS$) than every nine days replaced one. When added the methane production potential of replaced leachate itself to the methane produced from digester, leachate replacement every nine days resulted in quite similar methane production ($56.5N{\cdot}mL\;g^{-1}{\cdot}VS$) to no leachate replacement group. Even though methane production potential of replaced leachate itself added to the methane produced from digester, every three days replacement showed only $34N{\cdot}mL$ methane production per gram of volatile soli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rmers do not need to replace leachate during SSAD of dairy manure and sawdust mixture in order to maximize methane production. If there are any concerns with accumulation of inhibiting substances in the digester, the 9-day cycle leachate replacement is appropriate.

Evaluation of Toxicity for Commercial Red Mud Pellets Using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 and Daphnia magna

  • Lee, Saeromi;Ahn, Chang Hyuk;Park, Jae Roh;Lee, Sooji;Lee, Inju;Joo, Jin Chul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4호
    • /
    • pp.345-350
    • /
    • 2015
  • The toxicity of red mud (RM) pellets for water purification was evaluated using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 and Daphnia magna in a lab-scale experiment. According to the algal growth inhibition test, both specific growth rates and relative growth rates of P. subcapitata decreased, and the growth inhibition rates increased ($R^2=0.97$, p<0.001) as the concentration of RM pellets in the aqueous solution increased (>1.6 g/L). Also, based on the acute toxicity evaluation test on D. magna, toxic unit (TU) values ranged between 0.00 and 2.83, and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RM pellets in the aqueous solution. A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H of RM pellets was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TU values ($R^2=0.77$, p=0.02). The environmental implication from this study is that the concentration of RM pellets in an aqueous solution needs to be lower than 4.4 g/L to keep the maximum permissible TU value less than 1.0.

미생물제제의 해상유출유 분해 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Bioremediation Agents to degrade the spilled oils on waters)

  • 임재동;윤종휘;김인수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73-79
    • /
    • 2004
  • 해상에서의 대형 유류유출 사고 발생으로 인한 유류오염은 해양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극 최종적으로는 인간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해안을 접한 많은 나라들은 방제기술 향상을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유류 제거는 몇몇 국가에서 2차적인 방제방법이나 다른 방제 방법의 대안으로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향후 유류사고 발생시 적용을 위해 미생물제제의 분해 효과와 영향을 실험실 규모의 실험을 통해 찾아보았다. 본 논문에서 유출유에 대한 미생물제제의 효과와 효율은 단기적으로 실험실에서 행해진 실험의 결과이므로 실제와는 많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차후에는 장기적인 현장실험을 통한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유출유의 방제 가능성을 찾아보아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