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 Removing Sulfur Compound Odor

황 화합물계 악취 제거 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We isolated 50 strains from sludge of wastewater treatment aeration tank using selective medium for Thio-bacillus sp. by membrane filtration method. They were identified as Thiobacillus neapolitanus (7), T. tepidarius (4), T. dientrificans (5), T. versutus (23), T. intermedius (2) and T. perometabolis (9). We selected Thiobacillus versutus strain KT51, which had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100%) of hydrogen sulfide and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85%) of dimethyl sulfide for 30 min in screen test. Also Thiobacillus versutus strain KT81 had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26%) of dimethyl disulfide for 30 min in screen test. In applification of lab-scale reactor (closed-biological treatment) using Thiobacillus versutus strain KT51, results were 99.8% (<0.02 ppm) removal efficiency of hydrogen sulfide for 15 min.

활성 오니법에 의한 하수처리장 포기조에서 슬러지를 채취하여 황화물계 악취제거 균주인 Thiobacillus속의 선별 배지로 50개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50개 균주의 동정 결과 7개 균주는 Thiobaecillus neapolitanus, 4개 균주는 Thiobacillus tepidarius, 5개 균주는 Thiobacillus denitrificans, 23개 균주는 Thiobacillus versutus, 2개 균주는 Thiobacillus intetmedius, 9개 균주는 Thiobacillus perometabolis로 동정되었다. 분리 동정한 균주들로 고효율 황화물계 악취(황화수소, dimethyl sulfide, methyl disulfide)제거 균주 스크린을 하였다. 그 결과 황화수소, dimethyl sulfide에 대하여 KT5l(Thiobacillus versutus)균주가 각각 l00%, 85%로 가장 높은 제거율을 보였다. Dimethyl disulfide의 경우에는 전체 균주가 다른 악취성분에 비해 제거율이 낮았는데 KT8l균주가 26%로 가장 높은 제거율을 보였다. 스크린 결과 KT5l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KT51균주를 밀폐된 모형 생물학적 처리 반응기에 적용하여 황 화합물의 제거 효율을 비교한 결과, 황화수소의 경우, 100 ppm을 주입 후 균주 적용전의 운전 결과는 30분 이후에 0.02 ppm 미만(99.8%)으로 제거한 반면, 균주 적용 시의 운전 결과는 15분에 황화수소를 0.02 ppm 미만(99.8%)으로 처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환경공학회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집(II)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하수중계펌프장 악취물질 제거 김갑수;정주영;김소정
  2. 한국환경위생학회지 v.24 제과공장 폐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악취저감 김영석;손병현;조상원;정종현
  3. 대한 환경공학회 추계 학술 연구 발표회 악취저감을 위한 탈취제 분류 및 특성비교 김학민;김선태
  4. 대한환경공학회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황토와 왕겨를 이용한 황화합물 악취제거 김환기;박찬수;김호열;정성운;나영
  5.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집(III) 초미세기포장치를 이용한 포기조 탈취법에 의한 피혁공정의 악취제거에 관한 실험실적 연구 류태석;박주천;김종국
  6. 대한환경공학회 98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고로슬래스 소재 세라믹담체를 이용한 황화수소 악취제거 박상진;서정석
  7. J. Korean Ind. Eng. Chem. v.14 악취처리를 위한 알루미나 Biofilter의 영향 박영구;김승호;고재철
  8. 한국수산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발표요약집 암모니아 산화세균에 의한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효율 박지현;강선모;이선희;이명숙
  9. J. IHS v.25 국내외의 악취규제현황 및 제거대책에 관한 비교고찰-한국,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안광일
  10. 대한환경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황산화세균이 고정화된 biofilter를 이용한 황화수소와 암모니아 혼합 악취의 제거 이은영;조경숙;류희숙;배무
  11. Appl. Chem. v.6 악취성분에 대한 첨착활성탄의 흡착특성 이정대;천종민;정상철;박상숙;안호근
  12. 환경관리학회지 v.7 플라즈마를 이용한 악취가스 처리기술 이주상
  13. 환경관리학회지 v.7 흡수 · 흡착을 이요한 악취처리기술 이주상;임백규;김진구;이철민
  14. 폐기물자원화 v.6 Rhodospirillum rubrum N-1을 이용한 양돈폐수의 악취제거 최경민;김종승
  15. 대기환경보전법령집 환경부
  16. 환경부보 하수처리기술하 · 폐수처리장의 악취제거기술 개발(토양미생물을 이용한 하 · 폐수의 무취고도 처리공정개발)
  17. 한국폐기물학회 v.9 생물접촉여상탈취장치를 이용한 분뇨처리장의 악취제어 허목
  18. J. Sys. Evol. Microbiol. v.51 Detailed phylogeny of ammonia-oxidizing bacteria determined by rDNA sequences and DNA homology values Aakra,A.;J.B.Utaker;R.R.Andreas;H.P.Koops;I.F.Nes https://doi.org/10.1099/00207713-51-6-2021
  19. Environ. Sci. Technol. v.19 Water reuse: Where are we headed? Argo,D.G. https://doi.org/10.1021/es00133a603
  20. Microbiology A laboratory Manual(6th ed.) Cappuccino,J.G.;N.Sherman
  21. J. Wat Pollut. Control Fed. v.44 Fundamentals of odor control Dague,P.R.
  22. Bacterial Metabolism(2nd ed.) Doelle,H.W.
  23. Geomicrobiology(3rd ed.) Revised and Expanded Ehrlich,H.I.
  24. Wat. Res. v.35 The formation of malodorous dimethyl oligosulphides in treated groundwater: the role of biofilms and potential precursors Franzmann,P.D.;A.Heitz;I.R.Zappia;J.E.Wajon;K.Xanthis https://doi.org/10.1016/S0043-1354(00)00425-5
  25. Catalysis Today v.40 Catalytically enhanced absorption of sulphur species from odorous air stream: A new technology for odour abatement Hancock,F.G.;F.King;W.R.Flavell;M.S.Islam https://doi.org/10.1016/S0920-5861(98)00058-3
  26. Appl. Environ. Microbiol. Nitrogen removal by tubular gel containing Nitrosomonas europaea and Paracoccus demitrificans Hiroaki Uevoto;Hiroshi Saiki
  27. J. Biosci. Bioeng. v.91 Efficient removal of sulfide following integration of multiple copies of the sulfide-quinone oxidoreductase gene(sqr)into the Escherichia coli chromosome Hiroomi,S.;T.Mika;Y.Ikuko;K.Shigeki https://doi.org/10.1263/jbb.91.493
  28.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9th ed.) Hotl,J.G.;N.R.Krieg;P.H.A.Sneath;J.T.Staley;S.T.Williams
  29.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1 Holt,J.G.;N.R.Krieg;P.H.A.Sneath;J.T.Staley;S.T.Williams
  30. Wat. Res. v.29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sulfur and nitrogen containing odorous compounds in wastewater Hwang,Y.W.(et al.) https://doi.org/10.1016/0043-1354(94)00145-W
  31. Gas. Sep. Purif. v.10 Characterization of sewage sludgederived absorbents for H₂S removal. Part 2: Surface and pore structural evolution in chemical activation Lu,G.Q.;D.D.Lau https://doi.org/10.1016/0950-4214(96)00011-4
  32. Env. Pollut. v.99 Developement of effective hydrogen sulphide removing equipment using Thiobacillus sp.IW Oh,K.J.;K.Kim;I.H.Lee https://doi.org/10.1016/S0269-7491(97)00168-1
  33. Advances in Applied Microbiology v.19 Perlman,D.
  34. The Prokaryotes- A Handbook on Habitat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 Starr,P.M.;H.Stolp;H.G.Triiper;A.Balows;H.G.Schleg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