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PO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초

사료를 통한 Benzo(a)pyrene 노출에 따른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생화학 및 조직병리학적 변화 (Biochemical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Rockfish, Sebastes schlegeli by Dietary Benzo(a)pyrene)

  • 박대국;김재원;지정훈;박수일;강주찬
    • 환경생물
    • /
    • 제22권3호
    • /
    • pp.387-393
    • /
    • 2004
  • 사료를 통한 benzo(a)pyrene이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lipid peroxidation (LPO), superoxide dismutase(SOD)활성과 간 조직의 병변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위해 0 (대조구), 0.5, 1.0, 1.5, 2.0 mg $kg^{-1}$ 농도의 사료를 조제하여 30일간 급이하였다. LPO는 2.0mg kg$^{-1}$농도구에서 전 실험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SOD 활성도 2.0 mg $kg^{-1}$ 농도구에서 30일째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간 조직 검경시 10일째에 1.0mg $kg^{-1}$ 이상의 농도구에서 세포비대가 나타났고, 같은 농도에서 periodic acid-Schiff (PAS) 염색시 양성으로 나타나는 granule이 30일째에 나타났고, 2.0mg $kg^{-1}$ 농도구에서는 20일째부터 관찰되었다. 그리고, 30일째 2.0mg $kg^{-1}$ 농도구의 일부 어체에서는 간 세포의 괴사가 관찰되었다.

미역 (Undaria pinnatifida) 국수의 투유가 랫트 간장중의 활성산소 및 제거효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rown Algae (Undaria pinnatifida)-Noodle on Oxygen Radicals and Their Scavenger Enzymes in Liver of Sprague-Dawley Rats)

  • 최진호;김대익;박수현;김동우;백영호;김창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7-92
    • /
    • 2000
  • 간장중의 활성산소 및 제거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미역의 건조분말을 $10{\%},\;20{\%},\;40{\%}$-첨가 조제한 미역국수 ($10{\%},\;20{\%},\;40{\%}\;FBA-noodle$)를 4주동안 SD계 흰쥐에 투여하여 미역국수의 생리작용을 평가하였다. $10{\%},\;20{\%},\;40{\%}$ FBA-noodle의 투여그룹의 mitochondria의 ${\cdot}OH$ 생성은 대조그룹 대비 각각 $20{\%},\;25{\%},\;35{\%}$의 현저한 OH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10{\%},\;20{\%},\;40{\%}$ FBA-noodle의 투여그룹의 microsome의 ${\cdot}OH$ 생성도 대조그룹 대비 $12{\~}20{\%}$의 유의적인 ${\cdot}OH$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10{\%},\;20{\%},\;40{\%}$ FBA-noodle의 microsome의 $H_2O_2$의 생성은 유의적인 억제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지만, cytosol중의 $O_2^({\cdot}-)$ 생성은 $20{\%},\;40{\%}$ FBA-noodle에서 $10{\%}$$O_2^({\cdot}-)$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10{\%},\;20{\%},\;40{\%}$ FBA-noodle 투여그룹의 간장 mitochondria의 Mn-SOD 활성은 대조그룹 대비 $10{\~}15{\%}$의 Mn-SOD 활성의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간장 microsome의 Mn-SOD 활성은 $10{\%} 및 20{\%}$ FBA-noodle 투여그룹은 Mn-SOD 활성의 유의적인 증가 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지만, $40{\%}$ FBA-noodle 투여그룹은 $12{\%}$의 유의적인 Mn-SOD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10{\%},\;20{\%},\;40{\%}$ FBA-noodle의 투여그룹의 간장 cytosol의 Cu, Zn-SOD 활성은 대조그룹 대비 $10{\~}20{\%}$의 Cu, Zn-SOD 활성의 유의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한편 간장 cytosol의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 (GSHPx) 활성을 평가하여 보면 $10{\%}, 20{\%}, 40{\%}$ FBA-noodle 투여그룹의 cytosol의 GSHPx 활성은 대조그룹 대비 $20{\~}40{\%}$의 매우 효과적인 GSHPx활성의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10{\%}, 20{\%}, 40{\%}$ FBA-noodle 투여그룹의 mitochondria의 LPO의 함량을 비교하여 보면 $10{\%}$ FBA-noodle은 유의적인 LPO의 생성 억제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지만, $20{\%},\;40{\%}$ FBA-noodle은 $10{\%}$의 유의적인 LPO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10{\%},\;20{\%},\;40{\%}$ FBA-noodle 투여그룹의 microsome의 LPO의 함량은 $10{\%}$ FBA-noodle은 유의적인 LPO의 생성 억제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지만, $20{\%} 및 40{\%}$ FBA-noodle은 약 $10{\~}12{\%}$의 유의적인 LPO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 PDF

Enzymatic Radioiodination of Insulin for Radioimmunoassay Use

  • Awh, Ok-Doo;Kim, Jae-Ro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2권2호
    • /
    • pp.81-87
    • /
    • 1980
  • 락토퍼옥시데이즈(lactoperoxidase, LPO)를 사용하여 인슈린을 $^{125}$/I로 표지반응 시켰다. 반응생성물은 전분젤 전기영동(SGE) 과 세파덱스 젤여과(SF) 둥 두단계를 거쳐 정제하였다. 표지수율 과표지생성물의 항체에 대한 결합능으로 보아 종래의 클로라민-T법 (표지수율 약 35%)보다 효소법 (표지수율 약 50%)이 우수하였다. 인슈린의 첨가없이 LPO법으로 표지반응을 진행시킨 다음 SGE, 종이 크로마토그래피, 방사선사진술 등을 적용하여 LPO법에서의 부산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SGE와 SF에서의 분리 분별 부분에 관해서도 분석, 토의하였다.

  • PDF

마늘의 가공 조리 방법에 따른 lipoxygenase 활성도 저해 효과 (Inhibition of Lipoxygenase Activity by the Extract of Various Processed Garlic)

  • 김미리;모은경;이근종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15-221
    • /
    • 1993
  • Bioactivity of the extract from various processed garlic was evaluated based on the inhibition of lipoxygenase(LPO), and the effect of some stabilizers on the bioactivity was investigated. Water, ethanol or chloroform extract of 30 min boiled garlic showed 75%, 76% or 70% inhibition, respectively, compared to extracts of fresh garlic. In pickled garlic, LPO inhibition decreased gradually during storage. Chloroform extract of 40 day-stored pickled garlic inhibited LPO by 77%, and even on 60th day storage it still retained inhibitory effect of 73%, compared to that of fresh garlic. Meanwhile, the powdered (freeze-dried) garlic showed more bioactivity(80%) than the other processed garlics, and moreover, the jrreversible/unstable components seem to be stabilized by freeze-drying. The optimum pH for stabilization of bioactive components in garlic macerate was pH 3 for 48 hr incubation and pH 11 for 6 hr incubation. In addition, the effect of NaCl was not so great, although but maximal stabilization was observed at 150 mM. Stabilizing effect of $\alpha$-tocopherol was markedly great, and at 6mM it showed 308% stabilizing effect after 48hr incubation. More stabilizing effect was observed at lower concentrations of ascorbic acid($\leq$0.6mM) than higher concentrations. The stabilizing effect of soybean oil was found to be remarkable only during initial period(6 hr) of incubation.

  • PDF

Effect of Quercetin on the Activity and mRNA Expression of Antioxidant Enzymes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xposed to Cadmium

  • Shin, H.S.;Yoo, J.H.;Min, T.S.;Lee, J.;Choi, C.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6호
    • /
    • pp.742-749
    • /
    • 2010
  •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efficacy of quercetin (0% Diet 1, 0.25% Diet 2, and 0.5% Diet 3) pretreatment for 30 and 60 days in response to cadmium (Cd) toxicity in the olive flounder, and measured the plasma lysozyme activity to understand the immune effects of quercetin. The lysozyme activity with Diets 2 and 3 was higher than with Diet 1. Based on this result, to examine the immune ability and antioxidant role of quercetin, we exposed olive flounder fed quercetin to Cd and then measured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CAT)) and lipid peroxidation (LPO). With Diets 2 and 3,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and the $H_2O_2$ concentration were lower than with Diet 1. In addition, the LPO levels were lower than with Diet 1, which protected the cell membrane. Therefore, quercetin removed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ed by Cd, indicating that quercetin has antioxidant ability. In addition to its antioxidant ability, quercetin has immune effects.

간장 세포막의 유동성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솔잎(Pine Needle) 에틸아세테이트획분의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Ethyl Acetate Fraction on Membrane Fluidity and Oxidative Stress in Liver Membranes of Rats)

  • 최진호;김대익;백승진;박시향;김남주;최민경;조원기;김창목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84-691
    • /
    • 2003
  • 솔잎 EtOAc획분을 하루 25, 50, 100 mg/kg체중으로서 SD계 랫트에 45일동안 투여하여 간장획분의 세포막 유동성(membrane fluidity MF), 기초 및 유도활성산소(BOR 및 IOR), 산화적 스트레스로서 과산화지질(lipid peroxide : LPO) 및 산화단백질(oxidized protein : OP), 그리고 리포푸신(lipofuscin : LF)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보았다. 솔잎 EtOAc획분의 투여에 의하여 간장의 mitochondria 및 microsome획분에서 어느 정도 MF가 증가하였지만, 유의성은 EtOAc-100 투여그룹의 mitochondria획분에서만 인정되었다. 기초 및 유도활성산소로서 BOR 및 IOR의 생성 억제효과는 간장의 두 획분의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유의적인 활성산소의 생성 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mitochondria획 분에서 는 EtOAc-100투여그룹에서, 그리고 microsome획분에서는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유의적인 LPO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 mitochondria 획분에서는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유의적인 OP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지만, microsome 획분에서는 아무런 유의성도 인정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간장의 클로로포름층에서 측정한 LF의 축적은 EtOAc-25, EtOAc-50 및 EtOAc-100 투여그룹에서 다같이 유의적인 LF의 축적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평가하여 볼 때 솔잎 EtOAc획분의 투여는 간장의 유동성을 촉진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수온 환경에 의해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넙치의 항산화 작용과 생리적 변화 (Antioxidant Defenses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Response to Oxidative Stress Induced by Elevated Water Temperature)

  • 신현숙;안광욱;김나나;최철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8
    • /
    • 2010
  • 고수온 환경 ($25^{\circ}C$$30^{\circ}C$)에 노출시킨 넙치의 산화 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넙치의 간 조직에서 항산화 효소 [superoxide dismutase (SOD)와 catalase(CAT)] mRNA의 발현량 및 그 활성을 측정한 결과, $20^{\circ}C$ 대조구보다 $25^{\circ}C$$30^{\circ}C$ 실험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지질 과산화 지표로 사용되는 lipid peroxidation(LPO)을 측정한 결과, $25^{\circ}C$$30^{\circ}C$ 실험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LPO의 증가는 SOD 및 CAT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체내의 $H_O_2$ 농도 또한 $25^{\circ}C$$30^{\circ}C$ 실험구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고수온 환경이 넙치의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고수온 환경에 노출시킨 넙치의 혈중 alanine aminotransferase (AlaAT)와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pAT) 값을 측정 한 결과, AlaAT와 AspAT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면역 지표로 사용되는 lysozyme 활성도가 $20^{\circ}C$ 대조구보다 $30^{\circ}C$ 실험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낸 점으로 보아, 고수온 환경에 노출된 넙치에서는 간 세포의 손상뿐만 아니라 면역력 또한 저해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고수온 환경에 노출시킨 넙치에서 항산화 효소인 SOD와 CAT mRNA 발현량 및 활성이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활성산소와 LPO 값 또한 증가된 점으로 보아, 고수온 환경은 넙치의 체내에서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동시에 면역 기능을 저해시키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당뇨유발 흰쥐에 있어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함박잎새버섯의 효과 (Effects of Hanbag Mushroom(Grifola frondosa) on Oxidative Stress in Diabetic Rats)

  • 이순이;이창윤;박영철;김종봉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571-1575
    • /
    • 2007
  • 본 연구는 당뇨병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함박잎새버섯분말의 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SD계 흰쥐를 STZ로 당뇨를 유발하여 간 및 신장 조직에서 조사하였다. 또한 당뇨흰쥐에 함박잎새버섯분말 1-2% 첨가하여 6주간 식이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의 지표물질인 LPO를 비롯하여 유발원 XOD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에 따른 간조직 손상 확인을 위해 혈청 ALT와 AST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특히 함박잎새버섯분말의 항산화적 효능을 위해 이들 지표물질들과 더불어 항산화체계의 중요 요소인 GSH 농도와 GST 활성도를 당뇨군, 당뇨-잎새버섯분말투여군 그리고 정상군에서 측정하였다. 당뇨군은 정상군과 비교하여 LPO 농도를 비롯하여 XOD 활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이러한 결과로 추정되는 간 조직 손상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ALT 및 AST 활성도가 혈청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당뇨-잎새버섯분말투여군에서는 LPO 농도, XOD 활성도를 비롯하여 조직손상의 지표인 ALT 및 AST 활성도가 당뇨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항산화물질인 GSH 농도는 당뇨군 및 당뇨-잎새버섯분말투여군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GST 활성도는 당뇨-잎새버섯분말투여군이 당뇨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당뇨유발성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잎새버섯분말의 효능은 GSH 농도 변화보다 GST 활성도를 증가시키고 또한 산화적 스트레스의 유발원인 XOD 활성도 감소의 유도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당뇨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며 조직손상을 유발한다. 그러나 함박잎새버섯분말은 항산화물질 및 효소계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당뇨유발-산화적 스트레스 감소를 유도하여 조직 손상을 감소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생의 항산화작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Antioxidant Action of Loranthus parasiticus(L.) merr)

  • 차은이;김병수;김동희;이용구;김연진;강정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939-945
    • /
    • 2003
  • In order to examine the antioxidant action of Loranthus parasiticus (L.) merr (LP), the study was done through measurement of parameters such as LPO, GSH, SOD, catalase, GOT, GPT and ALP.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For the weight changes, in the left cerebrum, right cerebrum, cerebellum and testis, the group given LP showed small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 weight change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left cerebrum, the group given L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content of LPO and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activity of SOD. But in the right cerebrum, cerebellum the changes were not significant. For the changes of contents of SOD and catalase in the liver, the group given L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r the changes of the activity of SOD in the kidney, the group given L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r the changes of contents of LPO and GSH in the spleen, the group given LP were showed no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for the changes of the activities of SOD and catalase, the group given LP showed no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r the changes of content of LPO in the testis, the group given L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for the changes of the activity of catalase, the group given L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r the changes of GOT, GPT in the serum, the group given L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rom above results, the antioxidant action of LP is effective. And it is expected to be necessary to the study of the mechanism in the antioxidant of LP.

경기육괴 남서부 유구 지역 금계산에 분포하는 각섬암류 내 각섬석의 격자선호방향 (Lattice Preferred Orientation of Amphibole in Amphibole-rich Rocks from Mt. Geumgye, Yugu, Gyeonggi Massif, South Korea)

  • 김준하;정해명
    • 광물과 암석
    • /
    • 제35권3호
    • /
    • pp.259-271
    • /
    • 2022
  • 광물의 격자구조가 특정한 방향성을 보이는 격자선호방향은 광물의 변형 조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해당 광물과 이를 포함한 암석의 변형 조건을 연구하는데 있어 유용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경기육괴의 남서부지역에 위치한 유구읍 추계리 금계산 일대의 각섬암류를 채취하여 암석내부 각섬석과 장석의 격자선호방향을 후방산란전자회절 기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구지역의 각섬석에서는 type IV와 type I 두가지 격자선호방향이 관찰되었다. 유구지역의 각섬암류 내 각섬석은 격자선호방향에 관계없이 강체회전에 의해 변형을 받은것으로 보이며, 암석의 변형정도가 결정입도와 격자선호방향에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각섬석의 결정입도가 커서 변형을 가장 작게 받은것으로 생각되는 시료에서는 각섬석이 강한 type I 격자선호방향을 보여주었다. 이에 반해, 각섬석의 결정입도가 작아 고변형을 받은 것으로 생각되는 시료들에서는 각섬석이 약한 type IV 격자선호방향을 보여 주었다. 유구지역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암석의 변형정도는 각섬암류와 인접해있는 페리도타이트에서도 관찰된 바 있어, 유구지역이 다양한 수준의 변형을 받았음을 지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