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PL 유전자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4초

경신해지환(輕身解脂丸) (GGT1)이 형질전환 비만모델 hGHTg 수컷 쥐의 비만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yeongshinhaeGihwan 1(GGT1) on the Expression of Obesity-related Genes in Obese Male hGHTg Rats)

  • 정양삼;윤미정;김경철;신순식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3-97
    • /
    • 2006
  • To investigate whether GyeongshinhaeGihwan 1(GGT1), an anti-obesity herbal medicine widely used in oriental medicine, regulates the expression of obesity-related genes, we measured the changes in mRNA levels of these genes by GGT1 in human growth hormone transgenic (hGHTg) obese male rats, and these effects by GGT1 were compared with those of reductil (RD), an anti-obesity drug approved by FDA. Rats received once daily oral administrations of autoclaved water, RD, or GGT1 for 8 weeks. At the end of study, rats were sacrificed and tissues were harvested. Total RNA from adipose tissue, liver and kidney was prepared and the mRNA levels for LPL (lipoprotein lipase), PPAR $\gamma$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gamma), PPAR$\delta$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delta), leptin, TNF$\alpha$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nternal standard G3PDH (glyceraldehyde-3- phosphate dehydrogenase) were analyzed by RT-PCR. PPAR$\gamma$ mRNA levels of liver and kidney were decreased in drug-treated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nd the decrease of PPAR$\gamma$ expression was more prominent in GGT1 group than in RD group, suggesting that GGT1 is effective in the inhibition of adipogenesis and lipid storage by decreasing the PPAR$\gamma$ expression. In contrast, PPAR$\delta$ mRNA levels of adipose tissue and kidney were increased by RD and GGT1 , and the magnitudes of increase were higher in GGT1 group than in RD group, indicating that GGT1 stimulates fatty acid oxidation and energy metabolism by activating PPAR$\delta$ expression, Compared with control and RD groups, GGT1 group had higher concentrations of serum leptin, a well-known inhibitor of appetite. However, The mRNA levels of leptin, LPL, and TNF$\alpha$ were not changed by GGT1 and RD, compared with DW.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GGT1 not only decreases PPAR$\gamma$ expression of liver and kidney, but also increases PPAR$\delta$ expression of adipose tissue and kidney, leading to the regulation of obesity and that these effects were more pronounced in GGT1 group compared with RD group. In addition, GGT1 seems to prevent obesity by increasing the serum leptin levels.

유전성 비만 마우스에 대한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African Mango (Irvingia gabonesis, IGOB 131TM) Extract in Leptin-deficient Obese Mice)

  • 이민희;남다은;김옥경;심태진;김지훈;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477-148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유전성 비만 마우스를 이용하여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 내용을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의 섭취 농도를 식이의 1%와 2%로 정하고, AIN93G diet에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 분말을 1%와 2% 섞어 diet를 제작하였다. 실험 식이를 8주간 제공한 후 실험 종료 시 실험군들의 체중 변화는 ob/o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동물의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간의 무게와 지방조직의 무게가 ob/o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동물의 혈청 지질 함량은 TG, TC, LDL-콜레스테롤이 ob/ob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HDL-콜레스테롤은 고농도 섭취 시 ob/o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diponectin 유전자의 발현은 ob/ob군이 가장 낮았고, 실험식이 섭취군들은 ob/o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dipogenic enzyme과 transcription factor인 FAS, LPL, PPAR-${\gamma}$, C/EBP, SREBP 유전자의 발현은 ob/ob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실험식이 섭취군들은 ob/o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전반적으로 본 실험에서는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이 leptin 유전자가 결핍된 비만 동물 모델에서 체중 감소 및 혈청 지질 함량을 개선시켜 주는 효과가 있고, adipogenic enzyme과 transcription factor 조절에 유익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이 항비만 효과를 가진 천연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Adipogenesis관련 유전자발현감소와 Cell Cycle Arrest를 통한 EGCG와 Glucosamine-6-Phosphate의 Anti-Obesity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EGCG and glucosamine-6-phosphate through decreased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adipogenesis and cell cycle arrest in 3T3-L1 adipocytes)

  • 김꽃별;장성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1호
    • /
    • pp.1-11
    • /
    • 2014
  • 널리 음용되고 있는 녹차의 EGCG과 우리나라 국민의 상당수가 복용하고 있는 건강기능성 식품 성분인 글루코사민은 이전의 연구들을 통해서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왔다. 이 두 물질의 병합처리로 기대되어지는 지방세포에서의 adipogenesis 및 지방축적감소에 대한 상승효과는 검증된 바 없으며, 효과에 대한 cell cycle 차원에서의 접근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EGCG와 Glucosamine 6-phosphate는 adipogenesis 전사인자인 $PPAR{\gamma}$, $C/EBP{\alpha}$, SREBP1에 대한 직접적인 발현 억제 뿐아니라, $PPAR{\gamma}$, $C/EBP{\alpha}$, SREBP1와 매개된 FAS, ACSL1, LPL과 같은 adipogenic target 유전자의 발현 감소를 통하여 지방세포의 분화와 지방세포 내 지방축적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HSL과 perilipin의 발현조절을 통해 부분적인 lipolytic effet도 나타냈다. 또한 지방세포의 분화가 개시되는데 있어 중요한 DNA의 remodeling 과정인 mitotic clonal expansion (MCE) 과정 중 G0/G1 phase 단계에서 cell cycle 정지 유도와 그로인한 S phase 및 G2/M phase로 세포주기이행의 방해를 통해 지방세포가 분화되는 것은 억제하였다. 이러한 효과들은 EGCG 농도가 높아질수록, 그리고 EGCG를 단독으로 처리한경우보다 Glucosamine 6-phosphate와 병합하였을 때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EGCG 단독처리 및 glucosamine 6-phosphate와의 병합처리는 지방세포에서 adipogenesis와 adipogenic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억제 및 MCE 단계의 cell cycle arrest를 통해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축적을 감소시켜 항비만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효과는 두 성분의 병합처리에서 조금 더 효과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비록 두 성분의 병합처리가 기대했던 만큼은 아니었으나 항비만 효과에 대한 상승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생약복합물의 지방세포형성억제 기전규명을 위한 전사체 분석 (Transcriptome Analyses for the Anti-Adipogenic Mechanism of an Herbal Composition)

  • 이해용;강련화;배성민;채수안;이정주;오동진;박석원;조수현;심예지;윤유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054-1065
    • /
    • 2010
  • 생약복합물인 SH21B는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행인(Prunus armeniaca Maxim), 마황(Ephedra sinica Stapf), 석창포(Acorus gramineus Soland), 포황(Typha orientalis Presl), 원지(Polygala tenuifolia Willd), 하엽(Nelumbo nucifera Gaertner)의 혼합(비율 3:3:3:3:3:2:2)으로 이루어졌다. SH21B는 예로부터 한의학에서 비만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나 자세한 분자적 메커니즘과 효능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진은 선행연구를 통해 SH21B가 지방세포의 분화에서 adipogenesis (지방세포형성)와 관련된 유전자를 조절하여 중성지방의 축적을 억제함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microarray 기술을 이용하여 adipogenesis의 in vitro 모델인, 3T3-L1 세포에서 SH21B에 의한 지방세포형성 억제의 분자적 기작을 보다 상세하게 연구하고자 하였다. 전지방세포, 분화된 세포 그리고 SH21B에 의해 분화가 억제된 세포의 각각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기 위해 각 시료들에서 total RNA를 분리하여 cDNA를 합성한 후 microarray에 적용시켰다. 그 결과, 각각의 시료들의 비교에서 2배 이상의 유의한 발현 변화를 가지는 2,568개의 유전자를 확보하였다. 이 유전자들에 대해 Hierarchical clustering과 K-means clustering 분석을 진행하였고 서로 다른 양상을 가지는 9개의 군집(cluster)들을 분류하였다. 그 중, SH21B의 첨가에 의해 뚜렷하게 감소(cluster 4, cluster 6 및 cluster 9)하거나 반대로 뚜렷하게 증가(cluster 7와 cluster 8)하는 양상을 보이는 군집들을 따로 선별하여 그 군집들에 포함되어 있는 유전자들을 분석하였다. 선택 된 5개의 군집에는 지방세포형성과 세포증식에 관련된 유전자가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Cluster 4, cluster 6 그리고 cluster 9에는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gamma$ ($PPAR{\gamma}$),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C/$EBP{\alpha}$),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transcription factor 1 (SREBF1), adiponectin (ADIPOQ), fatty acid synthase (FASN), lipoprotein lipase (LPL) 등의 지방세포형성 유도 및 관련 인자와 B-cell leukemia/lymphoma6 (BCL6), retinoblastoma 1 (RB1),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2C (CDKN2c), ras homolog gene family, member B (RHOB) 등의 많은 세포증식 억제 유전자가 포함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cluster 7과 cluster 8에는 $\beta$-catenin, cyclin D1 (CCND1), WNT1 inducible signaling pathway protein 2 (WISP2) 등과 같은 지방 세포형성 억제 조절자와 MARCKS-like1 (MARCKSL1), colony stimulating factor 1 (CSF1), discoidin domain receptor family, member 2 (DDR2), leukemia inhibitory factor receptor (LIFR) 등의 세포증식을 유도하는 조절자가 다수 포함되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은 SH21B가 지방세포형성과 관련된 조절자 및 세포증식과 관련 된 조절자들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여 지방세포형성을 억제함을 제시한다.

비만 유전자 단일 염기 다형성 문헌 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in Obesity Genes)

  • 김성수;송희옥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39-160
    • /
    • 2004
  • The obesity is detrimental to the health of people living in affluent societies. Individual differences in energy metabolism are caused primarily by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SNPs), some of which promote the development of obesity-related type 2 diabetes mellitus. Type 2 diabetes mellitus is a common multifactorial genetic syndrome, which is determined by several different gene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is review, five major conclusions are reached: (1)To be clinically significant, SNPs must be relevant, prevalent, modifiable, and measurable. (2)Differences in SNPs may have been caused by famine, ultraviolet light, alcohol, climate, agricultural revolution. livestock, lactase persistence, and westernized lifestyle. (3)Candidate obesity genes of calorie intake restriction are SIM 1, MC3R, MC4R, AGRP, CART, CCK, CNTFR, DRD2, Ghrelin, 5-HT receptor, NPY, PON and those of energy metabolism are LEP, LEPR, UCP1, UCP2, UCP3, B2AR, B3AR, PGC-1, Androgen receptor and those of fat mobilization are AGT, ACE, ADA, APM1, Apolipoproteins, PPAR, FABP, FOXC2, GCGR, $11-{\beta}HSDI$, LDLR, Hormonal sensitive lipase, Perilipin, $TNF-{\alpha}$, $TNF-{\beta}$ (4)Candidate obesity genes in the eastern are NPY, LEP, LEPR, UCP1, UCP2, UCP3, B2AR, B3AR, ACE, APM1, PPAR, and FABP. (5)Candidate obesity genes in type 2 diabetes mellitus are MC3R, MC4R, B2AR, B3AR, ADA, APM1, PPAR, FABP, FOXC2, PC1, PC2, ABCC8, CAPN10, CYP19, CYP7, ENPP1, GCK, GYS1, IGF, IL-6, Insulin receptor, IRS, and LPL. The discovery of SNPs will lead to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pathogenesis of obesity and to better diagnostics, treatment, and eventually prevention.

  • PDF

황기맥문동탕이 에스트로겐 결핍 Rat의 체중 변화와 비만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wanggimacmundong-tang on Body Weight and Gene Expression in Obese Rats with Estrogen Deficiency)

  • 이혜인;유동열;유정은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9-67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s of Hwanggimacmundong-tang extract (HM) on obese rats with estrogen deficiency. Methods: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ovariectomized rats as estrogen-deficient obesity model. Rats were grouped NC (Normal Control Group; sham operation group), OC (Obesity Control Group; estrogen-deficient group), HML (20 mg/kg/day), HMH (100 mg/kg/day). HM was administered orally for six weeks. Body weights and serum lipid level were measured, and real-time PCR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effect of HM on gene expression in liver. Results: HM decreased the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serum. And HM increased leptin, CPT1 gene expression in liver tissue of obese rats with estrogen deficiency. However HM decreased $PPAR{\gamma}$, $PGC-1{\alpha}$, HMGCR, CYP8B1, LPL, ACAT1, ACAT2, ApoB, ACOX gene expression in liver tissue of obese rats with estrogen deficiency. Conclusions: It is concluded that HM reduced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serum, and regulate gene expression related to lipid metabolism. These results indicate Hwanggimacmundong-tang that might have potential for treatment of obesity and complications during the menopause caused by estrogen-deficiency.

마황천오 약침액이 3T3-L1 지방세포 분화 및 유전자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huang-Chuanwu(Mahwang-Cheonoh) Pharmacopuncture Solution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Gene Expression in 3T3-L1 Adipocytes)

  • 강경화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1권4호
    • /
    • pp.168-178
    • /
    • 2014
  • Objectives : Mahuang-Chuanwu(Mahwang-Cheonoh) Pharmacopuncture(MCP) has been used to treat obesity in Clinical Korean Medicine. MCP solution(MCPS) is also expected to have strong anti-obesity activiti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mechanisms of its inhibitory effect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lipogenesis. Methods :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MCPS on differentiation and lipogenesis of 3T3-L1 adipocytes.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the effects of MCPS on lowering lipid content in 3T3-L1 adipocytes, we examined whether MCPS modulates the expressions of transcription factors to induce lipogenesis and adipogenic genes related to regulate the accumulation of lipids. Results : Our results showed that MCPS significantly inhibited differentiation and lipogenesis of 3T3-L1 adipocytes in a dose-dependent manner. MCPS suppressed the mRNA expressions of cytidine-cytidine-adenosine-adenosine-thymidine(CCAAT)/enhancer binding proteins ${\alpha}$($C/EBP{\alpha}$), C/EBP ${\beta}$, $C/EBP{\delta}$,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PPAR{\gamma}$) genes related to the induction of adipose differentiation. MCPS inhibited the mRNA expressions of adipose-specific aP2, adipsin, lipoprotein lipase(LPL), CD36, TGF-${\beta}$, and leptin genes related to the fat formation. MCPS downregulated the mRNA expressions of liver X receptor(LXR) ${\alpha}$ and fatty acid synthase(FAS) genes related to the induction of lipogenesis. In addition, MCPS reduced the production of adipocyte-induced pro-inflammatory cytokines. Conclusions : MCPS could regulate the accumulation of lipids and expression of adipogenic genes via inhibition of transcript factors related to induction of adipose differentiation.

Leptin 유전자 결핍 동물모델을 이용한 시네트롤(Sinetrol-XPur)의 항비만 효과와 cAMP를 통한 UCP-2 활성화 기전 연구 (Effects of Sinetrol-XPur on Leptin-Deficient Obese Mice and Activation of cAMP-Dependent UCP-2)

  • 유재명;이민희;권한올;최세규;배문형;김옥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84-49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시네트롤(Sinetrol-XPur)을 유전성 비만 마우스(Obese)에 7주간 식이 투여하여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네트롤을 섭취한 유전성 비만 마우스군(Sinetrol low와 Sinetrol high)의 체중증가량은 Obese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간 무게변화량은 Sinetrol high군에서 Obese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백색지방의 무게변화량은 Sinetrol high군에서 Obese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의 혈청 지질 함량은 TC, TG, LDL/VLDL-콜레스테롤이 Obese군에 비해 Sinetrol군에서 감소하였고, HDL-콜레스테롤은 유전성 비만군(Obese, Sinetrol low, Sinetrol high)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HDL/LDL ratio를 계산한 결과에서는 Sinetrol군에서 Obese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군의 지방조직에서 비만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FAS와 LPL의 발현은 Obese군보다 Sinetrol군에서 감소하였고 HSL의 발현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UCP-2의 발현은 Obese군에 비해 Sinetrol high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 내 cAMP를 측정한 결과 시네트롤 처리 시 농도 의존적으로 cAMP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고, 증가한 cAMP에 의해 UCP-2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시네트롤이 지방 합성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의 억제 및 에너지 소비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체내 지방의 축적이나 합성을 감소시켜 체중의 증가를 예방하며, 혈중 지질 함량들을 개선하여 항비만 효과가 있는 천연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분화된 3T3-L1 세포에서 수세미오이 메탄올 추출물의 지방분해 효과 (Lipolytic Effect of Methanol Extracts from Luffa cylindrica in Mature 3T3-L1 Adipocytes)

  • 차승윤;장자영;이유현;이규옥;이호준;황권택;김용재;전우진;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13-819
    • /
    • 2010
  • 분화된 3T3-L1 지방세포에서 수세미오이의 메탄올 추출물이 지방의 축적 및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수세미오이의 메탄올 추출물 안전범위(0~1000 ${\mu}g$/mL)에서 지방대사 관련한 여러 과정을 확인한 결과 $60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세포 내 지방축적이 억제되었고 특히 지방구내의 triglyceride 함량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기전을 위해 포도당의 유입 억제로 인한 세포내 triglyceride의 합성감소와 지방분해효소의 활성화로 인한 세포 내 triglyceride의 분해 증가의 두 가지로 확인하였다. 우선적으로 수세미오이의 메탄올 추출물의 포도당 유입 억제 효과를 실험하였지만 아무런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지방분해효소 중 LPL을 제외한 HSL과 ATGL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됨에 따라 세포 내 triglyceride이 지방산과 glycerol로 분해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결과는 세포외로 유리된 glycerol의 함량이 수세미오이의 메탄올 추출물 $1000\;{\mu}g$/mL의 농도에서 증가한 것을 통해 재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600\;{\mu}g$/mL의 농도에서 triglyceride 분해는 촉진되었으나 glycerol의 유리가 유의적으로 나타나지 않은 것은 세포 내에서 분해된 glycerol의 일부가 세포 내 생합성에 재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실제 세포 외로 유리된 양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농도가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전반적으로 본 실험에서는 수세미오이의 메탄올 추출물이 분화된 3T3-L1 지방세포에서 지방구의 생성을 억제하였으나 효과 농도가 다른 많은 천연물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남으로써 제약으로서의 생산으로는 제한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반면 식품으로서 꾸준히 사용될 경우 항비만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꾸지뽕 신초 엽위별 잎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Leaves of Cudrania tricuspidata on the Shoot Positional Sequence Show Different Inhibition of Adipogenesis Activity in 3T3-L1 Cells)

  • 박주하;궈루;강혜미;손병구;강점순;이용재;박영훈;제병일;최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9-218
    • /
    • 2021
  • 본 연구는 꾸지뽕 신초에 부착된 잎을 6단계 즉 정아의 잎(L0), 정아부에서 하부의 순서대로 L1, L2, L3, L4 및 기부의 잎을 L5로 분류하여 채취하였다. 신초의 위치에 따라서 분류한 잎을 70% 에틸알콜로 추출한 다음 3T3-L1 cell line을 이용하여 지방분화 억제 효과를 스크린하고, 가장 효과가 좋았던 꾸지뽕 신초 정단잎(CTL0) 추출물의 작용기작을 규명하였다. 꾸지뽕 신초 정단잎(CTL0) 추출물의 지방분화 억제효과가 가장 좋았으며, 신초의 중간 잎인 CTL2까지는 정단 잎에서부터 중간 잎 추출물일수록 효과가 감소하였으며, 신초의 중간 하부 잎인 CTL3부터 기부 잎인 CTL5 추출물은 100 ㎍/ml의 고농도에서 효과가 없었다. 꾸지뽕 신초 정단잎(CTL0) 추출물을 12.5, 25 및 50 ㎍/ml의 농도로 처리하여 Oil Red O를 분석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3T3-L1세포의 지방분화를 억제시켰다. 3T3-L1 세포에 지방분화물질인 insulin, dexamethasone 및 rosiglitazone을 첨가한 분화배지(DM)에서는 배지내에 glucose의 함량이 낮았으나, CTL0 추출물의 처리는 배지에 glucose함량이 많이 남아있었기 때문에 세포내로 glucose의 흡수를 억제시켰으며, 세포내 중성지방의 함량도 감소하였다. CTL0처리는 전구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될 때에 주요 전사인자로 알려진 PPARγ와 PPARγ의 target 유전자인 LPL, A-FABP 및 Glut4 단백질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꾸지뽕 신초 정단잎(CTL0) 추출물은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소재로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