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5

검색결과 5,207건 처리시간 0.031초

$Li_2O-Al_2O_3-Ta_2O_5$ 삼성분계에 있어 $LiTaO_3$ 고용체의 구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 (Structure and Properties of $LiTaO_3$ Type Solid Solutions in $Li_2O-Al_2O_3-Ta_2O_5$ Ternary System)

  • 김정돈;흥국선;주기태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05-410
    • /
    • 1996
  • The partial substitution of LiTaO3 with Al2O3 caused the variation of dielectric properties and a lower melting temperature yielding an easier growth of single crystal. The lattice constants and Raman band broadening were measured for the LiTaO3 solid solution in which the cations of Li+ and Ta5+ were partially substituted by Al3+ cation. The LiTaO3 type limit phases were obtained. ; Li1.15Al0.45Ta0.7O3 for cationic excess Li1.15Al0.45Ta0.7O3 for stoichiometry Li0.85Al0.05TaO3 for cationic deficit. The second phase was formed beyond the solubility limit. The limit phase (Li0.85Al0.05TaO3) in the region of cationic deficit showed the lowest Cuire temperature of 61$0^{\circ}C$ and melting point of 152$0^{\circ}C$ compared to the solid solutions in other regions (TMp=1$650^{\circ}C$, Tc=69$0^{\circ}C$ for LiTaO3)

  • PDF

5V급 고전압 양극 LiNi0.5Mn1.5O4 Spinel의 제조와 전기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iNi0.5Mn1.5O4 Spinel as 5 V Class Cathod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 전상훈;오시형;이병조;조원일;조병원
    • 전기화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72-176
    • /
    • 2005
  • 차세대 5V급 양극활물질로 각광받고 있는 $LiNi_{0.5}Mn_{1.5}O_4$는 기존의 $LiMn_2O_4$ spinel 물질의 $Mn^{3+}$$Ni^{2+}$으로 치환하여 5V 영역에서 $Ni^{2+}/Ni^{4+}$ 산화/환원 반응이 가능하게 한 물질이다. 기존의 $LiMn_2O_4$는 낮은 초기 용량과 충 방전에 따른 빠른 용량감소를 보이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Mn의 일부를 다른 금속으로 치환하여 $LiM_yMn_{2-y}O_4$ (M=Cr, Al, Ni, Fe, Co, Cu, Ca)을 만드는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 화학적 합성법을 이용하여 합성한 $LiNi_{0.5}Mn_{1.5}O_4$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물질은 기존의 $LiMn_2O_4$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저가 및 친환경성 등으로 앞으로 HEV 등에서 그 활용성이 크게 기대된다. 볼밀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조건(출발물질 조건, 볼밀조건, 열처리조건 등)에서 $LiNi_{0.5}Mn_{1.5}O_4$을 합성한 결과 기계화학적 방법으로는 $Ni^{2+}$$Mn^{3+}$를 완전히 치환하지 못하여 $4.0{\sim}4.1V$의 전압에서 $Mn^{3+}/Mn^{4+}$의 산화/환원과 관련된 peak가 발생하였다. Ni 원료 물질로써 수산화 물질을 사용하고 열처리 온도를 $800^{\circ}C$로 하였을 때 최상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카본 나노파이버가 도핑된 리튬이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ithium-ion Battery with Doped Graphite Nanofiber)

  • ;;구할본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37.1-137.1
    • /
    • 2011
  • 올리빈 구조의 $LiFePO_4$ 정극 활물질은 $650^{\circ}C$에서 고상법으로 제조되었다. $LiFePO_4$의 전자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graphite nanofiber(GNF)를 각각 3wt%, 5wt%, 7wt%, 9wt% 첨가하여 $LiFePO_4$-C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분말의 입자 형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X-ray diffraction(XRD)과 File Electronic Scaning Electromicroscopy(FE-SEM)를 측정하였다. XRD결과로부터 제조된 분말은 모두 순수한 결정 구조를 나타내었고 입자의 크기는 약 200nm였다. 5wt% GNF를 첨가한 $LiFePO_4$-C는 기타 첨가량에 비해 방전용량이 가장 높았다. 첫 사이클의 용량은 151.73mAh/g 나타났고 50 사이클 뒤에도 92% 이상을 유지하고 있었다.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43% 증가하였다. $LiFePO_4$-C(3wt%), $LiFePO_4$-C(7wt%), $LiFePO_4$-C(9wt%)의 첫 사이클 방전용량은 각각 147.94mAh/g, 136.64mAh/g, 121.07mAh/g 나타났다. $LiFePO_4$-C(5wt%)에 비해 용량은 떨어쪘지만 순수한 $LiFePO_4$보다 많이 높았다. 임피던스 결과를 보면 기타 첨가량에 비해 $LiFePO_4$-C(5wt%)의 저항 제일 낮았다. 이는 충방전 결과와 일치하였다. graphite nanofiber의 첨가로 인하여 $LiFePO_4$ 정극 활물질의 전자전도도가 높아지고, 따라서 전기화학적 특성도 크게 향상되었다.

  • PDF

LPE법으로 성장시킨 $Zn:LiNbO_3/Mg:LiNbO_3$ 단결정 박막의 구조적 특성 (Structural properties of $Zn:LiNbO_3/Mg:LiNbO_3$ single crystal thin films grown by LPE method)

  • 이호준;신동익;이종호;윤대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20-123
    • /
    • 2005
  • [ $Li_2CO_3-V_2O_5$ ], flux를 사용한 liquid phase epitaxy(LPE) 법을 사용하여 $LiNbO_3$ (001) 기판위에 5 mol% ZnO가 첨가된 $LiNbO_3$, 박막과 2 mol% MgO가 첨가된 $LiNbO_3$, 박막을 성장시켰다. $Zn:LiNbO_3$, 막과 $Mg:LiNbO_3$, 막과의 결정성과 격자 부정합은 x-ray rocking curve(XRC)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다층 박막의 단면에서의 ZnO와 MgO의 분포가 electron probe micro analyzer(EPMA)를 사용하여 관측되었다.

LPE법에 의한 ZnO co-doped Er :$ LiNbO_3$, 박막의 성장 및 구조적 특성 (Growth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ZnO co-doped Er :$ LiNbO_3$ thin films by liquid phase epitaxy method)

  • 심장보;전원남;윤석규;윤대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30
    • /
    • 2002
  • Liquid phase epitaxy(LPE)법을 이용하여 ZnO co-doped Er:$LiNbO_3$, 단결정 박막을 $LiNbO_3$ (001) 기판 위에 성장시켰다. ZnO co-doped Er:$LiNbO_3$박막 성장의 초기 융액은 첨가제 $Er_2O_3$ 농도를 1 mol%로 고정시키고 ZnO 농도를 3,5 mol%로 조절하였다. ZnO co-doped Er :$LiNbO_3$박막의 결정성은 $LiNbO_3$ 기판보다 더 우수하였다. ZnO 5mol% 첨가한 경우 박막의 표면에는 수직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모두 압축응력이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ZnO 3mol% 첨가된 Er :$LiNbO_3$박막의 표면은 원래의 $LiNbO_3$기판보다 더 평탄하였다

Sn이 첨가된 Li4Ti5O12 음극활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n Added Li4Ti5O12 as an Anode Material)

  • 정충훈;김선아;조병원;나병기
    • 전기화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21
    • /
    • 2011
  • 리튬이온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Li_4Sn_xTi_{5-x}O_{12}$ 화합물을 high energy ball milling (HEBM)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Li_4Ti_5O_{12}$$SnO_2$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혼합 제조 후, 열처리를 통하여 합성하였다. 본 연구는 Sn의 첨가물에 따른 $Li_4Ti_5O_{12}$의 전기화학적 성능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조된 시료들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XRD, SEM, PSA 등의 분석장비를 사용하였다. 충/방전 시험기를 사용하여 1.0~3.0 V 전압범위에서 제조된 활물질의 충/방전 특성을 알아보았다. 열처리 온도에 따라 합성한 $Li_4Sn_xTi_{5-x}O_{12}$의 구조적 특성과 전기화학적 성능을 볼 때, 합성 열처리 온도는 $800^{\circ}C$가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며, 합성물질 크기의 분포는 $0.2{\sim}0.6\;{\mu}m$임을 확인하였다. 충/방전 실험을 50 cycle 동안 상온에서 진행하였으며, Sn 첨가조건에 따른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 초기용량은 168 mAh/g으로 측정 되었으며, 1.55 V(Li/$Li^+$) 영역에서 평탄전압을 나타내었다.

리튬이차전지용 SnO2/Li4Ti5O12의 합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 (Manufacturing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nO2/Li4Ti5O12 for Lithium Ion Battery)

  • 양아름;나병기
    • 청정기술
    • /
    • 제21권4호
    • /
    • pp.265-270
    • /
    • 2015
  • 리튬이차전지에서 전지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음극의 전기화학적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음극활물질 중에서 SnO2와 Li4Ti5O12는 흑연을 대체하기 위한 물질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nO2/Li4Ti5O12 혼합물을 고상법으로 합성하였으며, SnO2를 Li4Ti5O12에 혼합하여 전기화학적인 용량을 증가시키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SnO2가 혼합될 경우에 Li4Ti5O12의 용량보다 큰 전기화학적 용량을 갖는 물질을 합성할 수 있었다. 하지만 SnO2의 특성으로 인하여 사이클이 진행됨에 따라서 용량이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V_2O_5$가 코팅된 Li-Mn spinel의 합성과 전기화학적 특성

  • 김준일;이재원;노광철;박선민;선양국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8-268
    • /
    • 2009
  • Li-Mn spinel의 고온수영 특성을 향상을 위해 졸-겔법으로 $V_2O_5$를 Li-Mn spinel 표면에 코팅을 하였다. $V_2O_5$의 코팅양은 1, 3, 5wt%로 조절하여 코팅 양에 따른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XRD분석결과 $V_2O_5$가 코팅된 Li-Mn spinel을 $400^{\circ}C$에서 열처리시 $Mn(VO_3)_2$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충방전 테스트결과, 고온에서 $V_2O_5$를 코팅한 Li-Mn spinel이 우수한 수명을 나타냈다. 하지만 코팅량이 1wt%까지는 용량의 변화가 거의 없었고, 5wt% 코팅시 현격히 용량이 감소하였다.

  • PDF

In-situ 스퍼터링을 이용한 잔고상 박막 전지의 제작 및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 (Fabrication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ll Solid-State Thin Film Micro-Battery by in-situ Sputtering)

  • 전은정;윤영수;남상철;조원일;신영화
    • 전기화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5-120
    • /
    • 2000
  • 양극 물질로 산화바나듐 박막, 고체전해질로는 LiPON 박막 그리고 음극 물질로는 리튬 금속 박막을 선택하여 $Li/LiPON/V_2O_5/Pt$ 구조의 전고상 박막 전지를 제작하였고 전지 특성을 평가하였다. 산화바나듐 박막은 여러 산소 분압에서 직류 반응성 스퍼터링으로 증착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20\%\;O_2/Ar$비에서 가장 우수한 가역 특성을 나타내었다. 직류 반응성 스퍼터링에 의해 산화바나듐 박막을 제작한 후 진공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r.f. 반응성 스퍼터링에 의해 LiPON 고체전해질 박막을 증착하였다. 그 후 dry room내에서 진공 열증착법에 의해 리튬 금속 박막을 증착하여 전고상의 박막 전지를 제작하였다. $Li/LiPON/V_2O_5$ 박막 전지를 전압 범위와 전류 밀도를 변화시켜 충방전 시험을 행한 결과 $7{\mu}A/cm^2$의 전류 밀도와 3.6-2.7 V의 전압범위에서 가장 우수한 가역 특성을 나타내었다. $Li/LiPON/V_2O_5$박막 전지로 초시계를 구동 시켰으며 이는 in-situ공정에 의해 제작된 박막 전지가 소자 에너지원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LiIO_3$ 및 BBO 결정을 이용한 Ti:sapphire 레이저의 제2조화파 발생 (Second Harmonic Generation of Tisapphire Laser in $LiIO_3$, BBO Crystals)

  • 오차환
    • 한국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00-205
    • /
    • 1993
  • LiI$O_3$ 및 BBO 결정에서 Ti:sapphire 레이저에 대한 제2조화파 발생 실험을 실시하였다. LiI$O_3$ 는 5mm, 10mm의 두 종류를 이용하였으며 BBO의 길이는 7mm이었다. 780nm~810nm 영역에서의 LiI$O_3$ 및 BBO 결정에 대한 제2조화파 변환 효율을 측정하였고 이론과 비교하였다. 또, 펌프 출력에 따른 제2조화파의 출력을 측정함으로서 794nm에서의 제2조화파 변환 계수(conversion coefficient)를 구하였으며, 그 값은 LiI$O_3$ 결정에 대해 (1.06${\pm}0.05){\times}10^4W\;^1$(10mm), (5.28${\pm}0.33){\times}10^5\;W^1$(5mm), 이었고 7mm의 BBO에 대해서는(2.96${\pm}0.05){\times}10^5\;W^1$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