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DH activity

검색결과 568건 처리시간 0.024초

파랑볼우럭(Lepomis macrochirus)에서 용존산소량의 변화에 대한 젖산탈수소효소 동위효소들의 대사조절 (Metabolic Adjustment of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s to a Change in Dissolved Oxygen in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 구보라;조성규;염정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066-107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파랑볼우럭(Lepomis macrochirus)에서 용존산소량(DO)을 급격하게 변화시켰을 때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 동위효소들의 대사조절을 확인하는 것이다. 파랑볼우럭을 수조내에서 일정한 환경에 적응시킨 후 DO를 변화시켜 조직별 LDH 동위효소의 활성 및 하부단위체 A, B, C의 상대적 비율을 조사하였다. DO를 18 ppm에서 6 ppm으로 감소시켰을 때에 파랑볼우럭 골격근, 심장 및 뇌 조직의 LDH는 각각 12, 12 및 6시간 이내에 대조군의 활성으로 회복되었다. DO가 변화되면 LDH 활성이 변화됨으로써 보상을 빠르게 수행하였고 이는 환경변화에 적응할 때에 LDH가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파랑볼우럭의 심장, 눈 및 뇌 조직에서는 하부단위체 A의 상대적 비율이 증가된 후 12시간까지 대조군의 하부단위체 비율과 유사하게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DO가 변화된 초기에 하부단위체 A를 이용한 혐기적 대사가 증가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하부단위체 C는 하부단위체 B보다 A와 유사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파랑볼우럭의 LDH는 하부단위체 A와 C가 진화상 유사한 것으로 보이며, 주로 하부단위체 A와 C를 포함하는 LDH 동위효소들이 혐기적 대사를 통하여 저산소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pyruvate reductase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조류 및 포유류 내 미토콘드리아 젖산탈수소효소 동위효소들의 분포와 역할 (Distribution and Role of Mitochondrial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s in Bird and Mammals)

  • 조성규;염정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30-535
    • /
    • 2017
  • 조류 및 포유류에서 미토콘드리아를 분리하고 모노아민산화효소(EC 1.4.3.4, monoamine oxidase)의 활성을 측정하여 미토콘드리아의 분리도를 확인하였다. 미토콘드리아 각 분획에서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의 발현도를 생화학적 및 면역화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조류에 비하여 포유류에서는 미토콘드리아 LDH의 활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토콘드리아 LDH의 역할은 포유류보다 조류에서 중요시된다고 생각된다. 조류 및 포유류 모든 조직의 단백질양은 세포기질보다 미토콘드리아에서 적게 나타났다. 생쥐와 골든햄스터의 세포기질에서는 LDH $A_4$, $A_3B$, $A_2B_2$, $AB_3$$B_4$ 다섯 가지 동위효소 이외에 testis-specific LDH $C_4$ 동위효소가 정소 조직에서 나타났다. 닭의 미토콘드리아 내에서는 AB hybrid형 동위효소 한 종류가 나타났다. 포유류에서 미토콘드리아 LDH 동위효소들은 조직 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생쥐의 미토콘드리아 내에서는 LDH $A_4$ 및 testis-specific $C_4$ 동위효소가 나타났다. 미토콘드리아 testis-specific LDH $C_4$ 동위효소는 생쥐에서만 나타났다. 골든햄스터 미토콘드리아 내에서는 LDH $B_4$ 동위효소가 lactate oxidase로서 작용하였다. 조류 및 포유류의 대사조건 및 서식환경에 따라 미토콘드리아 LDH 동위효소의 역할도 구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과루해백반하탕 추출물이 배양 심근세포의 박동수와 LDH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uaruhaebaekbanha-tang Extract on Beating Rate and LDH Activity in Cultured Rat Myocardial Cells)

  • 안효창;권강범;박은영;장승호;류도곤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89-295
    • /
    • 2002
  • To certify the protective effect of herbal medicine against oxygen free radical-induced myocardiotoxicity, cytotoxicity was measured using MTT, LDH activity and Beating rate assay in the presence of Guaruhaebaekbanha-tang(GHBT) extracts or single constituents of this prescription. Myocardial toxicity was evaluated in neonatal rat myocardiocytes in cultures. In the present study, xanthine oxidase/hypoxanthine(XO/HX) resulted in a decrease in cell viability, increases in LDH activity in culture medium and decreases in beating rate in cultured myocardial cells. In the effect of GHBT extract, it showed the prevention from the XO/HX-induced cardiotoxicity by the increases of cell viability and beating rate as well as the decrease of LDH activity. In the protective effect of Fructus Trichosanthis(FT), Bulbus Allii Macrostemi(BAM) and Rhizoma Pinelliae(RP), all the extracts were significantly effective in the protection of XO/HX-induced cardiotoxocity in cultured myocardial cells by the increase of beating rate as well as th decrease of LDH activity. From these results, they show that XO/HX is cardiotoxic in cultured myocardial cells derived from neonatal rat, and it suggests that GHBT, FT, SAM, RP extracts are positively effective in the blocking in XO/HX-induced cardiotoxicity.

Butylatedhydroxyanisole과 Flavone에 의한 연기성분의 생체내 활성억제에 관한 연구 (The Inhibition Effects of Butylatedhydroxyanisole and Flavone on the Microsomal Activation of Cigarette Smoke Components in Rat)

  • 선우양일;박기현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13
    • /
    • 1980
  • 연기성분의 생체내 활성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Wistar male rat에 담배연기 응축물과 이의 중성분획을 5mg/kg, 10mg/kg 각각 복강주사한후 경시적으로 Lactic acid dehydrogenase(LDH) activity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해정도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연기 성분의 활성 억제물질로 선정한 flavone과 butylatedhydroxyanisole(BHA)를 각각 1mg/1kg처리하여 그 활성억제 정도를 관찰한 결과 flavone처리에 의한 연기응축물의 LDH activity는 전반적으로 현저한 감소현상을 보였으며 12시간후에는 641 unit로서 처리하지 않았을 때의 1040unit에 비하여 괄목할만한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BHA처리에 의한 결과는 flavone보다 다소 저조한 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flavone은 연기 응축물의 활성억제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한전 중성분획처리의 경우는 flavone에 비하여 BHA가 LDH활성도 억제헌상을 보였는데 주사후 6∼18시간사이에 LDH활성도가 100∼200unit의 감소현상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중성분획에는 BHA가 바람직한 억제물질로 사료된다.

  • PDF

인삼 Ethanol Extract가 쥐의 뇌 Lactate Dehydrogenase-5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Ethanol Extract on Lactate Dehydrogenate-5 in Rat Brain with Age)

  • 박영숙;김태우;조영동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72-85
    • /
    • 1985
  • Attempts were made to see if feeding of ginseng ethanol extract could affect proper- ties of rat brain lactate dehydrogenase such as specific activity, heat stability, Km for substrate, inactivation by 3-bromopyruvate and trypsin, and immune respons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Specific activity of LDH was observed to reach maximum in 5 month after birth and then decrease steadily. However, that of LDH from rat fed with ginseng ethanol extract was found in rat fed with ginseng ethanol extract. 3-bromopyruvate was shown to inactivate LDH-5 from old rat fed. Inactivation of LDH-5 by trypsin was remarkable in old rat fed. Km value for pyruvate in old rat fed was remarkably decreased. Cumulative results suggest that ginseng ethanol extract could affect conformational change of LDH responsible for altered properties through unknown mechanism.

  • PDF

Silver (I)- Schiff-base complex intercalated layered double hydroxide with antimicrobial activity

  • Barnabas, Mary Jenisha;Parambadath, Surendran;Nagappan, Saravanan;Chung, Ildoo;Ha, Chang-Sik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373-383
    • /
    • 2021
  • In this work, silver nitrate complexes of sulfanilamide-5-methyl-2-thiophene carboxaldehyde (SMTCA) ligand intercalated Zn/Al-layered double hydroxide [Ag-SMTCA-LDH] were synthesized for the potential application as an antimicrobial system. The SMTCA ligand was synthesized by reacting sulfanilamide and 5-methyl-2-thiophene carboxaldehyde in methanol and further complexation with silver nitrate metal ions [Ag-SMTCA]. The structural analyses of synthesized compounds confirmed an intercalation of Ag-SMTCA into Zn/Al-NO3-LDH by flake/restacking method. SMTCA, Ag-SMTCA and Ag-SMTCA-LDH were characterized by 1H nuclear magnetic resonance (1H NMR) spectroscopy, Fourier-transform infrared (FTIR), ultraviolet-visible (UV-Vis) spectrophotomet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X-ray diffraction (XRD),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It was found that Ag-SMTCA-LDH exhibited goo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oth gram-positive (Bacillus subtilis, [B. subtilis], Staphylococcus aures, [S. aureus]) and gram-negative (Escherichia coli, [E. coli], Pseudomonas aeruginosa [P. aeroginosa]) bacteria as well as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큰입우럭(Micropterus salmoides) 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 및 Monocarboxylate 수송체(MCT) 1, 2, 4 (Lactate Dehydrogenase and Monocarboxylate Transporters 1, 2, and 4 in Tissues of Micropterus salmoides)

  • 염정주;연준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8-109
    • /
    • 2012
  • 큰입우럭(Micropterus salmoides) 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DH)의 특성 및 골격근과 심장조직의 monocarboxylate 수송체 1, 2, 4의 발현을 연구하였다. Native-PAGE 결과골격근에서 LDH $A_4$, 심장, 간, 눈 및 뇌조직에서 $A_4$, $A_2B_2$, $B_4$, 눈조직에서 eye-specific $C_4$ 동위효소가 발현되었다. 9월에 심장조직에서 LDH $B_4$ 동위효소의 활성이 강하고 다른 조직에서는 $A_4$의 활성이 강했으나, 11월에 심장조직에서 $A_4$ 동위효소의 활성이 강하게 확인되었다. 골격근과 심장조직에서 LDH/CS로 조직의 혐기적 대사 비율이 높게 확인되었으며, 면역 침강 후 native-PAGE에 의해 LDH eye-specific $C_4$ 동위효소가 $B_4$보다 $A_4$ 동위효소에 더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LDH $A_4$ 동위효소가 affinity chromatography에 의해 정제되었고, 하부단위체 A의 분자량은 37.200이었다. 피루브산 10 mM에서 조직 LDH의 활성이 11.05-28.32% 남아 저해 정도가 컸고, 눈조직 LDH의 $K_m^{PYR}$이 낮았으며, 조직의 최적 pH는 7.5~8.0이였다. 골격근 미토콘드리아에서 LDH $A_4$ 동위효소, 심장조직의 미토콘드리아에서 $B_4$$A_2B_2$ 동위효소가 확인되었고, 골격근과 심장조직의 원형질막과 미토콘드리아에서 MCT 1, 2, 4가 확인되었다. 골격근 MCT 1, 2, 4 골격근 MCT 1 60 kDa, MCT 2 54~38 kDa, MCT 4 63 kDa, 심장조직 MCT 1 57 kDa, MCT 2 54~38 kDa 및 MCT 4 55.5 kDa이었다. 실험 결과, 큰입우럭이 저산소 조건에 적응되어져 혐기적 대사가 우세하고, 활성이 큰 골격근과 심장조직에서 원형질막과 미토콘드리아 MCT 1, 2, 4를 통해 젖산과 피루브산이 유입되고 유출되며 LDH에 의해 에너지 생성을 효율적으로 조정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흉부수술 환자에서의 CPK 와 LDH I soenzyme 의 변화 (Comparison of serum isoenzyme levels of CPK and LDH in patients ungergoing thoracic operations)

  • 이영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5권4호
    • /
    • pp.460-466
    • /
    • 1982
  • A analysis of CPK & LDH Isoenzyme was done on the consecutive patients undergoing thoracic operations from July 1982 to October 1982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Capital Armed Forces General Hospital. Eighteen patients were analysed by three groups, such as open heart surgery [group A], major thoracic operation [group B] , minor thoracic operation group [group C]. In all patients serial determination of total level and Isoenzyme of CPK, LDH wad done on preoperative operative and up to 8th post-operative day,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value of serum CPK before the operation was 61 IU/L. The value of serum CPK was increased following the operation mainly MM portion and reached to the maximal level of 536107 IU/L in A group 1200191 IU/L in B group, 306150 IU/L in C group on the first postoperative day. The enzyme activity was gradually decreased thereafter and returned to the normal range on the 3rd or 4th day after the operation. 2. The average value of serum LDH before the operation was found to be 83 IU/L. The value was increased during the operation and reached to the maximal level of 481108 IU/L in group A, 14827 I U/L in group B, 10035 IU/L in group C on the second day after the operation. The enzyme activity was gradually decreased thereafter and returned to the normal range on the seventh day after the operation. The enzyme activity was dependent to the duration of operation, severity of muscle damage, type of thoracotomy, effect of extracorporeal circulation, state of disease.

  • PDF

대두발아중(大豆發芽中)의 Lactic dehydrogenase 활성소장(活性消長)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changes of the lactic dehydrogenase activity during soybean germination)

  • 유태종;김상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3권1호
    • /
    • pp.93-96
    • /
    • 1970
  • 대두(大豆)의 발아기간(發芽期間) 6일간(日間)에 있어서 자엽(子葉) 및 seedling 양조직(兩組織)의 lactic dehydrogenase 활성(活性)이 어떻게 변화하며 그 변화가 어떤 상관성(相關性)을 갖는가를 살펴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자엽(子葉)의 LDH활성(活性)은 발아후(發芽後) 3일까지의 전반기(前半期)에는 계속 증가(增加)하나 그 후반(後半)의 3일간(日間)은 격감(激減)한다. 2. Seedling의 LDH활성(活性) 역시 발아후(發芽後) 3일(日)의 전반기(前半期)에서는 자엽(子葉) LDH의 증가(增加)와 의의(意義)있는 상관하(相關下)에 증가(增加)하나 자엽(子葉)과는 달라서 후반(換半)에서도 그 상승치(上昇値)를 계속 유지(維持)한다. 3. 따라서 대두(大豆) 자엽(子葉)은 발아후(發芽後) 3일(日)이 되면 대사효율(代謝?率)이 현저(顯著)히 감퇴(減退)하나 seedling에서는 계속 대사효율(代謝?率)이 높이 유지(維持)됨을 알았다.

  • PDF

환경온도에 대한 파랑볼우럭(Lepomis macrochirus) 젖산탈수소효소 동위효소들의 대사조절 (Metabolic Adjustments of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s to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in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 구보라;조성규;염정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105-1112
    • /
    • 2016
  • 농어목(Perciformes) 검정우럭과(Centrachidae) 파랑볼우럭(Lepomis macrochirus)을 대상으로 환경온도에 대한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 동위효소들의 대사조절을 연구하였다. 파랑볼우럭은 4월(그룹Ⅰ), 5월(그룹Ⅱ) 및 9월(그룹Ⅲ)에 채집하여 사용하였다. 파랑볼우럭 골격근, 심장 및 뇌 조직의 LDH 활성은 파랑볼우럭 그룹Ⅰ 및 Ⅱ보다 파랑볼우럭 그룹Ⅲ의 LDH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시트르산합성효소(EC 4.1.3.7, citrate synthase, CS)의 활성은 파랑볼우럭 그룹Ⅰ에 비해 파랑볼우럭 그룹Ⅱ의 골격근 조직에서 높았고 심장 및 뇌 조직에서는 낮았다. 그에 반하여 파랑볼우럭 그룹Ⅲ 골격근의 CS 활성은 파랑볼우럭 그룹Ⅱ에 비해 낮았고 심장 및 뇌 조직에서는 높았다. LDH/CS는 그룹Ⅲ의 골격근 및 뇌 조직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혐기적 대사는 파랑볼우럭 그룹Ⅲ에서 증가되었다. 골격근, 심장, 간 및 뇌 조직에서는 LDH A4, A2B2 및 B4 동위효소가 나타났다. LDH C hybrid는 뇌조직에서 확인되었다. LDH A4 동위효소는 affinity chromatography로 정제되었다. 정제된 LDH A4 동위효소의 분자량은 136 kDa이고 최적 pH는 8.0이었다. 골격근 LDH의 KmPYR값은 0.161-0.227 mM로 나타났다. 골격근 LDH의 역학특성들은 파랑볼우럭이 저온에 잘 적응한 종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 결과들은 파랑볼우럭의 서식지 예측에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