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OF THE NATIONAL ROAD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8초

국도의 경관변화 평가-교외지역 국도를 중심으로- (Landscape Changes Assessment of the National Road-Focused on the National Road in Suburb Areas-)

  • 홍영록;권상준;조태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2-102
    • /
    • 2004
  • 본 연구는 국도의 경관구성요소인 산, 하늘, 도로포장면, 가로수, 논밭, 간판ㆍ전신주, 건물, 구조체, 비탈면, 방호ㆍ방음벽, 중앙분리대의 시각량 분석을 통하여 시대별 경관변화를 파악한 결과, 1.국도의 경관구성요소 중 각 시대별로 가장 높은 시각량을 나타낸 것은 도로포장면으로서 국도경관을 분석 평가함에 있어서 도로의 선형은 시각적으로 중요한 구성요소의 하나로 다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2.국도의 시대별 경관변화는 중앙분리대(F=33.296)와 가로수(F=32.881)에 의한 차이가 가장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 순으로는 하늘(F=24.735)과 산(F=23.477)이 유사한 정도의 차이값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건물과 구조체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음이 판명되었다. 3.국도건설은 점차적으로 자연적 요소의 감소와 인공적 요소에 의한 경관이 주를 이루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아직까지 국도건설이 경관적ㆍ생태적 건강성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접근성과 이동성의 기능중심의 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형태지수를 이용한 도로경관의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설악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Landscape Preference in the Road-landscape by Index of Shape -The case of Sorak National Park-)

  • 서주환;최현상;김상범;이철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87-93
    • /
    • 1999
  • This study is focus on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x of shape and the factor of perception. This study site is a Sorak National Park which sciences of road-landscape. Slides, which were used in the study, were taken in the Sorak National Park along the roads.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he questionnairy about the Road-landscape which was presented by a slide projection, also used th index of Shape. This research used analysis method of multi-regression between the preference and perceptional factors, and between the preference and index of shape. 1) The regression result of $R^2$ is 00827 between the preference and perceptional factors, therefore we can positively consider that the preference is related to the perception. The preference is affected highly by the intimacy which is the one of perceptional factors. 2) The regression result of $R^2$ is 0.692 between the preference and the index of shape. The preference has a relation with the index of shape, and it is affected highly by the index of sky. 3)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and the perceptional factors, and the index of shape makes this relationship possible.

  • PDF

노면 디자인 차이가 가로경관 인식에 미치는 영향 (Change of Road Surface Design and Perception of Streetscape in Urban Areas)

  • 임호연;윤초혜;한상빈;이여원;이주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9-178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avement design changes on user perceptions, with the objective of enhancing safety in urban streetscape. A total of 72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the study focused on alleyways in areas with a high risk of crime. Employ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SD) methodology, an assessment was conducted to gaug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ree different pavement types (A-type, B-type, C-type) as well as the existing pavem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type pavement, characterized by vibrant and harmonious color palettes and patterns, elicited the highest levels of perceived safety, comfort, and openness among users. This signifies that physical environmental improvements through color design can mitigate the feelings of insecurity and foster emotional stabilit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implement various color schemes and pattern designs to road surface for enhancing user safety in high-risk urban areas.

근교농촌의 경관유형에 따른 고층건물의 관찰거리 및 규모와 경관선호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servation distance, scale of buildings and the landscape preference by the landscape types in a suburban rural area)

  • 심준영;김유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2-123
    • /
    • 199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high-rise buildings on the preference for rural landscapes. The study site was a Seoul suburban, Yong-in, which showed typical scenes of rural development. Slides used in the study were taken in Young-in along the national road 45(north-south) and national road 42(east-west). Forty slides reflecting typical characters of Young-in were selected. Among them, ten slides which were selected through factor analysis based on “ruralits”score were used as original slides. They represent ten landscape types. The simulation of original slides was based on the following aspects: a observation distance. number of buildings and landscape types. The preferences for the landscapes were tested by 200 respondents on 40 slides: Distance(2) ${\times}$ Landscape type(10) = 20 slides, Number of buildings(2) ${\times}$ Landscape type(10) = 20 slides. The following results are found: 1) When high-rise buildings are introduced into rural scenes, there are some vulnerable landscape types: the landscape with high “rurality”, the landscape with background skyline and the focal landscape. 2) The observation distance affects landscape preference. The hypothesis that the nearer the distance the lower the preferences, is accepted. However, there are some exceptions in 3 landscape types. 3) The hypothesis that the more the number of buildings, the lower the preferences, is rejected. The result is quite unexpected one. When a single building is introduced in natural scene, it draws more attention as a focal point than a group of buildings, and subsequently the visual impact is stronger.

  • PDF

수도권 내 개발계획관련 요소와 산림파편화 관계분석을 통한 관리방안 (Management Plan of Relationship between Land Development and Forest Fragmentation in Metropolitan Area)

  • 이동근;김은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37-47
    • /
    • 2008
  • Recently, reckless exploitation of land resources without much consideration for the environmental value of the land has been witnessed to accommodate the ever-increasing demands for regional development. Fragmentation due to land development is a major reason for the declining biodiversity in forest ecosystem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land development and forest fragmentation in 13 watersheds of a metropolitan area and (2) to suggest a forest management plan through the relationship. We carried out a factor analysis to determine explanatory axes of forest fragmentation, and then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factor scores and the factor of land development, such as the rate of built-up areas, road density, number of built-up patches, and area of housing developments. The first explanatory axis represented stability of landscape highly related with the rate of the built-up area and road density. The second axis represented the level of fragment highly related with a number of built-up patches. Forest fragmentation patterns of the 13 watersheds were classified for the similarity in forest fragmentation. This study presents the forest management plans including distribution and level of land development and forest conservation.

낙동강 유역의 선형개발사업이 산림 단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near Development Projects on Forest Fragmentation in the Nakdong River Watershed)

  • 정성관;박경훈;오정학
    • 환경영향평가
    • /
    • 제11권3호
    • /
    • pp.117-127
    • /
    • 2002
  • This study tested the usefulness of landscape indices for quantifying forest fragmentation due to linear development project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he middle-upper Nakdong River watershed, which has been affected by the expressway building, or national road-widening. Landscape indices were calculated from the forest cover maps before and after road-building using FRAGSTATS 3.1. We could successfully demonstrate the forest fragmentation based on landscape indices; (1) patch size decreased, and edge density and patch density increased (2) roads simplified patch shapes, especially in the larger patches, (3) patch core area size decreased, and core area density increased, (4) the distance increased between the focal patch and each of the other patches within the search radius (=1km) as a result of roads. We suggest several important needs for future researches, including continued investigation of scaling issues, development of indices that measure specific components of spatial pattern, and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forest fragmentation and ecological processes.

임도의 환경요인에 따른 임도구조의 변화 (Changes of Road Structur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Forest Road)

  • 차두송;최병구;고성대;오재헌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93-109
    • /
    • 2004
  • 본 연구는 산악지형에 적합한 임도노선을 개설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강원도 지역에 있어서 물리적으로 안정된 임도를 대상으로 지역별, 산지경사별, 토성별, 개설위치별에 따른 사면경사, 사면길이, 노폭 등의 임도구조요인의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지역별 임도구조는 성토길이만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외의 지역은 각각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산지경사별 임도구조는 노폭, 종단물매, 성토길이, 절토길이는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성토경사는 $30^{\circ}$이하 $30{\sim}35^{\circ}$$40^{\circ}$이상에서, 절토경사는 모든 지역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토성별 임도구조는 노폭, 종단물매, 성토길이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그 이외의 요인은 서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설위치에 따른 임도구조 변화는 절토경사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그 이외의 요인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중국 전통원림의 치석피도(置石被度)에 따른 원로경관의 시지각적 특성 분석 - 한국인과 중국인 시지각 비교를 중심으로 - (A Survey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of Road Landscape of Traditional Gardens in Suzhou, China based on Rockery Ratio - With a Comparison of Consciousness between Korean and Chinese -)

  • 김동찬;박율진;송매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0-77
    • /
    • 2011
  • 본 연구는 중국 전통 강남원림인 소주원림의 원로경관을 대상으로 치석피도(置石被度)에 따른 한국인과 중국인의 시지각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SD스케일에 의한 경관 형용사 분석방법으로 시지각적 이미지와 선호도를 파악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중국의 전통 강남원림인 소주의 졸정원, 창랑정, 사자림, 유원, 망사원 원림에 위치한 원로의 경관사진을 촬영하여 그 중 15매를 선정하여, 형용사 21쌍으로 이루어진 설문지로 대학생 한국인 51명과 중국인 5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한국인과 중국인의 치석피도에 따른 원로경관의 시지각적 특성과 선호도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서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치석피도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치석피도를 산출해서 유형화하여 한국인과 중국인의 설문결과에 대한 평균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경관특성 선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정된 경관형용사를 척도화 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수행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과 중국인의 원로경관 선호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국인의 전체적 선호도는 한국인보다 더 높았다. 치석피도로 구분한 유형별로는 평균치가 중간, 매우 작은, 작은, 큰, 매우 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치석피도에 따른 선호도는 치석피도가 낮을수록 선호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석피도에 따른 선호도의 영향에 있어서는 중국인보다 한국인이 더 큰 영향을 받았다. 전통 강남 원림 가로 경관의 시각적 특성을 요인분석 결과, 한국인의 시각적 특성은 <심미성 요인>, <쾌적성요인>, <정연성 요인>, <흥미성 요인>로 총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중국인의 시각적 특성은 <심리성 요인>, <쾌적성 요인>, <정연성 요인> 총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경관과 도로침입 방어막이 범서식지 포유류종의 도로 횡단에 미치는 영향 분석 (How Do Landscape and Road Barriers Affect Road Crossing of Multihabitat Mammals)

  • 변예슬;권진오;김정환;신문현;이상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89-10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로드킬 GIS 데이터와 네이버 거리뷰를 이용하여 토지피복과 도로침입 방어막이 포유류 로드킬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고 야생동물의 도로 횡단을 가능하게 하는 이웃 경관과 도로 변수 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야행성이며 다중 서식지를 이용하는 일반종인 고라니, 너구리, 멧토끼의 로드킬은 섭식, 번식을 위해 선호하는 서식지를 중심으로 영동과 중부 고속도로 인근 나지, 초지, 습지에서 다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통된 지 오래된 노선인 영동에서는 종 간 토지피복의 차이가 없던 것(p=0.165)으로, 신규 개통 후 지속적인 연장공사가 이루어졌던 중부는 차이가 유의했던 것(p=0.001)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산악지대인 영동선과 도심화 지대인 중부선 간 경관유형의 차이 혹은 개통일과 야생동물의 주변 서식지 적응도 및 연장공사 빈도수의 차이에서 비롯된 결과로 추정된다. 야생동물 도로 횡단 방지 효과가 미미하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난 펜스 및 가드레일과 달리, 절 성토면의 방지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도움닫기를 위한 경사면으로 연출될 경우 병치된 펜스효과를 상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차로 인근에서 고속도로와 병치되는 국도 혹은 지방도의 경우 펜스 및 성토면이 부재한 사례가 많아 로드킬 발생의 취약 지점으로 나타나며, 특히 교차로의 초지 패치는 고속도로 양 옆 경관 패치와 이어지는 시각적 징검다리 역할을 함으로써 도로를 건너려는 동물들에게 시각적 은폐기능을 제공하고, 이는 교차로 인근에서의 높은 로드킬 발생율로 설명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