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urvey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of Road Landscape of Traditional Gardens in Suzhou, China based on Rockery Ratio - With a Comparison of Consciousness between Korean and Chinese -

중국 전통원림의 치석피도(置石被度)에 따른 원로경관의 시지각적 특성 분석 - 한국인과 중국인 시지각 비교를 중심으로 -

  • Kim, Dong-Chan (College of Art and Design, Kyung Hee University) ;
  • Park, Yool-Jin (Division of Environment and Landscape Desig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 Song, Mei-Jie (Center for Landscape Research in Art Design Research Institute, Kyung Hee University)
  • 김동찬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
  • 박율진 (전북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 ;
  • 송매결 (경희대학교 부설 예술.디자인연구원 조경연구센터)
  • Received : 2011.10.31
  • Accepted : 2011.12.06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study takes road landscape of traditional Chinese Kangnam gardens in Suzhou as the object. It compares the relations and differences between pre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on road landscapes with different rockery ratios, and studies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s adjective visual characteristics of road landscape of traditional gardens and impacts of visual characteristics on preference.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process: Firstly, the theoretical survey of road landscape of traditional Chinese Kangnam gardens is conducted, pictures of the road landscape of gardens in Suzhou are taken, and 15 pictures are selected based on rockery ratio. Secondly, in order to grasp the visual preference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road landscape of garden in Suzhou, 15 pictures and 21 pairs of adjectives are adopted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Thirdly, in order to grasp the differences between pre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on road landscape of traditional Chinese Kangnam gardens, thet-test analysis is conducted. In order to grasp the impacts of rockery ratio on preference, and after the classification of landscape pictures based on rockery occupancy, the average analysis, factor analysis of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for Korean and Chinese are conducted respectively. In order to grasp the differences of incentives of landscape preference, the incentive analysis of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for Korean and Chinese is carried out. In order to grasp the impacts of various factors on the prefer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s preference on road landscape of traditional Chinese Kangnam gardens show that the overall preference of Chinese is higher than that of Korean. The results of the landscape preference analysis show that the ranking order of average value of Korean and Chinese's preference on rockery ratio categories is: medium ratio, very small ratio, small ratio, large ratio, very large ratio. The results of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rockery ratio of traditional Chinese Kangnam gardens and preference show that the preference increases as the rockery ratio decreases, and the rockery ratio variation causes greater impacts on Korean. Results of the analysis of visual characteristics, factors of visual characteristics of Koreans are "aesthetic factor", "comfort factor", "neat(orderly) factor", and "fun factor".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has three factors, namely "psychological factor", "comfort factor", and "neat factor".

본 연구는 중국 전통 강남원림인 소주원림의 원로경관을 대상으로 치석피도(置石被度)에 따른 한국인과 중국인의 시지각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SD스케일에 의한 경관 형용사 분석방법으로 시지각적 이미지와 선호도를 파악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중국의 전통 강남원림인 소주의 졸정원, 창랑정, 사자림, 유원, 망사원 원림에 위치한 원로의 경관사진을 촬영하여 그 중 15매를 선정하여, 형용사 21쌍으로 이루어진 설문지로 대학생 한국인 51명과 중국인 5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한국인과 중국인의 치석피도에 따른 원로경관의 시지각적 특성과 선호도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서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치석피도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치석피도를 산출해서 유형화하여 한국인과 중국인의 설문결과에 대한 평균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경관특성 선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정된 경관형용사를 척도화 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수행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과 중국인의 원로경관 선호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국인의 전체적 선호도는 한국인보다 더 높았다. 치석피도로 구분한 유형별로는 평균치가 중간, 매우 작은, 작은, 큰, 매우 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치석피도에 따른 선호도는 치석피도가 낮을수록 선호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석피도에 따른 선호도의 영향에 있어서는 중국인보다 한국인이 더 큰 영향을 받았다. 전통 강남 원림 가로 경관의 시각적 특성을 요인분석 결과, 한국인의 시각적 특성은 <심미성 요인>, <쾌적성요인>, <정연성 요인>, <흥미성 요인>로 총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중국인의 시각적 특성은 <심리성 요인>, <쾌적성 요인>, <정연성 요인> 총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찬, 이세미, 김보람(2010). 한국전통정원의 석가산 조영에 관한 연구. 예술디자인연구. 13: 51-58.
  2. 김은형(2005). 소주원림에 나타나는 자연추구기법에 관한 연구: 계성의 원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하종(2005). 도시하천의 시각적 특성에 따른 선호도연구: 청주시 무심천을 대상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여홍구(1990). 도시의 가로와 경관: 도시환경과 도시경관의 개선. 지방행정. 39(445): 72-79.
  5. 윤영조, 윤영활(2010). 한국 전통 석가산의 유형과 역사적 변천. 한국조경학회지. 38(3): 83-975.
  6. 윤영활(2009). 고려시대 석가산의 시원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7): 10-18.
  7. 임광빈(2004). 전통조경 건축물의 문.창 경관구성 기법에 관한 비교 연구: 중국 강남(소주)지역 원림과 한국민간 전통조경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장지봉(2010). 中國拙政園의 空間特性과 風格에 關한 硏究. 우석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정대영, 신언동(2009). 식재비율에 따른 가로경관의 시각적 특성 및 선호도 분석. 청주대학교 산업과학연구. 27(1): 5-6.
  10. 주신하, 임승빈(2003).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목록 작성. 한국조경학회지. 31(1): 1-10.
  11. 최부득(2008). 건축가가 찾아간 중국정원. 서울: 미술문화. p. 11.
  12. Guo Shenyuan(2009). The Space Analysis and Modern Expression of Suzhou Classical Garden. Tianjin University.
  13. Huang Wenrui, Wei Shenglin, Zhong Xiaolin and Li Jie(2009). Study on the rockery of SuZhou's classical gardens. Journal of Anhui Agricultural Sciences. 146(28): 13811-13814.
  14. Huang Wenrui, Wei Shenglin, Zhong Xiaolin and Li Jie(2010). Integration of architecture and rockery inclassical gardens of Suzhou. Journal of Anhui Agricultural Sciences. 38(19): 10379-10383.
  15. Lu Yan(2008). Analysis of the garden path and paving of Yangzhou park. Shanxi Architecture.
  16. Xu Li(2009). Beauty of Artistic Conception of Garden Path in Chinese Classic Gardens.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17. Yang Lixia, Li Shaocai, Sun Hailong, Long Feng and Li Minqian(2008). On the Structural element Sand Sorting of garden road beauty in Chinese classical gardens. Journal of Southwest University (Natural Science Edition). 30(8): 155-160.
  18. Zuo Shulian(2007). Suzhou Classical Gardens Decorative Paving Ground Study. Soochow University.
  19. http://ko.wikipedia.org/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