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1 - L4

검색결과 30,802건 처리시간 0.058초

Layer-specific cholinergic modulation of synaptic transmission in layer 2/3 pyramidal neurons of rat visual cortex

  • Cho, Kwang-Hyun;Lee, Seul-Yi;Joo, Kayoung;Rhie, Duck-J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3권5호
    • /
    • pp.317-328
    • /
    • 2019
  • It is known that top-down associative inputs terminate on distal apical dendrites in layer 1 while bottom-up sensory inputs terminate on perisomatic dendrites of layer 2/3 pyramidal neurons (L2/3 PyNs) in primary sensory cortex. Since studies on synaptic transmission in layer 1 are sparse, we investigated the basic properties and cholinergic modulation of synaptic transmission in layer 1 and compared them to those in perisomatic dendrites of L2/3 PyNs of rat primary visual cortex. Using extracellular stimulations of layer 1 and layer 4, we evoked excitatory postsynaptic current/potential in synapses in distal apical dendrites (L1-EPSC/L1-EPSP) and those in perisomatic dendrites (L4-EPSC/L4-EPSP), respectively. Kinetics of L1-EPSC was slower than that of L4-EPSC. L1-EPSC showed presynaptic depression while L4-EPSC was facilitating. In contrast, inhibitory postsynaptic currents showed similar paired-pulse ratio between layer 1 and layer 4 stimulations with depression only at 100 Hz. Cholinergic stimulation induced presynaptic depression by activating muscarinic receptors in excitatory and inhibitory synapses to similar extents in both inputs. However, nicotinic stimulation enhanced excitatory synaptic transmission by ~20% in L4-EPSC. Rectification index of AMPA receptors and AMPA/NMDA ratio were similar between synapses in distal apical and perisomatic dendrites. These results provide basic properties and cholinergic modulation of synaptic transmission between distal apical and perisomatic dendrites in L2/3 PyNs of the visual cortex, which might be important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balance depending on attentional state.

강우시 산업단지에서의 오염물질 유출특성 (Characterization of Stormwater Pollutants Runoff in Industrial Complex)

  • 박기웅;이준호;최종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41-353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단지 유역에서 강우시 유출수를 조사하여 수질변동과 초기유출 특성 등 오염물질 유출특성을 파악함에 있다. 조사대상유역은 청주산업단지내 유역특성이 상이한 8개 소유역을 선정하여 1997년 6월부터 1998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분석항목은 $BOD_5$, COD, SS, $NO_3-N$, TKN, $PO_4-P$, TP, n-Hexane 추출물질, Cr, Cu, Pb, Fe 등 중금속이다. 강우시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유출수의 농도범위는 $BOD_5$, COD, SS, $NO_3-N$, TKN, $PO_4-P$, TP, n-Hexane 추출물질 Cr, Cu, Pb, Fe에 대해 각각 2~324 mg/L, 5~810 mg/L, 1~1.110 mg/L, 0.01~10.89 mg/L, 0.1~59.8 mg/L, 0.08~7.02 mg/L, 0.1~7.8 mg/L, 0.1~1,723.6 mg/L, 0.001~0.363 mg/L, 0.001~0.488 mg/L, 0.001~1.28 mg/L, 그리고 0.26~18.91 mg/L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초기유출현상에 대하여 수량화하였으며, 불투수층면적 비율이 증가할수록 초기유출현상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GC/MS를 이용한 산업폐수중의 염화페놀류 분석 (Determination of chlorophenols from the industrial wastewater by GC/MS)

  • 명승운
    • 분석과학
    • /
    • 제18권4호
    • /
    • pp.320-328
    • /
    • 2005
  • 산업폐수 중 염화폐놀류 5종 (4-chloro-3-methylphenol, 2,4,5-trichlorophenol, 2,4,6-trichlorophenol, 2,3,4,6-tetrachlorophenol, pentachlorophenol)의 잔류량을 GC/M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산업폐수 시료는 석유화학, 섬유염색, 가죽피혁 분야의 공장에서 방류되는 원수 및 방류수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USEPA 3510 방법을 변형하여 새로운 방법을 확립하였다. 각 시료들은 pH 2와 5~6조건에서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액체-액체 추출법으로 추출한 다음 GC/MS에 주입하여 SIM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0.1 ng/mL~10.0 ng/mL과 0.5 ng/mL~10.0 ng/mL 정량구간내에서 $R^2=0.9943$ 이상의 좋은 직선성을 나타내었으며, 검출한계는 0.1 ng/mL~0.5 ng/mL이었다. 실제 시료측정에 앞서서 1, 5, 10 ng/mL 농도에서 회수율을 측정하였는데, PCP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71.6-98.9%의 양호한 절대회수율을 나타내었다. 상대표준편차(RSD)는 1.2~14.3% 범위의 좋은 재현성을 나타내었고, 정밀도를 나타내는 bias는 낮은 농도(1 ng/mL)에서 약간 높은 값(11.3~22.l%)을 나타내었지만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좋은 정밀도를 나타내었다.

잔디의 캘러스 형성 및 재분화에 끼치는 식물생장조절제, 탄소원 및 AgNO3의 영향 (Effect of Growth Regulators, Carbon Sources and Silver Nitrate on Callus Formation and Plant Regeneration of Turf Grass)

  • 한성수;임요섭;정재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1-229
    • /
    • 1996
  • 잔디의 형질전환체계를 확립하기에 앞서 효율적인 재분화 체제를 확립하고자 식물생장 조절제, 탄소원 및 $AgNO_3$가 재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지(MS와 N6) 및 식물생장조절제(2,4-D와 NAA)에 따른 Korean lawngrass(Zoysia japonica Steud.)와 penncross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Huds.)의 캘러스유기는 두 품종 모두 N6배지에서 보다 MS배지에서 좋았으며, Korean lawngrass는 2,4-D 1mg/L 첨가 MS배지에서 그리고 penncross creeping bentgrass는 2,4-D 2mg/L첨가 MS배지에서 가장 좋았다. 2. 캘러스증식은 두 품종 모두 2,4-D 2mg/L함유 MS배지에 NAA 0.2mg/L 첨가하였을때 가장 좋았고, kinetin을 Korean lawngrass의 경우 0.2mg/L, penncross creeping bentgrass의 경우 0.3mg/L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좋았다. 3. 식물체 재분화 실험에서 Korean lawngrass 잎 절편체의 재분화율은 MS배지에서 2,4-D 2mg/L+NAA 0.2mg/L+kinetin 0.1mg/L 조합처리시 44% 그리고 stock callus의 재분화율은 2,4-D 2mg/L+NAA 0.2mg/L+kinetin 0.3mg/L 조합처리시 32%이었다. penncross creeping bentgrass의 잎 절편체와 stock callus의 재분화율은 kinetin 0.3mg/L 농도에서 각각 80% 외 67%이었다. 4. Korean lawngrass의 경우 전술한 재분화 배지에 $AgNO_3$ 1mg/L를 첨가하였을 때 3~4%그리고 pencross creeping bentgrass의 경우 2mg/L를 첨가하였을 때 10~16%의 재분화율이 향상되었다.

  • PDF

옥상녹화 식재지반이 토양수분과 순비기나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ing Soil on the Soil Moisture and the Growth of Vitex rotundifolia for Green Roof)

  • 박준석;박지혜;주진희;윤용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98-106
    • /
    • 2010
  • 본 연구는 옥상녹화 생태면적률 기준을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식재지반이 토양수분과 순비기나무의 생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500{\times}500{\times}300mm$의 실험구에 토심 15cm와 25cm로 대별하였으며, 배합비율에 따라 $S_10$, $L_10$, $S_7L_3$, $S_5L_5$,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 등 총 8가지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 4월에서 9월까지 약 5개월간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옥상녹화 식재기반에 따른 토양수분함량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강우 시 상승한 반면, $S_10$, $S_7L_3$, $S_5L_5$ 실험구의 경우 수분함량이 급격히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피트모스와 펄라이트가 포함된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에서는 완만하게 감소하여 저관리형 옥상녹화에 보수성이 높은 토양개량제 사용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된다. 순비기나무의 생육실험 결과,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 실험구의 경우 생육이 양호하였다. $S_{10}$은 다른 실험구에 비해 미비한 성장을 보였으며, 이것은 낮은 토양수분함량과 유기물부족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본다. $L_{10}$ 실험구는 토양수분함량 및 유기물은 풍부한데도 불구하고 낮은 성장량을 보인 것은 유기질비료의 낮은 토양산도와 과잉 양이온함량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토심 15cm 실험구와 25cm 실험구를 비교해 보았을 때, 확연한 차이는 없었으나 토심 25cm 실험구에서 좀 더 원활한 생육을 보였다. 하지만 토심 15cm 실험구의 14일 무관수에서도 순비기나무가 고사하지 않고 생육 가능했던 점과 P6P2L2 이상의 피트모스 배합비에서 왕성한 생육이 이루어진 점을 미루어 볼 때, 저관리에 적합한 토양배합비는 인공토가 포함된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로 파악할 수 있었다.

L(4, 3, 2, 1)-PATH COLORING OF CERTAIN CLASSES OF GRAPHS

  • DHANYASHREE;K.N. MEERA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41권3호
    • /
    • pp.511-524
    • /
    • 2023
  • An L(p1, p2, p3, . . . , pm)-labeling of a graph G is an assignment of non-negative integers, called as labels, to the vertices such that the vertices at distance i should have at least pi as their label difference. If p1 = 4, p2 = 3, p3 = 2, p4 = 1, then it is called a L(4, 3, 2, 1)-labeling which is widely studied in the literature. A L(4, 3, 2, 1)-path coloring of graphs, is a labeling g : V (G) → Z+ such that there exists at least one path P between every pair of vertices in which the labeling restricted to this path is a L(4, 3, 2, 1)-labeling. This concept was defined and results for some simple graphs were obtained by the same authors in an earlier article. In this article, we study the concept of L(4, 3, 2, 1)-path coloring for complete bipartite graphs, 2-edge connected split graph, Cartesian product and join of two graphs and prove an existence theorem for the same.

Oriental, Martgon 및 Trumpet Group을 화분친으로 사용한 백합의 종간수분 (Interspecific Pollination of Oriental, Martagon and Trumpet Group as Male Parent in Lilium spp.)

  • 이지용;윤의수;임용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95-101
    • /
    • 2004
  • L. longiflorum cv. Gelria를 자방친으로 하고 Oriental group를 화분친으로 한 98조합 2,380개체에 대한 종간교배 결과 삭과 형성수는 7조합에서 11개체를 얻었다. 그중 미숙배를 형성한 삭과수는 L. 'Vettorea'를 화분친으로 한 1조합에서만 1개체를 얻어 그 비율은 미미했으나 1개의 삭과에서 11개의 미숙배를 획득했다. 같은 나팔백합인 L. longiflourm cv. Lorina를 자방친으로 하고 Oriental group를 화분친으로 한 74조합 1,265개체의 교배결과 삭과 형성 수는 8조합에서 9개체를 얻었다. 배형성 삭과율은 1.3%를 나타냈으며 전체 24개의 배를 얻었으며 삭과당 평균배수는 3.0개였다. L. ${\times}$formolongi cv.'Raizan'을 자방친으로 하고 Oriental group를 화분친으로 한 85조합 1,065개체 교배결과 삭과 형성수는 36조합에서 62개체를 얻었다. 그중 미숙배를 형성한 삭과수는 12조합에서 17개체를 얻었고 여기에서 얻은 전체 배수는 68개로 삭과당 평균배수는 4.0개였다. 같은 Longiflorum group인 L. ${\times}$formolongi과 L. ${\times}$formolongi 자방친으로 한 종간교배 결과를 비교해 보면 배형성 삭과율은 L. ${\times}$formolongi cv. Raizan (3.1%) 이 ㅣ. longiflorum cv. Gelria (0.1%)와 L. longiflorum cv. Lorina (1.3%) 보다 높은 편이었고, 삭과당 평균배수는 L. longiflorum cv. Gelria(11.0개)가 L. longiflorum cv. Lorina (3.0개), L. ${\times}$formolongi cv. Raizan (4.0개) 보다 높은 편이었다. 한편 Longiflorum group인 L. longiflourm cv. Gelria 및 L. longiflorum cv. Lorina와 L. ${\times}$formolongi cv. Raizan를 자방친으로 하고 화분친을 Martagon group인 1. distichum, L. hansonii, L. tsingtauense, L. martagon, Trumpet group인 L. 'Black Beauty', 1. henf, L. henry, regale 등으로 화주절단수분을 한 결과 (L. ${\times}$formolongi${\times}$L. henryi)의 조합에서만이 15개의 교배개체 중에서 2개의 성숙 삭과를 얻었을 뿐 배를 형성한 삭과는 얻지 못했다. 이러한 교잡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본 시험에서 시행한 화주절단수분법 이외에도 지금까지 보고된 여러 가지 방법들을 적극 적용하여 금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Radiographic Parameters of Segmental Instability in Lumbar Spine Using Kinetic MRI

  • Jang, Se-Youn;Kong, Min-Ho;Hymanson, Henry J.;Jin, Tae-Kyung;Song, Kwan-Young;Wang, Jeffrey C.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5권1호
    • /
    • pp.24-31
    • /
    • 2009
  •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radiographic parameters on segmental instability in the lumbar spine using Kinet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Methods : Segmental motion, defined as excessive (more than 3 mm) translational motion from flexion to extension, was investigated in 309 subjects (927 segments) using Kinetic MRI. Radiographic parameters which can help indicate segmental instability include disc degeneration (DD), facet joint osteoarthritis (FJO), and ligament flavum hypertrophy (LFH). These three radiographic parameters were simultaneously evaluated, and the combinations corresponding to significant segmental instability at each level were determined. Results : The overall incidence of segmental instability was 10.5% at L3-L4, 16.5% at L4-L5, and 7.3% at L5-S1. DD and LFH at L3-L4 and FJO and LFH at L4-L5 were individually associated with segmental instability (p<0.05). At L4-L5, the following combinations had a higher incidence of segmental instability (p<0.05) when compared to other segments : (1) Grade IV DD with grade 3 FJO, (2) Grade 2 or 3 FJO with the presence of LFH, and (3) Grade IV DD with the presence of LFH. At L5-S1, the group with Grade III disc and Grade 3 FJO had a higher incidence of segmental instability than the group with Grade I or II DD and Grade 1 FJO.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esences of either Grade IV DD or grade 3 FJO with LFH at L4-L5 were good indicators for segmental instability. Therefore, using these parameters simultaneously in patients with segmental instability would be useful for determining candidacy for surgical treatment.

수소생산 증진을 위한 Enterobacter cloacae YJ-1의 배지조성 (Medium Composition of Enterobacter cloacae YJ-1 for Maximizing Hydrogen Production)

  • 이기석;강창민;정선용
    • KSBB Journal
    • /
    • 제20권5호
    • /
    • pp.350-354
    • /
    • 2005
  • 수소생산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Enterobacter cloacae YJ-1을 이용해 생산성에 미치는 탄소원 농도, 질소원 농도, 금속이온 농도, 아미노산 효과로서 회분식 배양을 통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종 탄소원의 종류에 따라 수소생산을 검토한 결과 glucose 첨가시에 가장 양호하였다. 따라서 glucose 농도를 변화시켜 수소생산량을 조사한 결과 $2\%$(w/v) 농도에서 최대를 보여 975.4 mL/L를 생산하였다. 각종 질소원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질소원은 yeast extract이었으며, 최대 수소생산량은 $1.5\%$(w/v) 농도에서 1651.5mL/L이었다. 금속이온으로는 $Na_2MoO_4$가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나 $0.04\%$(w/v) 농도에서 1753.3 mL/L를 생산하였다. 아미노산은 cystein에서 가장 생산량이 많았으며, 다음은 proline, histidine, alanine 등 순이었다. 회분식 배양의 최적 조건하에 수소를 연속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반연속배양을 행한 결과 $3\%$ (w/v) 농도에서 2215.4 mL/L로 가장 높았다. 생산균주의 대사에 관한 물질을 보다 세밀히 조사하고 연속적인 수소생산을 살펴 산업적인 공정개발도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Optimizing Production of Two Potential Probiotic Lactobacilli Strains Isolated from Piglet Feces as Feed Additives for Weaned Piglets

  • Chiang, Ming-Lun;Chen, Hsi-Chia;Chen, Kun-Nan;Lin, Yu-Chun;Lin, Ya-Ting;Chen, Ming-J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8호
    • /
    • pp.1163-1170
    • /
    • 2015
  • Two probiotic strains, Lactobacillus johnsonii x-1d-2 and Lactobacillus mucosae x-4w-1, originally isolated from piglet feces, have been demonstrated to possess antimicrobial activities, antibiotic resistances and interleukin-6 induction ability in RAW 267.4 macrophages in our previous study. These characteristics make L. johnsonii x-1d-2 and L. mucosae x-4w-1 good candidates for application in feed probiotics. In this study, soybeal meal, molasses and sodium acetate were selected to optimize the growth medium for cultivation of L. johnsonii x-1d-2 and L. mucosae x-4w-1. These two strains were then freeze-dried and mixed into the basal diet to feed the weaned piglets. The effects of L. johnsonii x-1d-2 and L. mucosae x-4w-1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fecal microflora of weaned piglet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acterial numbers of L. johnsonii x-1d-2 and L. mucosae x-4w-1 reached a maximum of 8.90 and 9.30 log CFU/mL, respectively, when growing in optimal medium consisting of 5.5% (wt/vol) soybean meal, 1.0% (wt/vol) molasses and 1.0% (wt/vol) sodium acetate. The medium cost was 96% lower than the commercial de Man, Rogosa and Sharpe medium. In a further feeding study, the weaned piglets fed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freeze-dried probiotic cultures exhibited higher (p<0.05) body weight gain, feed intake, and gain/feed ratio than weaned piglets fed basal diet. Probiotic feeding also increased the numbers of lactobacilli and decreased the numbers of E. coli in the feces of weaned piglet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L. johnsonii x-1d-2 and L. mucosae x-4w-1 have high potential to be used as feed additives in the pig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