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brevis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6초

Lactobacillus spp. 이용 발효 붉나무의 기능성물질 검색에 대한 연구 (Functionality Analysis of Rhus javanica Fermented by Lactobacillus spp.)

  • 이동성;강민수;김윤철;임남경;김현수;정길생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4-5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를 Lactobacillus속 균주로 발효시켜 기능성물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선별한 발효에 사용한 10가지 한약은 100% methanol로 추출하여 Lactobacillus속 균주와 MRS배지를 첨가하여 사용하였고 발효 후 ethyl acetate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10가지 중 붉나무를 Lb. brevis KCTC 3498로 발효하고 ethyl acetate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마우스 해마 유래 세포주인 HT22 세포에서 glutamate로 유발된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 보호효과가 우수했으며, 이는 heme oxygenase-1 단백질 발현에 의한 것 임을 밝혔다. 또한, 뇌세포 보호에 heme oxygenase-1 발현의 주요 기전인 Nrf2 핵 내의 전사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붉나무의 발효 전과 후의 항균, 항산화 효과 비교 실험에서는 붉나무를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KCTC 3108, Lb. fermentum KCTC 3112, Lb. brevis KCTC 3498 균주로 각각 발효한 한약재는 발효 전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아지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KCTC 3108, Lb. casei KCTC 3109로 발효한 붉나무 발효액과 ethyl acetate 여액층은 Bacillus subtilis PCI 219, Escherichia coli KCTC 1682, Shigella flexneri KCTC 2517, Vibrio parahaemolyticus KCTC 7471, Pseudomonas aeruginosa KCTC 2004에 모두 항균활성을 보였다. 붉나무를 Lb. brevis KCTC 3498로 발효하여 ethyl acetate로 추출한 추출물은 B. subtilis PCI 219, E. coli KCTC 1682, S. flexneri KCTC 2517, V. parahaemolyticus KCTC 7471 균주에서 발효한 추출물이 단순 붉나무 추출물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Monitoring the 2007 Florida east coast Karenia brevis (Dinophyceae) red tide and neurotoxic shellfish poisoning (NSP) event

  • Wolny, Jennifer L.;Scott, Paula S.;Tustison, Jacob;Brooks, Christopher R.
    • ALGAE
    • /
    • 제30권1호
    • /
    • pp.49-58
    • /
    • 2015
  • In September 2007, reports of respiratory irritation and fish kills were received by the Florida Fish and Wildlife Conservation Commission (FWC) from the Jacksonville, Florida area. Water samples collected in this area indicated a bloom of Karenia brevis, the dinoflagellate that produces brevetoxin, which can cause neurotoxic shellfish poisoning. For the next four months, K. brevis was found along approximately 400 km of coastal and Intracoastal waterways from Jacksonville to Jupiter Inlet. This event represents the longest and most extensive red tide the east coast of Florida has experienced and the first time Karenia species other than K. brevis have been reported in this area. This extensive red tide influenced commercial and recreational shellfish harvesting activities along Florida's east coast. Fourteen shellfish harvesting areas (SHAs) were monitored weekly during this event and 10 SHAs were closed for an average of 53 days due to this red tide. The length of SHA closure was dependent on the shellfish species present. Interagency cooperation in monitoring this K. brevis bloom was successful in mitigating any human health impacts. Kernel density estimation was used to create geographic extent maps to help extrapolate discreet sample data points into $5km^2$ radius values for better visualization of the bloom.

A Non-yeast Kefir-like Fermented Milk Development with Lactobacillus acidophilus KCNU and Lactobacillus brevis Bmb6

  • Lee, Bomee;Yong, Cheng-Chung;Yi, Hae-Chang;Kim, Saehun;Oh, Sej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41-550
    • /
    • 2020
  • The use of yeast assist kefir fermentation, but also can cause food spoilage if uncontrolled. Hence, in this study, the microbial composition of an existing commercial kefir starter was modified to produce a functional starter, where Lactobacillus acidophilus KCNU and Lactobacillus brevis Bmb6 were used to replace yeast in the original starter to produce non-yeast kefir-like fermented milk. The functional starter containing L. acidophilus KCNU and L. brevis Bmb6 demonstrated excellent stability with 1010 CFU/g of total viable cells throughout the 12 weeks low-temperature storage. The newly developed functional starter also displayed a similar fermentation efficacy as the yeast-containing control starter, by completing the milk fermentation within 12 h, with a comparable total number of viable cells (108 CFU/mL) in the final products, as in control.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the functional starter-fermented milk highly resembled the flavor of the control kefir, with enhanced sourness. Furthermore, oral administration of functional starter-fermented milk significantly improved the disease activity index score by preventing drastic weight-loss and further deterioration of disease symptoms in DSS-induced mice. Altogether, L. acidophilus KCNU and L. brevis Bmb6 have successfully replaced yeast in a commercial starter pack to produce a kefir-like fermented milk beverage with additional health benefits. The outcome of this study provides an insight that the specific role of yeast in the fermentation process could be replaced with suitable probiotic candidates.

미생물 생육에 대한 무 추출물의 억제 및 촉진 효과

  • 곽희진;계수경
    • 한국관광식음료학회지:관광식음료경영연구
    • /
    • 제11권
    • /
    • pp.29-42
    • /
    • 2000
  • Extracts active on the growth of food-born microorganisms were prepared from radish by using acetone, methanol and water as the solvents. Strains of bacteria and yeast, such as L. brevis, L. fermentum, L. faecalis, L. mesenteroides, B. subtilis, S. flexneri, S. aureus and C. albicans. Addition of 1 $m\ell$ of acetone extract exhibited the strongest growth effect on L. brevis. The water extracts turned out to stimulate growth of all Lactic acid bacteria. Especially, it was observed that the same material produced the highest stimulatory effect(by about 40-50 times) on L. faecalis and L. fermentum and L. mesenteroides. Also, it was proved to have a weak stimulate effect on C. albicans, S. flexneri and S. aureus. But, on the contrary to this, when applied to B. subtilis it showed growth stimulation by about 10 times.

In vitro Antioxidative Properties of Lactobacilli

  • Kim, H.S.;Chae, H.S.;Jeong, S.G.;Ham, J.S.;Im, S.K.;Ahn, C.N.;Lee, J.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2호
    • /
    • pp.262-265
    • /
    • 2006
  •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lactobacilli originating from humans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11, Lactobacillus jonsonii KCTC 3141,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51, and Lactobacillus brevis KCTC 3498) were investigated using in vitro methods, including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resistance to hydrogen 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activity. L. acidophilus KCTC 3111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in both intact cells (49.7%) and cell lysate (65.2%). This strain exhibited resistance to hydrogen 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which was viable for 7 h in the concentration of 1.0 mM hydrogen peroxide. In addition, this strain showed high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e GPX activity assay, the highest activity was measured in L. brevis 3498. GPX activity of L acidophilus 3111 was lower than that of L. brevis 3498.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Inoculant on Fermentation Quality and in vitro Rumen Fermentation of Total Mixed Ration

  • Choi, Yeon Jae;Lee, Sang Suk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32-140
    • /
    • 2019
  • Fermented total mixed ration (TMR) is a novel feed for ruminants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on the quality of TMR and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Strains of three LAB spp. (Lactobacillus plantarum, L. brevis, L. mucosae) were used in fermentation of TMR. Inoculations with the three LAB spp. lowered pH and increased concentrations of lactic acid, acet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compared to non-LAB inoculated control (only addition of an equivalent amount of water) (p<0.05). Bacterial composition indicated that aerobic bacteria and LAB were higher. However, E. coli were lower in the fermented TMR than those in the control treatment (p<0.05). Among the treatments, L. brevis treatment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otal organic acid without fungus detection. Gas production, pH, and ammonia-nitrogen during ruminal in vitro incubation did not differ throughout incubation. However, ruminal total VFA concentration was higher (p<0.05) in the LAB spp. treatments than the control treatment at 48 hours. Overall, the use of L. brevis as an inoculant for fermentation of high moisture. TMR could inhibit fungi growth and promote lactic fermentation, and enhance digestion in the rumen.

자몽 추출물과 김치 추출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소시지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Fermented Sausage using Grapefruit Extract and Kimchi Extracted Starter Culture)

  • 김용휘;안병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0-79
    • /
    • 2014
  • 본 연구는 발효 소시지의 저장 기간 중 지질 산화를 억제하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며, 유해 세균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아질산염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첨가제로써 자몽 추출물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몽 추출물과 김치 유산균을 첨가하여 제조된 발효 소시지에서 우수한 지질 산화 및 유해 세균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저장 기간 7일차까지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빈산을 첨가한 처리구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과 L. acidophilus를 혼합하여 제조된 처리구 A와 아질산염과 김치유산균을 혼합한 처리구 B, 아스코르빈산과 김치 유산균을 혼합한 처리구 C, 그리고 자몽 추출물과 김치 유산균을 혼합한 처리구 D의 제품 특성을 비교한 결과, pH는 처리구 D와 처리구 C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유산균수는 자몽 추출물을 첨가한 처리구 D에서 가장 높았으며, 대장균 출현 억제효과는 아질산염과 L. acidophilus를 혼합한 처리구 A를 제외하고는 모두 시료 g당 100마리 이하로 나타났다. 육색 중 명도의 경우, 처리구 간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적색도에서는 처리구 D와 아스코르빈산과 김치 유산균을 첨가한 처리구 C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황색도는 자몽 추출물을 첨가한 처리구 D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직감의 경우, 자몽 추출물을 첨가한 처리구 D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식감이 우수하였으며, 관능 평가에서는 아스코르빈산을 첨가한 처리구 C와 자몽 추출물이 첨가된 처리구 D에서 우수하게 나타나 자몽 추출물은 발효 소시지를 위한 천연 항산화제로써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았으며, 김치유산균인 L. brevis 또한 발효 과정 중 소시지의 산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이며, 저장 기간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발효를 유지시켜 유해 세균의 출현 및 성장을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국내 새우젓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brevis HLJ59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 및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Lactobacillus brevis HLJ59 Isolated from Salted Shrimp)

  • 전춘표;김윤회;이중복;조민섭;신기선;최충식;권기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9-14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인 장류, 김치류 및 젓갈류로부터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이 우수한 젖산균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젖산균을 분리하기 위한 선택배지로서 bromocresol purple (BCP) 한천배지를 사용하여 1차적으로 젖산균을 분리하였으며, 그 중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분리된 젖산균을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으로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brevis ATCC $14869^T$와 99.7%의 유사도를 나타냄에 따라 L. brevis HLJ59로 명명하였다. L. brevis HLJ59는 내산성의 경우 pH가 2.0, 3.0으로 보정된 DeMan Rogosa Sharpe 액체배지에서 접종 후 각각 90분, 30분이 경과하였을 때 배양초기와 비교 시 약 99%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나, 담즙산(Bile extract)의 경우 1% 첨가 시에도 생육에 저해를 받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어 L. brevis HLJ59 균주는 담즙산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항생제 내성의 경우 20종의 항생제를 paper disc법으로 조사한 결과 본 균주는 cephalosporin계의 cefoxatin (30 ${\mu}g$), ceftnaxone (30 ${\mu}g$), penicillin계의 penicillin (10 units), quinolones계 cprofloxacin (5 ${\mu}g$), nalidixic acid (30 ${\mu}g$), lincosamid계의 lincomycin (2 ${\mu}g$) 및 기타 chloramphenicol (30 ${\mu}g$)에 대해서는 내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Lactobacillus brevis LH8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한 Ginsenoside Rd의 Compound K로의 전환 (Conversion of Ginsenoside Rd to Compound K by Crude Enzymes Extracted from Lactobacillus brevis LH8)

  • 전림호;양지제;김호빈;김세화;김세영;노영덕;양덕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226-231
    • /
    • 2008
  • 인삼사포닌 ginsenoside는 인삼의 주요한 약리성분으로 인삼을 경구투여 시 major 사포닌의 생체 내에서의 흡수는 매우 낮아 인삼사포닌의 약효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기존에 많이 존재하는 major 사포닌을 상대적으로 흡수도 잘 되며 약효도 더 뛰어난 minor 사포닌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김치에서 분리한 ${\beta}-glucosidase$ 활성균주 L. brevis LH8이 분비하는 효소를 이용하여 ginsenoside Rd를 compound K로 전환시켰다. L. brevis LH8의 효소액은 반응 온도 $30^{\circ}C$에서 효소활성이 가장 좋았고 $35^{\circ}C$이상에서는 활성이 급격히 저하되었으며, pH $6.0{\sim}12.0$ 사이에서 효소활성이 가장 좋았고, pH 5.0 이하 및 pH 13.0 이상에서는 활성도가 떨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ginsenoside Rd는 반응 48시간부터 ginsenoside F2로 전환되기 시작하였으며, 반응 72 시간 이후에는 대부분 compound K로 전환되었다.

가자미 식해 발효에서 Lactobacillus brevis GS1022과 Pediococcus inopinatus GS316의 균총 변화 연구 (Change in Lactobacillus brevis GS1022 and Pediococcus inopinatus GS316 in Gajami Sikhae Fermentation)

  • 임수정;배은영;설민경;조영제;정희영;김병오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91-500
    • /
    • 2020
  • 유산균은 장 건강, 심장질환, 우울증, 비만 등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다고 널리 알려져 있고, 특히 한국은 다양한 발효식품에서 유산균을 섭취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 발효식품에서 분리된 유산균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김치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어류 전통 발효식품인 식해류의 유산균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인 가자미 식해의 발효에 관여하는 유산균의 배양일에 따른 균총의 변화를 관찰하고, 가자미 식해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로 이용 가치가 있는 균을 분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포항의 가정집에서 제조된 가자미 식해에서 유산균을 제조일로부터 50일까지 5일 간격으로 분리하고 동정하였고, 동정 결과 P. pentosaceus, P. inopinatus, Lc. mesenteroides, L. brevis, L. plantarum 5개 균주가 발효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초기 발효에는 Pediococcus sp.가, 중기 이후부터는 Lactobacillus sp.가 우세하게 발효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리한 유산균 중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가지는 균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산내성, 담즙산 내성 시험을 통해 균주를 선별한 뒤 응집능, 표면 소수성,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가자미 식해 분리 균주 중 최종적으로 선택된 소화액 내성이 뛰어난 L. brevis GS1022와 응집능이 뛰어난 P. inopinatus GS316은 프로바이오틱 균주로 이용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