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 plantarum

검색결과 575건 처리시간 0.029초

뽕잎 장아찌로부터 분리된 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의 유해균 증식 억제 활성 (Antipathogenic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Isolated from Pickled Mulberry Leaf)

  • 박은희;김명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63-170
    • /
    • 2016
  • 전국 각지에서 수집된 발표식품으로부터 젖산균을 분리하고 유해균인 B. cereus, L. monocytogenes, S. Typhimurium, S. aureus 및 S. epidermidis 균주에 대하여 생육 억제효능이 강한 L2167 균주를 선발하고, 16S rDNA 분석법을 이용하여 L. plantarum로 동정하였다. L2167 균주의 단백질 분획물을 제작하여 S. aureus 등 5종의 유해균 배양액에 첨가한 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L. plantarum L2167 균주의 균체 단백질 분획물은 유해균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생육 억제활성은 균체 내부에 함유된 단백질이 유해균의 세포막을 파괴하는 것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L. plantarum L2167은 pH 5.5로 조절한 MRS 배지에서 35℃로 배양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비성장속도를 나타냈으며, 대조구로 사용된 L. plantarum KCTC21004보다 NaCl에 대하여 민감한 특징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선발한 L. plantarum L2167 균주는 추가연구를 통하여 유해균의 생육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스타터 균주로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illus subtilis와 Lactobacillus plantarum의 혼합배양이 청국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subtili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on the Quality of Cheonggukjang)

  • 주경은;오남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99-404
    • /
    • 2009
  • B. subtilis 균주와 L. plantarum 균주를 혼합배양하여 청국장을 제조할 때 나타나는 여러 가지 품질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B. subtilis 균주와 L. plantarum을 혼합배양할때 L. plantarum의 생육은 잘 되지 않는다. 따라서 혼합배양시 L. plantarum의 생육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먼저 L. plantarum을 배양하고,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B. subtilis를 접종하면 L. plantarum의 생균수가 $2{\times}10^7$ CFU/g에서 48시간 후에 $6{\times}10^8$ CFU/g까지 증가하였다. 혼합배양시 L. plantarum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또 다른 방법으로 B. subtilis의 초기 접종량을 $3.9{\times}10^2$CFU/g, L. plantarum의 접종량을 $2{\times}10^7$ CFU/g으로 조절하여 동시에 접종하였을 때 24시간 배양 후 B. subtilis의 생균수는 $9{\times}10^8$ CFU/g까지 증가하였으며 L. plantarum의 생균수도 $2{\times}10^7$ CFU/g에서 $6{\times}10^8$ CFU/g으로 증가하였다. 즉, 배양방법의 최적화를 통하여 B. subtilis균주와 L. plantarum 균주의 생육을 성공적으로 유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L. plantarum의 생균수가 증가된 청국장의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단일균주를 사용하여 제조한 청국장과 유사하였으며, 암모니아 불쾌취가 적었으며, 풍미와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국장 제조시 L. plantarum 균주를 혼합배양함으로써 기존 청국장의 이취 개선과 품질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Escherichia coli-Derived Uracil Increases the Antibacterial Activity and Growth Rate of Lactobacillus plantarum

  • Ha, Eun-M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5호
    • /
    • pp.975-987
    • /
    • 2016
  • Lactobacillus plantarum (L. plantarum) is a representative probiotic. In particular, L. plantarum is the first commensal bacterium to colonize the intestine of infants. For this reason, the initial settlement of L. plantarum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an infant's health as well as their eventual health status as an adult. In addition, L. plantarum combats pathogenic infections (such as Escherichia coli (E. coli), one of the early pathogenic colonizers in an unhealthy infant gut) by secreting antimicrobial substances.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how L. plantarum combats E. coli infection and why it is a representative probiotic in the intestine. Consequently, this research observed that E. coli releases uracil. L. plantarum specifically recognizes E. coli-derived uracil, which increases the growth rate and produc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of L. plantarum. In addition, through the inhibitory activity test, this study postulates that the antimicrobial substance is a protein and can be considered a bacteriocin-like substance. Therefore, this research assumes that L. plantarum exerts its antibacterial ability by recognizing E. coli and increasing its growth rate as a result, and this phenomenon could be one of the reasons for L. plantarum settling in the intestine of infants as a beneficial bacterium.

유청을 이용한 Bacillus subtilis와 Lactobacillus plantarum의 혼합발효를 통한 γ-aminobutyric acid와 생리활성물질 강화 (Fortification of γ-aminobutyric acid and bioactive compounds in whey by co-fermentation using Bacillus subtili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 김근영;임종순;이삼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572-580
    • /
    • 2018
  • 본 연구는 모짜렐라 치즈 제조과정에서 분리된 유청을 B. subtilis HA와 L. plantarum EJ2014의 혼합 발효를 통해 ${\gamma}$-PGA, GABA 등의 기능성 물질이 강화된 발효물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유청 B. subtilis 발효 1일차의 시료 분석결과, pH는 6.51, 산도는 0.32%, 생균수는 8.39 log CFU/mL을 나타냈으며, 점질물과 점조도는 각각 6.06%와 $4.09Pas^n$로 발효 전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2차 L. plantarum 발효를 통해 유청 혼합발효물의 최종 pH는 4.57까지 감소하였고 산도는 L. plantarum 발효 1일째 1.39%로 증가하여 최종 산도는 1.73%를 나타내었다. B. subtilis 생균수는 2차 L. plantarum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5.83 log CFU/mL까지 감소하였으나 L. plantarum 생균수는 5.73 log CFU/mL에서 L. plantarum 발효 1일째 9.08 log CFU/mL로 급격히 증가한 후 L. plantarum 발효 7일까지 유지하였다. TLC 정성분석한 결과 L. plantarum 발효 5일 이후 MSG가 모두 소진되어 GABA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PLC 정량분석으로 MSG는 L. plantarum 발효 초기 3.40%에서 L. plantarum 발효 7일째 거의 소진 되면서 혼합발효물의 GABA 함량은 2.21%를 보였다. 환원당과 젖당 함량은 각각 발효 전 11.07과 6.73%에서 L. plantarum 발효 7일째 각각 4.97과 3.68%로 크게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 타이로신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증가되어 L. plantarum 발효 7일째 38.24 mg%를 나타내었다. 단백질 가수분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SDS-PAGE를 통해 발효 후 유청 단백질들이 대부분 가수분해되어 저분자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청의 발효 전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ABTS $RC_{50}$값은 26.81 mg/g에서 발효 후 8.78 mg/g, DPPH $RC_{50}$값 또한 발효 전 17.58 mg/g에서 발효 후 10.38 mg/g으로 감소하면서 혼합발효를 통해 전자 공여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갓김치에서 분리된 유산균의 활성산소종에 대한 저항성과 항산화 활성 (Resistance to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me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the Mustard Leaf Kimchi)

  • 임성미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75-382
    • /
    • 2010
  • 갓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5종(Lactobacillus acidophilus GK20, Lactobacillus brevis GK55, Lactobacillus paracasei GK74, Lactobacillus plantarum GK81,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 GK104)의 활성산소종에 대한 저항성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Hydrogen peroxide (0.5 mM)와 반응 5시간후 L. acidophilus GK20, L. brevis GK55, L. paracasei GK74 및 L. plantarum GK81들은 5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superoxide anions에 의한 저해율은 L. acidophilus GK20와 L. paracasei GK74가 가장 낮았고, hydroxyl radical과의 반응에서는 L. paracasei GK74와 L. plantarum GK81이 가장 안정하였다. 한편, L. plantarum GK81는 실험 균주 중 가장 높은 DPPH 소거능($70.8{\pm}10.1%$)을 나타내었는데, 세포(IC)보다는 세포추출물(ICFE)의 활성이 더 높았다. 또한 L. plantarum GK81의 ICFE는 다른 균주들에 비해 높은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을 보였고, 이 균주의 IC와 ICFE에 의한 환원력은 BHA와 vitamin C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L.paracasei GK74 IC의 환원력도 vitamin C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L. brevis GK55, L. paracasei GK74 및 L.mesenteroides GK104 IC의 $Fe^{2+}$-chelating 활성은 30% 이상이었고, L. plantarum GK81의 ICFE는 45%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험 균주 중 L. plantarum GK81은 다른 균들에 비해 ROS에 대해 비교적 안정하고, 항산화 활성도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한 산양삼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의 함량 증대 (Enhancement of Ginsenoside Rg1 and Rg5 Contents in an Extract of Wood-cultivated Ginseng by Lactobacillus plantarum)

  • 권훈주;조윤지;김명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05-310
    • /
    • 2017
  • 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한 젖산균 중 ${\alpha}$-rhamnosidase 효소활성을 보유한 젖산균 12점을 선별하였다. 효소활성이 우수한 Weissella confuse 1점, L. pentosus 1점과 효소활성이 우수하였던 4점의 L. plantarum 균주를 사용하여 진세노사이드 Rb1과 Re를 Rg1, Rg5로 각각 생물전환하였다. L. plantarum MBE/L2990 균주를 사용한 생물전환반응에서 Rg1과 Rg5의 함량이 각각 0.58 mg, 0.24 mg 가량 증가하였으며, 대조구로 사용한 L. plantarum KCTC21004 균주에 비해 약 56% 및 42% 우수한 생물전환 효율이었다. L. plantarum MBE/L2990 균주는 한국미생물자원센터에 KCTC18529P로 기탁하였다.

Characterization of a Potential Probiotic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LRCC5310 by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and its Vitamin B6 Production Ability

  • Yunjeong Lee;Nattira Jaikwang;Seong keun Kim;Jiseon Jeong;Ampaitip Sukhoom;Jong-Hwa Kim;Wonyong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5호
    • /
    • pp.644-655
    • /
    • 2023
  • Safety assessment and functional analysis of probiotic candidates are important for their industrial applications.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is one of the most widely recognized probiotic strains. In this study we aimed to determine the functional genes of L. plantarum LRCC5310, isolated from kimchi, using next-generation, whole-genome sequencing analysis. Genes were annotated using the Rapid Annotations using Subsystems Technology (RAST) server and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pipelines to establish the strain's probiotic potential. Phylogenetic analysis of L. plantarum LRCC5310 and related strains showed that LRCC5310 belonged to L. plantarum. However, comparative analysis revealed genetic differences between L. plantarum strains. Carbon metabolic pathway analysis based on the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database showed that L. plantarum LRCC5310 is a homofermentative bacterium. Furthermore, gene annot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L. plantarum LRCC5310 genome encodes an almost complete vitamin B6 biosynthetic pathway. Among five L. plantarum strains, including L. plantarum ATCC 14917T , L. plantarum LRCC5310 detect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pyridoxal 5'-phosphate with 88.08 ± 0.67 nM in MRS broth.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L. plantarum LRCC5310 could be used as a functional probiotic for vitamin B6 supplementation.

Lactobacillus plantarum KI134의 생리적 특성 및 이 균에 의한 우유 발효물의 항비만효과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besity Effect of Milk Fermen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KI134)

  • 김슬기;임상동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207-221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besity effects of milk fermented by L. plantarum KI134. The lipase, α-amylas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ilk fermented by L. plantarum KI134 was 94.57±1.25%, 9.44±2.85%, and 2.74±1.24% (10 fold dilution), respectively. L. plantarum KI134 showed higher sensitivity to clindamycin and erythromycin in comparison to sixteen different antibiotics. It demonstrated the highest resistance toward ampicillin and vancomycin. The strain showed higher β-galactosidase, leucine arylamidase, valine arylamidase, acid phosphatase, β-glucosidase, and N-acetyl-β-glucosaminidase activities compared to other enzymes. It also did not produce carcinogenic enzymes, such as β-glucuronidase. The survival rate of L. plantarum KI134 in 0.3% bile was 96.90%. Moreover, the strain showed a 91.45% survival rate at a pH of 2.0. L. plantarum KI134 has resistance to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at the rates of 70.00%, 68.18%, 59.05%, and 40.63%, respectively. L. plantarum KI134 (23.01%) showed higher adhesion ability than the positive control (16.32%) L. rhamnosus GG.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milk fermented by L. plantarum KI134 demonstrated an anti-obesity effect under in vitro conditions, with confirmed potential as a probiotic.

김치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JK-01의 동정 및 생리적 특성 (The Identification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Lactobacillus plantarum JK-01 Isolated from Kimchi)

  • 조진국;이관호;조성진;윤여창;황성구;허강칠;최일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63-370
    • /
    • 2007
  • 김치의 L. plantarum의 생균제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김치에서 산생산과 성장능력 등이 우수한 25종의 Lactobacillus sp.를 분리하였고, API kit 분석에 의하여 L. plantarum을 동정하고 재차 16S rDNA 염기서열(99.9% 상동성)을 비교한 후 L. plantarum JK-01로 표기하였다. L. plantarum JK-01은 MRS broth에서 배양시 18시간 후 $2.9{\times}10^{10}CFU/ml$로 최대로 증식하는 빠른 성장특성을 나타냈으며 pH도 4.5로 조속히 하강하였다. 효소활성은 xylanase, amylase, protease, phytase의 순으로 높은 활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L. plantarum JK-01은 pH 2에서도 $1.36{\times}10^5CFU/mL$가 생존하였고, 1%의 담즙산에서도 약 $10^6CFU/mL$이상이 생존하여 내산성과 내담즙산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60^{\circ}C$에서도 $3.3{\times}10^3$ CFU/mL 정도로 생존하는 내열성이 있었으며, 대장균과 함께 배양시 18시간 후 대장균을 사멸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분리한 L. plantarum JK-01은 생균제로서 충분히 이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Lactobacillus plantarum G72 Showing Production of Folate and Short-chain Fatty Acids

  • Jang, Hye Ji;Lee, Na-Kyoung;Paik, Hyun-Do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8-23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duction of folate, short chain fatty acids (SCFAs), and antimicrobial activity exhibi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G72 for potential dietary application in pregnant women. L. plantarum G72 has been reported to possess characteristic activities and functionality including β-galactosidase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ies. L. plantarum G72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athogenic bacteria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5313, Salmonella typhimurium P99, Escherichia coli ATCC 25922, and Staphylococcus aureus KCCM 11335) using a modified method, and formation of the largest inhibition zone was observed against S. aureus KCCM 11335 (12.0-17.0 mm). The adherence of four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to HT-29 cells was inhibited by L. plantarum G72 (0.13 to 0.92 log CFU/ml). The most considerable inhibition of adherence to HT-29 cells was observed by using L. plantarum G72 against S. typhimurim P99. Additionally, folate production by L. plantarum G72 was 50.1 ng/ml, and L. plantarum G72 produced relatively more lactic acid (11,176.73 mg/kg) than acetic, propionic, or butyric acid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 plantarum G72 may serve as a multifunctional food additive in the health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