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 acidophilus

검색결과 347건 처리시간 0.027초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as a Probiotics)

  • 오세종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155-166
    • /
    • 2019
  • Bacteria from the genus Lactobacillus are important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ed food and dairy products, and as symbionts in human and animals. Lactobacillus acidophilus has widely been used in the production of yogurt, health foods, and even medicines. The efficacy of L. acidophilus has been proven with regards to the reduction of cholesterol,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rrhea, modulation of the immune system, suppression of cancer, etc. Using molecular biology tools, Lactobacillus acidophilus has now been reclassified into six species: L. acidophilus, L. amylovorus, L. crispatus, L gallinarium, L. gasseri, and L. johnsonii. Thus, since L. acidophilus has now been marked as a newly defined species, caution is advised when reading future publications regarding this bacterium. In this article, the results of the reclassification of L. acidophilus are mentioned after an analysis of its field inheritance was performed by my research team. Especially, L. amylovorus KU4 (formerly named as L. acidophilus KU4; KCCM 10975P) is a novel probiotic strain that is isolated from humans; it has the ability to reduce cholesterol. It has also been reported as a microorganism that effectively inhibits the growth of pathogenic E. coli. However, this Korean patent (No 10-1541280) refers to a strain obtained from calves; the origin of this strain was incorrectly labeled. Furthermore, after the discovery of L. acidophilus in 1900, its role in intestinal microbiological research was described and its utilization as a probiotic was presented.

두유(豆乳)에 첨가된 Methionine이 유산균의 생육과 산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ionine Supplemented to Soy Milk on Growth and Acid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 고영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1호
    • /
    • pp.17-23
    • /
    • 1987
  • 본 연구는 농축대두단백으로 만든 두유에 L-methionine을 여러가지 농도로 첨가하여 6종의 유산균 (Lactobacillus 4종, Leuconostoc 1종, Streptococcus 1종)의 생육과 산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아울러 DL-methionine, D-methionine 또는 L-cysteine이 L. acidophilus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두유에 첨가된 L-methionine은 6종의 유산균 가운데 4종 (L. bulgaricus, L. casei, Leuconostoc mesenteroides, S. lactis)의 생육과 산생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L. acidophilus 2종의 산생성을 억제시켰으며, 같은 L. acidophilus 중에서도 KFCC 12731은 AKU 1122보다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유에 첨가된 DL-methionine은 L-methionine과 동일하게 L. acidophilus(KFCC 12731)의 산생성을 현저하게 억제시켰으나, D-methionine은 높은 농도에서도 생육과 산생성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L-cysteine에 의하여 L. acidophilus (KFCC 12731)의 산생성이 다소 억제되었으나 그 정도는 L-methionine이 비하여 매우 완만한 것이었다.

  • PDF

모유 섭취 신생아 유래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생리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Isolated from a Breast-Fed Infant)

  • 홍성문;소병천;윤승원;김철현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45-53
    • /
    • 2012
  • 본 연구는 모유를 섭취하고 있는 생후 7일째 신생아의 분변으로부터 L. acidophilus를 분리 및 동정하고, 이들의 생리적 특성을 규명하여 상업적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pH 5.5에서 생장하는 lactobacilli 43균주를 분리하고, 그 중 pH 2.5에서 생존율이 약 80% 이상이고, homo 젖산 발효를 하는 lactobacilli 14균주를 1차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lactobacilli 14균주의 생화학적 특성, 당 이용성 및 균체 지방산 조성의 확인을 통해 동정된 L. acidophilus 9균주(NB 201~NB 209)를 시험 균주로 선발하였다. 내산성 실험 결과, 시험 균주를 pH 2.5에서 2시간 배양하였을 때 모든 시험 균주가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L. acidophilus NB 204는 pH 2.0에서도 71%의 생존율을 보여 내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담즙산 내성은 73%의 생존율을 보인 L. acidophilus NB 206을 제외한 8균주가 bile extract가 1%의 농도로 첨가된 배지에서 생존율이 85% 이상으로 담즙산 내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시험 균주 모두가 단백질 분해 활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yeast extract 0.1% 첨가한 것과 비교하여 0.2% 첨가 시 또는 24시간 배양과 비교하여 48시간 배양 시 TCA 가용성 펩타이드 및 유리 아미노산 생성량이 높았으며, 특히 L. acidophilus NB 204와 NB 209가 높은 생성량을 보였다(또는, yeast extract의 첨가량 및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TCA 가용성 펩타이드 및 유리 아미노산 생성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L. acidophilus NB 204와 NB 209가 높은 생성량을 보였다). 시험 균주들의 ${\beta}$-galactosidase 활성은 1.97~2.45 unit/mL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 PDF

한국인 유아 분변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acidophilus KY1909의 프로바이오틱 특성 (Probiotic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KY1909 Isolated from Korean Breast-Fed Infant)

  • 박종길;윤석영;오세종;신정걸;백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244-1247
    • /
    • 2003
  • 발효 및 유산균 제품에 모유만을 먹은 생후 3개월된 유아의 분변으로부터 bromocresol pule을 함유한 MRS 배지에서 노란색의 집락을 형성하는 균주들을 내산성 및 담즙산 내성이 우수한 13종의 Lactobacillus 균주들을 분리하였으며 당발효성 및 생화학적 실험을 토대로 분리된 유산균들을 동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선발한 균주를 L. acidophilus로 KY1909로 명명하였다. Lactic acid 생성 능력을 평가한 후 이성질체를 분석한 결과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L. acidophilus NCFM, L. acidophilus CH5, L. acidophilus NOCKS 균주들은 전체 lactic acid 중에서 L(+) form이 차지하는 비율이 각각 52.49, 40.63 및 63.13%로 나타났으나, L. acidophilus KY1909는 L(+) lactic acid의 비율이 93.96%로 나타났다.

두유에서의 유산균생육과 산생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rowth and Acid Produ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Soy Milk)

  • 김오섭;김창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05-209
    • /
    • 1979
  • 두유에서의 유산균 생육과 산생성량을 높일 수 있는 조건을 검토한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산균 Str. thermophilus, L. acidophilus, L. bulgaricus, 그리고 L. helveticus중에서 L. acidophilus가 두유에서의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다. 2. 두유에 glucose, lactose 또는 sucrose를 각각 첨가했을 때 glucose의 첨가가 가장 L. acidophilus의 생육과 산생성에 효과가 있었다. 3. 우유보다 두유의 부족 필수아미노산인 methionine을 두유에 첨가했을 때 L. acidophilus의 생육과 산생성량을 상승시켰다. 4. 두유의 protease 처리는 L. acidophilus의 생육과 산생성을 크게 향상시켰고 산도는 비처리구보다 2배 이상 증가되었다.

  • PDF

모유 섭취 신생아 유래 Lactobacillus acidophilus에 의한 발효유 내 중미형성 (Production of Flavor Compounds in Fermented Milk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Isolated from Breast-Fed Infants)

  • 박정규;송원호;홍성문;김철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96-603
    • /
    • 2008
  • 이 연구는 모유를 섭취하고 있는 생후 7일 이내의 신생아로부터 분리 및 선발된 9종의 L. acidophilus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유의 풍미성분의 확인을 통해 상업적 발효유제조 시 사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 균주에 의한 유리아미노산의 생성은 전반적으로 arginine 및 histidine과 같은 쓴맛을 내는 유리아미노산의 생성량이 높았으며, 유기산은 lactic acid의 경우 전 처리구에서 다른 유기산에 비해 높게 생성되었고, 전체적인 유기산 생성량은 L. acidophilus NB 209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또한 acetaldehyde의 함량이 다른 휘발성 향미성분에 비해 높게 생성되었으며 L. acidophilus NB 209에 의한 acetaldehyde 생성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험 균주로 발효유를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맛과 향미는 L. acidophilus NB 209로 제조된 발효유에 대한 기호도가 다른 처리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조직감은 다른 시험 균주에 비해 조금 낮게 나타났고, 상업적 발효유 제조에 사용 중인 L. acidophilus 145에 비해 전반적으로 기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L. acidophilus NB 209의 제품 적용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업적인 이용을 위해 향후 최적배양조건 선정 실험을 통한 관능성의 개선 관련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저온배양에 따른 Lactobacillus acidophilus CT 01의 저장 및 건조에 대한 저항성 (Effect of Suboptimal Temperature Incubation on the Resistanc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CT 01 to Storage and Drying)

  • 유근형;권일경;김거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2-97
    • /
    • 2005
  • 본 연구는 이유 전 자돈의 분변으로부터 분리·동정한 젖산균의 저온 배양에 따른 기초지식을 확보하고 이를 생균제 생산에 적용함으로써 제품내 젖산균의 생존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유 전 자돈의 분변으로부터 분리·동정한 젖산균은 Lactobacillus acidophilus 1로 판명되었으며, 이를 L. acidophilus CT 01이라 명명하였다. 48시간 동안 저온 배양한 L. acidophilus CT 01은 배양온도가 22℃일 때 생장속도가 가장 느리게 나타났으나 배양 12시간 이후부터 생균수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배양 36시간에 1.3×10/sup 9/ CFU/mL로 최대 생균수를 나타냈다. L. acidophilus CT 01을 저온 배양하여 12일간 4℃와 20℃에 저장한 결과 4℃에 저장한 경우 저온 배양한 처리구의 생존률이 90.30와 90.67%로 대조구(85.81%) 보다 높은 생존률을 나타냈으며(p<0.01), 20℃ 저장시 28℃에서 24시간 저온 배양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생존률(82.67%)을 나타냈다(p<0.01). L. acidophilus CT 01의 냉동 내성은 저온 배양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생존률이 95.73와 97.34%로 높게 나타났다(p<0.01). L. acidophilus CT 01을 60℃에서 15분과 30분 동안 열처리하여 열저항성을 시험한 결과 22℃에서 저온 배양한 처리구의 생존률이 0.203와 0.108%로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1). L. acidophilus CT 01을 저온 배양하여 부형제에 30% 접종하고 50℃에서 12시간 건조하여 생존률을 조사한 결과 저온 배양한 처리구가 가장 높은 생존률을 나타냈다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Saccharomyces uvarum의 혼합배양에 의한 두유의 발효 중 당이용에 미치는 작용 (Interaction between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Saccharomyces uvarum on Utilization of Galacto-oligosaccharides in Soymilk)

  • 유주현;진효상;류인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33-538
    • /
    • 1989
  • S. uvarum KFCC 32021의 발효여액은 10% 농도에서 L. acidophilus KFCC 12731의 산생성 및 생육을 촉진하였으나 촉진작용은 10$0^{\circ}C$에서 10분간의 열처리에 의해 실활되었다. 또한 이 여액은 두유의 sucrose, raffinose 및 stachyose 등의 과당류를 분해하여 단당류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L. acidophilus KFCC 12731의 24시간 단독배양에서 두유의 단당류는 전량 소비되었으나 과당류는 거의 선량 잔존하였다. S. uvarum KFCC 32021의 단독배양에서는 단당류, sucrose 및 vaffinose는 완전 소비되었고, stachyose는 일부 잔존되고 manninotriose가 축적되었다. 혼합발효에서의 당소비유형은 S. uvarum의 단독배양에서와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혼합배양에서 S. uvarum KFCC 32021은 두유의 과당류를 L. acidophilus KFCC 12731이 이용할 수 있는 단당류로 분해시켜 줌으로써 발효액의 산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 PDF

Lactobacillus acidophilus Bacteriocin의 성상에 관한 연구 (Properties of a Lactobacillus acidophilus Bacteriocin)

  • 정영건;안장연;권오진;강주회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4-99
    • /
    • 1989
  • 1. L. acidophilus 균주에 작용하는 bacteriocin을 생산하는 Lactobacillus속 균 7주를 발견하였다. bacteriocin 생산균주는 1주가 L. gasseri였고, 그 외에는 모두 L. acidophilus였다. 2. 조사한 bacteriocin생산 6균주 중 5균주는 대수발육 중기 혹은 후기 내지 정상기의 초기에 최대의 bacteriocin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그 후 급격히 활성이 감소하였다. 3. 이들의 bacteriocin은 단백분해효소 처리로 용이하게 실활하는 단백질성임을 나타내었으나, 핵산분해 효소에는 저항성이었다. 또 이들의 bacteriocin은 지금 까지 보고되고 있는 Lactobacillus속의 bacteriocin과 다르며, 정도의 차는 있으나 전부 10$0^{\circ}C$ 가열에 감수성이 있었다. 4. L. acidophilus ATCC 9857 및 L. acidophilus ATCC 4357이 생산하는 bacteriocin은 diethylether 처리에 활성이 감소하므로 지질을 함유함을 시사하였다. 5. L. acidophilus A4가 생산하는 bacteriocin은 지시균의 세포벽 외층의 규칙적 배열구조에 흡착함을 시사하였다. 또 L. acidophilus ATCC 4355가 생산하는 bacteriocin은 지시균의 세포벽에는 흡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in vitro and in vivo Safety Evaluation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IDCC 3302

  • Bang, Won Yeong;Chae, Seung A;Ban, O-Hyun;Oh, Sangki;Park, Chanmi;Lee, Minjee;Shin, Minhye;Yang, Jungwoo;Jung, Young Hoo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9-44
    • /
    • 2021
  • As consumption of healthy foods continues to garner remarkable public attention, ensuring probiotic safety has become a priority. In this study, the safety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IDCC 3302 was assessed in vitro and in vivo. L. acidophilus IDCC 3302 showed negative results for hemolytic and β-glucuronidase activities. The whole-genome analysis (WGA) revealed that L. acidophilus IDCC 3302 did not possess antibiotic resistance or virulence genes.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L. acidophilus IDCC 3302 confirmed its safety concerning antibiotic resistance. Furthermore, L. acidophilus IDCC 3302 was demonstrated to be nontoxic in the oral toxicity test in rats.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ed that L. acidophilus IDCC 3302 might be safe for human consum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