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scorbic acid

검색결과 893건 처리시간 0.03초

오가피 부위별 50% 메탄올 추출액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50% M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 최재명;안준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73-377
    • /
    • 2012
  • 오가피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약재로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오가피 부위별 50% (v/v) 메탄올 추출액의 기능적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 생리활성 물질(eleutheroside B, eleutheroside E)의 함량, 추출부위별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활성, 아질산염소거능 및 항암활성을 알아보았다. 오가피의 생리활성 표준물질인 eleutheroside E는 줄기(556.00 ${\mu}g/g$)>뿌리(430.22 ${\mu}g/g$)>열매 (32.70 ${\mu}g/g$)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eleutheroside B는 열매 (538.99 ${\mu}g/g$)>줄기(423.60 ${\mu}g/g$)>뿌리(352.30 ${\mu}g/g$)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총 폴리페놀은 뿌리(2.97 mg/g) 부위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잎, 줄기에 각각 0.95, 0.77 mg/g 함유되어 있었다. 전자공여능은 줄기 추출물에서 90.21%로 대조구인 1% (w/v) L-ascorbic acid의 전자공여능(91.75%)과 유사하게 높은 활성을 보였고 뿌리 추출물에서도 85.71%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발암 전단계를 촉진하며 산성 환경에서 식품 중에 nitrosoamine을 생성하는 아질산염에 대한 오가피의 제거 효과는 추출부위와 관계없이 pH 1.2에서 81.5-93.0%로 높게 나타났다. pH가 높아짐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능은 대개 소실되었으나 잎 추출액의 경우 pH 6.0에서도 62.9%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유지하고 있었다. 각 부위별 추출액은 모두 정상세포인 DC2.4의 생육 저해 효과를 보이지 않아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뿌리 추출물에서는 위암세포주인 SNU-719에 대해 약 23%의 저해 효과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오가피 부위별 50% (v/v) 메탄올 추출액은 높은 항산화 활성과 아질산염 제거효과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식품소재로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감국, 국화 및 구절초 꽃 휘발성 성분의 항산화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Volatile Compounds in Flower of Chrysanthemum indicum, C. morifolium, and C. zawadskii)

  • 우관식;유정식;황인국;이연리;이철희;윤향식;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05-809
    • /
    • 2008
  • 감국, 국화 및 구절초 등 3종의 국화과 식물에 대해 향기성분을 분석하고 향기성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고자 3종의 국화과 식물에 대한 향기특성을 SDE법으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한 결과 camphene, 1,8-cineole, benzene, pinocarvone, bicyclo-2,2,1-heptan-2-ol, trans-caryophyllene, 3-cyclohexen-1-ol, ${\gamma}$-curcumene, zingiberene, ${\beta}$-bisabolene 등이 검출되어 주요 향기성분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감국, 국화 및 구절초의 향기추출물에 대한 전자공여능을 DPPH법으로 측정한 결과 1 g/mL의 농도에서 각각 30.57, 46.36 및 51.72%로 나타내어 구절초 추출물이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항산화력을 ABTS법으로 측정한 결과 각각 34.99, 35.31 및 38.48mg AEAC/g으로 나타내어 전자공여능과 마찬가지로 구절초가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구절초가 camphene, 1,8-cineole, camphor, germacrene D, myrtenol 등의 성분이 감국이나 국화보다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활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골막기원세포의 조골세포 분화과정에서 나타나는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증식 (PROLIFERATION OF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BY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PERIOSTEAL-DERIVED CELLS)

  • 김종렬;송정호;김욱규;박봉욱;하영술;김진현;김덕룡;조영철;성일용;변준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5권4호
    • /
    • pp.205-212
    • /
    • 200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ression of various angiogenic factors during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periostealderived cells and the effects of osteogenic inductive medium of periosteal-derived cells on the proliferation of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Materials and methods : Periosteal-derived cells were obtained from mandibular periosteums and introduced into the cell culture. After passage 3, the cell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cultured for 21 days. In one group, the cells were cultured in the DMEM supplemented with osteogenic inductive agent, including 50g/ml L-ascorbic acid 2-phosphate, 10 nM dexamethasone and 10 mM -glycerophosphate. In the other group, they were cultured in DMEM supplemented without osteogenic inductive agent. VEGF isoforms, VEGFR-1, VEGFR-2, and neuropilin-1 mRNA expression was observed.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endothelial progenitor cell proliferation was also observed. Results : The expression of VEGF isoforms was higher in osteogenic inductive medium than in non-osteogenic inductive medium. The expression of VEGFR-2 was also higher in osteogenic inductive medium than in non-osteogenic inductive medium. However, the expression of VEGFR-1 and neuropilin-1 was similar in both osteogenic inductive medium and non-osteogenic inductive medium. In addition, conditioned medium from differentiated periosteal-derived cells stimulated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endothelial progenitor cell numbers compared to conditioned medium from non-differentiated periosteal-derived cell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vitro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periosteal-derived cells has angiogenic capacity to support endothelial progenitor cell numbers.

방사선조사가 MC3T3-E1 골모세포주의 TGF-${\beta}_1$ mRNA 발현과 석회화결절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rradiation on TGF-${\beta}_1$ mRNA expression and calcific nodule formation in MC3T3-E1 osteoblastic cell line)

  • 송주섭;김경아;고광준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8권3호
    • /
    • pp.125-132
    • /
    • 2008
  • Purpose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rradiation on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_1$ (TGF-${\beta}_1$) mRNA expression and calcific nodule formation in MC3T3-E1 osteoblastic cell line. Materials and Methods : Cells were cultured in alpha-minimum essential medium ($\alpha$-MEM)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and antibiotics. When the cells reached the level of 70-80% confluence, culture media were changed with $\alpha$-MEM supplemented with 10% FBS, 5 mM $\beta$-glycerol phosphate, and $50\;{\mu}g/mL$ ascorbic acid. Thereafter the cells were irradiated with a single dose of 2, 4, 6, 8 Gy at a dose rate of 1.5 Gy/min. The expression pattern of TGF-${\beta}_1$ mRNA, calcium content and calcific nodule formation were examined on day 3, 7, 14, 21, 28, respectively, after the irradiation. Results : The amount of TGF-${\beta}_1$ mRNA expression decreased significantly on day 7 after irradiation of 4, 6, 8 Gy. It also decreased on day 14 after irradiation of 6, 8 Gy. and decreased on day 21 after irradiation of 8 Gy. The amount of calcium deposition decreased significantly on day 7 after irradiation of 4, 8 Gy (P < 0.01) and showed a decreased tendency on day 14, 21 after irradiation of 4, 6, 8 Gy. The number of calcific nodules was decreased on day 7 after irradiation of 4, 8 Gy. Conclusion: Irradiation with a single dose of 4, 6, 8 Gy influences negatively the bone formation at the molecular level by affecting the TGF-${\beta}_1$ mRNA expression that was associated with proliferation and the production of extracellular matrix in MC3T3-E1 osteoblastic cell line.

  • PDF

당액침지에 따른 반건시 가공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mi-dried persimmons soaked in different concentration of sugar solution)

  • 권기만;김재원;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14-321
    • /
    • 2015
  • 반건시의 활용성 증대를 위하여 당액침지형 반건시를 제조하였으며 당 조성에 따른 반건시의 이화학적 특성 및 갈변 저해 효과를 검토하였다. 명도와 채도는 S5(sugar 5%), S10(sugar 10%)에서 높았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당, 환원당 및 유리당 함량은 당의 농도가 증대될수록 증가하였으며, S5는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S10은 유사한 함량을 보였으며 S15 및 S20의 경우 과실에 함유하는 당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액침지형 반건시와 갈변효소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폴리페놀 산화효소와 과산화효소를 측정하였으며, 당액 농도가 증대됨에 따라 활성이 저해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S10 이후부터는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프로안토시아니딘 및 비타민 C 함량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면 S10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여 식품과 당액 사이에 삼투압 때문에 당액으로 용출되는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S10에서 65.3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당액침지 시 삼투작용으로 적정 농도의 확립이 요구되며 갈변억제 및 영양적인 가치 등의 품질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10% 설탕을 첨가한 당액 침지법이 반건시 가공품을 제조하는 데 있어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갈파래(Ulva lactuca) 용매별 분획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Ulva lactuca Extracts with Different Solvents)

  • 이화월;이성목;이동근;이재화;이상현;하배진;장정수;김원석;하종명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1-55
    • /
    • 2007
  • 갈파래(Ulva lactuca)의 용매별 분획의 항산화활성 측정을 위해 갈파래를 95% ethanol로 추출하고 diethyl ether, ethyl acetate, $H_2O$ 등의 용매로 분획하였다. 각 분획을 HPLC로 분석한 결과 각 분획에서 단일 peak가 검출되었으며 용출시간이 서로 달랐다. 각 분획의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능, 지질과산화억제활성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각 분획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농도의존성을 나타내었고 활성은 수층, ethyl acetate 층, diethyl ether층 분획의 순서였다.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diethyl ether 분획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같은 농도의 $\alpha-tocopherol$과 비슷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갈파래를 이용한 천연 항산화제 생산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새로운 섬유소분해 균주 Trichoderma sp. C-4에서 분리한 Endoglucanase (F-I-III)에 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Endoglucanase (F-I-III) Purified from Trichoderma sp. C-4)

  • 설옥주;정대균;한인섭;정춘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81-86
    • /
    • 2005
  • 국내에서 분리된 우수섬유소분해 균주인 Trichodema sp. C-4가 생성하는 endoglucanase 중하나를 $(NH_4)_2SO_4$ 침전, Sephacryl S-200 gel filtration, DEAE-Sepharose A-50 ion exchange, Mono-P chromatofocusing (EPLC)의 단계로 정제하고 이를 F-I-III라 명명하였다. 분리된 효소 F-I-III는 분자량 56,000Da, 둥전점 4.9로 측정된 단일 단백질이었다. F-I-III는 $55^{\circ}C$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pH 5.0이 반응 최적 조건이었다. $50^{\circ}C$에서 24시간 동안 안정하였으며, pH 4-7의 범위에서 안정하였다. CMC에 대한 비활성은 315.4U/mg 이었으며, PNPG2에 대한 Km 값은 2.69 mM이었다. 이 효소는 같은 균주에서 분리한 다른 endoglucanase와 exoglucanase를 섞었을 때 결정형 섬유소인 Avicel분해에 대한 상승효과를 보였다. $Mg^{2+},\;CO^{2+},\;Fe^{2+},\;Ca^{2+},\;CS^+,\;Li^+$ 등의 이온은 1 mM의 농도에서 효소의 활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1 mM의 환원제 (cystein, EDIA, \beta-mercaptoethanol, dithiothreitol(DTT), L-ascorbic acid)들은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E-I-III의 N-말단 서열을 분석하여 QPGTSTPEVHPKKLTTYK의 서열을 얻었다. 이는 Trichodema reesei의 endoglucanase인 EGI과 $95\%$의 유사도를나타내었다. 분리된 효소 F-I-III는 높은 비활성을 가지고 있어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Vitamin C Is an Essential Factor on the Anti-viral Immune Responses through the Production of Interferon-${\alpha}/{\beta}$ at the Initial Stage of Influenza A Virus (H3N2) Infection

  • Kim, Yejin;Kim, Hyemin;Bae, Seyeon;Choi, Jiwon;Lim, Sun Young;Lee, Naeun;Kong, Joo Myung;Hwang, Young-Il;Kang, Jae Seung;Lee, Wang Jae
    • IMMUNE NETWORK
    • /
    • 제13권2호
    • /
    • pp.70-74
    • /
    • 2013
  • L-ascorbic acid (vitamin C) is one of the well-known antiviral agents, especially to influenza virus. Since the in vivo antiviral effect is still controversial, we investigated whether vitamin C could regulate influenza virus infection in vivo by using Gulo (-/-) mice, which cannot synthesize vitamin C like humans. First, we found that vitamin C-insufficient Gulo (-/-) mice expired within 1 week after intranasal inoculation of influenza virus (H3N2/Hongkong). Viral titers in the lung of vitamin C-insufficient Gulo (-/-) mice were definitely increased but production of anti-viral cytokine, interferon (IFN)-${\alpha}/{\beta}$, was decreased. On the contrary, th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into the lung an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interleukin (IL)-${\alpha}/{\beta}$, were increased in the lung. Taken together, vitamin C shows in vivo antiviral immune responses at the early time of infection, especially against influenza virus, through increased production of IFN-${\alpha}/{\beta}$.

골수유래줄기세포에서 분화된 골유사세포에서 ${\beta}-TCP$와 rhBMP-2의 골형성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beta}-TCP$/rhBMP-2 ON BONE FORMATION IN OSTEOBLAST-LIKE CELLS INDUCED FROM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 최용수;황경균;이재선;박창주;심광섭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4권4호
    • /
    • pp.419-427
    • /
    • 2008
  •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osteogenic potentials of differentiated osteoblast-like cells (DOCs) induced from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MSCs) on ${\beta}-tricalcium$ phosphate (${\beta}-TCP$) with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 (rhBMP-2) in vitro. Osteoblast differentiation was induced in confluent cultures by adding 100 nM dexamethasone, 10 mM ${\beta}$-glycerophosphate, 50 mM L-ascorbic acid. The Alizarin red S staining and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ere perfomed to examine the mRNA expression of alkaline phosphatase (ALP), bone sialoprotein (BSP), osteocalcin (OCN), receptor activator for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RANKL),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RUNX2), collagen-Ⅰ (COL-Ⅰ).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steogenic potentials of DOCs induced from MSCs on ${\beta}-TCP(+/-)$. According to the incubation period,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ing of Alizadin red S staining in the induction 3 weeks. The mRNA expression of ALP, RUNX2, and RANKL were higher in DOCs/${\beta}-TCP(-)$ than DOCs/${\beta}-TCP(+)$. According to rhBMP-2 concentrations, the mRNA expression of BS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DOCs/${\beta}-TCP(+)$ compared to that of DOCs/${\beta}-TCP(-)$ on rhBMP 10 ng/ml. Our study presented the ${\beta}-TCP$ will have the possibility that calcium phosphate directly affect the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the bone marrowderived MSCs.

천문동 추출물의 호흡기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항산화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Respiratory Bacteria by Asparagus Cochinchinensis Extracts and its Antioxidant Capacity)

  • 정민기;김수인;정해진;이충렬;손홍주;황대연;이희섭;김동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67-37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민간에서 호흡기 질환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천문동 뿌리를 재료로 하고 추출물을 각각 달리하여 호흡기 세균에 대한 항균작용 및 항산화를 살펴보았다. 여러가지 추출용매 중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에서만 호흡기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최소저해농도(MIC)는 S. aureus와 E. coli는 100 mg/ml, S. epidermidis는 75 mg/ml, P. aeruginosa는 25 mg/ml로 각각 측정되어 P. aeruginosa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다. 항균 활성을 나타낸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L-ascorbic acid를 대조구로 하여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IC_{50}$은 각각 0.17, 3.83 mg/ml로 나타났다. 또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측정한 결과 각각 $14{\pm}0.7$, $0.50{\pm}0.13mg/g$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천문동 연구의 초석으로서 향후에 생리활성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연구가 더 진행된다면 건강기능식품소재로서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