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umho river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9초

수질오염총량제 시행 이후 낙동강수계 41개 지점의 BOD와 T-P의 목표수질과 초과율의 공간변화 분석 (A Study on the Spatial Variation of Target Water Quality and Excess Rate at 41 Stations in Nakdong River Basin after the Total Maximum Daily Loads)

  • 조현경;곽은태;김상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2권6호
    • /
    • pp.97-109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spatial variation of the target water quality criteria and excess rate in Nakdong river basin after the Total Maximum Daily Loads (TMDLs). For this, 41 total 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were selected BOD and T-P data were collected from 2003 to 2019. The annual average water quality of BOD and T-P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target water quality for each stations by peroi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OD, Kumho A, Nakbon F, Namgang D, Miryang B, Wicheon B and Hoecheon A exceeded the target water quality criteria for two consecutive times. For T-P, Nakbon N, Naeseung B, Miryang A, Hwanggang A and Hoecheon A exceeded the target water quality criteria twice in a row. In the case of T-P, the target water quality excess rate was relatively low after the TMDLs implementation compared to before the TMDLs implementation. However, in the case of BO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arget water quality excess rate before and after TMDLs. As a result, the overall annual average water quality shows a decreasing trend, but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water quality for the Nakdong river basin that exceed the target water quality.

GIS를 이용한 낙동강-금호강 합류부의 2차원 유한요소해석 (The 2D Finite Element Analysis in Nakdong-Kumho River Junction using GIS)

  • 황재홍;한건연;남기영;최승용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1-34
    • /
    • 2009
  • 홍수 시 흐름은 기본적으로 2차원 흐름으로서 이 때 하천 흐름의 수위와 유속 분포는 1차원 하천 모형으로 적절한 결과를 도출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낙동강의 합류점에 대한 2차원 유한요소망을 구축하고 RMA-2모형을 이용하여 모의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모형의 매개변수들이 해석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금호강 합류부에 대해 흐름해석을 실시하고 검증하였다. 또한 하천의 단면 변화에 따른 흐름변화를 판단하기 위하여 과거 단면과 최근 단면에 대해 모의를 실시하고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합류부에 대한 2차원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고 단변변화의 영향이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향후 합류부 처리, 하구부 처리, 제방축조 등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낙동강 주요 지류의 오염특성 분석을 위한 다변량 통계기법의 적용 (Application of Multivariate Statistical Techniques to Analyze the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Major Tributaries of the Nakdong River)

  • 박재범;갈병석;김성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5-22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주요 지류를 대상으로 상관분석, 주성분 및 요인분석, 군집분석과 같은 통계분석을 통해 수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기물질과 영양물질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봄철 및 가을철에 높게 나와 해당 계절에 대한 집중적인 수질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성분 및 요인분석 결과 전체 분산의 82%를 유기물질, 영양물질, 자연, 기상 등 4개의 주성분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BOD, COD, TOC, TP 항목이 주요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계절별 유기물, 영양물질의 오염도를 고려하여 4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으며 금호강 유역은 사계절 높은 오염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지류 하천의 효과적인 수질 관리를 위해서는 시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대책이 필요하며 다변량 통계기법은 수질 관리 및 정책 수립에서 유용하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오염된 하천 저니에 함유된 중금속 존재형태 (Speciation of Heavy Metals in Sediments of the Polluted River)

  • 권오억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5-31
    • /
    • 1996
  • The species of four heavy metals (Cr, Cu, Ni and Pb) associated with sediments (viz exchangeable, carbonates, reducible, organic and residual fractions) were 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particle sizes and depths at four locations of the lower Kumho river. In the exchangeable fraction, 3.7~19.52% of Ni and 2.8~14.81% of Pb were found, and in the carbonates fraction 2.12~19.43% of Ni and 1.39~15.42% of Pb were found. The reducible fraction retained about 8.66~44.93% of Cr, 0.41~9.79% of Cu, 17.38~35.74% of Ni and 9.5~44.89% of Pb. In the organic fraction about 0~21.06% of Cr, 2.95~35.74% of Cu, 0~14.66% of Ni and 0~10.65% of Pb were found. The residual fraction retained about 52.6~83.53% of Cr, 63.86~86.39% of Cu, 39.66~66.16% of Ni and 39.97~71.75% of Pb. The order of release or mobility of heavy metals was Ni > Pb > Cr > Cu. Mobile fraction of heavy metals by particle sizes (1.0~0.5 mm and 0.5~0.25 mm) was found to be higher in particle sizes 1.0~0.5 mm than that of 0.5~0.25 mm. The release or mobility of heavy metals by depths (0~5 cm, 5~10 cm and 10~15 cm)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upper sediments than in the lower sediments, except Cu.

  • PDF

하천생성 임계면적의 변화에 따른 유역의 지형관련 매개변수들의 특성분석 (A Study on The Change Characteristic of Basin Topographical Parameters According to the Threshold Area of Stream Creation)

  • 안승섭;이증석;김종호;임기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2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최소차하천의 임계값에 따른 지형매개변수의 변화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금호강 중류의 금호수위표지점 상류 유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에서는 유역내의 1:25,000 수치지형도를 $10{\times}10m$ 격자망으로 구성하여 이용하였다. 지형매개변수의 분석 범위로는 하천차수별 개수, 유로연장, 면적, 경사, 기복도, 만곡도, 배수밀도 및 전 유역에 대한 유로연장, 총 하천의 길이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로 볼 때, 최소차 하천의 임계값 설정이 유역의 지형 매개변수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최소하천 임계 면적은 $0.10km^2$을 기준으로 하여 매개변수간에 큰 변동을 보이고 있으나 그 이상에서는 변동폭이 매우 작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WASP 모의를 이용한 하천 수계 중금속 위해성평가 방법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 for Metals in Water Body using WASP)

  • 신유리;윤춘경;전나정;이한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29-636
    • /
    • 2010
  • According to the spatial movements of the Nak-dong river watershed, the changes in heavy metal concentrations were simulated by WASP7.3. The risk assessment was performed using the predicted data of WASP7.3. The target heavy metal was manganese (Mn). In the simulated manganese data of WASP7.3, the average concentration by regions was from 0.03 mg/L to 0.07 mg/L. It is lower than drinking water standard in korea. The risk assessment was presented that it was high at the junction of Nak-dong river and Kumho river. It was influenced by the discharge of industrial complexes and large cities which were located in the junction. In comparison of drinking water standard and predicted data of WASP7.3 risk assessment, whole watershed was also low level at predicted data. However, to keep the similar risk value ($10^{-7}$) in adults and children anywhere, it requires the additional treatment of the point source discharges. It was also reflected by reg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evaluate heavy metal influence in unattainable monitoring regions and to estimate heavy metal addition and reduction by locations. Therefore, the outcomes of WASP7.3 can connect with the risk assessment and it can evaluate the safety of human by regions.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하천유역의 지상학적 특성분석 (Analysis of Stream Physiographic Characteristics of River Basin by using GIS)

  • 안승섭;조명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23-3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하천 유역의 종합적인 물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지배요인인 하천의 형태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였다. 분석에 있어서는 금호강유역의 최상류에 위치한 영천댐 유역을 대상으로 1:25,000 지형도 5도엽을 기본도로 하여 Arc/Info(UNIX) GIS시스템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결과를 기존에 사용되던 방법인 수치구적기(Digital Planimeter)를 이용한 분석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영천댐 유역은 5차수 하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누가표고곡선을 분석 검토한 결과 지질학적 발달과정을 볼 때 장년기를 거쳐 노년기로 진행중인 지형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천의 차수개념에 의한 지형의 3대 법칙을 영천댐유역에 적용한 결과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고 발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GIS기법을 이용한 유역의 형태학적특성인자 분석결과를 기존의 방법을 이용한 분석결과와 비교한 결과 GIS기법의 적용을 위한 지형속성자료의 구축에 많은 시간이 요구되나 자료의 관리와 이용측면에서 적용 가능성이 충분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수리동역학적 모의를 위한 적정 격자해상도 산정방법 (Evaluation of Optimal Grid Resolution for Hydrodynamic Proper Simulation)

  • 안정민;박인혁;류시완;허영택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9-11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CCHE2D와 EFDC모형을 이용한 모의를 통하여 격자의 횡단해상도에 따른 물리적 지형의 재현성과 모의결과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낙동강 금호강 유입구간을 대상으로 2006년 강우사상에 대한 부정류모의를 통하여 면적고도곡선과 대상구간내 수위관측소 지점에서의 실측치와 모의치간의 비교를 통하여 구성격자망의 적정성 및 모의결과에 대한 영향을 각각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격자 해상도의 증가는 계산시간의 증가를 야기하므로 수행 내용과 목적, 계산의 효율성 측면에서 적절한 격자해상도의 선택이 필요하다. 정밀한 모의를 위해서는 고해상도 격자를 이용한 모의를 수행해야 하나, 빠른 의사결정이 요구되는 홍수기와 같이 모형수행의 효율성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에 적용 가능한 물리적 지형의 재현성과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적정 격자 해상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낙동강 본류에 서식하는 붕어에서의 납, 카드뮴과 아연의 함량 (Contents of Lead, Cadmium and Zinc in Bone, Muscle and Fin of Carassius carassius from Middle Stream of Nakdong River, Korea)

  • 김두희;김용구;장봉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1권2호
    • /
    • pp.307-319
    • /
    • 1988
  • 낙동강 중류의 수질과 그 수계에 서식하는 어류와 납, 카드뮴 및 아연과의 관계를 붕어를 대상으로 관찰하였다. 본 실험을 위한 표본은 비교적 갈수기라고 인정되는 3월 초순에 안동댐, 낙동교, 왜관, 강정, 개포 인근 그리고 낙동강의 주 오염원이 되는 금호강에서는 팔달교 부근에서 채취하였으며 수중 중금속 및 조직 중 납, 카드뮴과 아연은 원자흡광분광광도계(IL-551)로 분석하였다. 낙동강의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올수록 납, 카드뮴, 아연 함량은 증가하였고, 팔달교 부근은 강정 상류보다 $3{\sim}5$배 더 높았으며 이는 낙동강과의 하류지점에서 약 40km 하류에 위치한 개포의 수질보다 약 1.5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붕어의 뼈, 근육, 지느러미 중의 납, 카드뮴 함량도 상류에서 포획한 것보다 하류에서 포획한 것이 많았다. 강정을 포함한 상류보다 오염수역이라고 할 수 있는 개포 및 팔달교 근처의 붕어에서 유의성 있게 높았다. 붕어의 뼈조직 중 납, 카드뮴, 아연의 함량은 조사 전역에 걸친 그들 수환경보다 각각 $771{\sim}2,856$배, $188{\sim}564$배, $663{\sim}1,327$배이었으며 근육에서는 각각 $170{\sim}516$배, $62{\sim}169$배, $247{\sim}389$배이고 지느러미에서는 각각 $484{\sim}1,770$배, $122{\sim}360$배, $509{\sim}983$배 이었다. 이들 붕어의 성장 햇수별 납, 카드뮴 및 아연 함량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했으며 각 수역에서의 동일 연령군까지 비교했을때는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갈수록 그 함량이 많았다. 팔달교에서의 $0{\sim}1$세군에서의 뼈 중 납의 함량은 개포의 $4{\sim}5$세군과 근사하며 강정 상류의 $3{\sim}4$세군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요약하면 낙동강은 금호강의 탁류의 영향을 크게 받아 오염 수역에서 포획한 어군은 비오염수역의 어군보다 중금속 함량이 유의하게 높으며 성장 햇수가 많아짐에 따라 중금속 함량은 높다는 것을 알 수있다.

  • PDF

금호강 하류 소리쟁이군락의 무기물 및 중금속 축적의 변이 (Variation of Heavy Metal Accumulation and Inorganic Matter of Rumex crispus Community from Kumho Riverside)

  • 박태규;박용목;송승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3호
    • /
    • pp.139-144
    • /
    • 1999
  • 오염된 환경에서 널리 군락을 이루는 소리쟁이의 생태적인 생존전략을 밝히기 위해 금호강 하류 지역인 침산교, 팔달교, 달서천 및 금호교 지역에서 생육하고 있는 소리쟁이의 무기물자 중금속의 축적양상을 분석하였다. 소리쟁이는 지하부에 비해 지상부의 빠른 생장으로 인해 T/R 비가 생육초기에 1.3∼3.7에서 후기에는 2,4∼4.6까지 차이를 보였고, 다른 식물에 비해 신속하게 군락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오염이 심한 달서천에서 가장 높은 T/R비를 보였다. 식물체에 축적된 총질소와 인은 지하부에 비해 지상부에서 높게 유지되어 T/R비가 생육초기에는 각각 3.1∼6.1과 1.5∼4.5를 나타내었으나, 후기에는 각각 6.7∼17.3과 3.9∼8.3을 보였다. 흡수한 중금속류는 지하부에 비해 지상부에서 Cu와 Zn은 최고 3.6배와 1.7배, Fe와 Pb는 각각 1.5와 4.8배 높은 값이었고, 식물체당 축적량도 지상부에서 61∼85% 높은 분배율을 나타내었다. 식물체에 축적된 중금속은 Cu, Zn, Fe, Pb가 각각 89.7, 376.6, 2946.1 및 13.2 ㎍/g dw로 최고치를 보였고, Fe>Zn>Cu>Pb 순으로 지상부에서 높은 값으로 축적되었다. 소리쟁이는 엽육 비후와 함께 80%이상의 높은 함수량을 보였고, 지하부에 비해 지상부에서 빠른 생장을 보였다. 생육 초기부터 지상부에 보다 많은 질소와 인을 함유하며, 흡수한 Ca는 지하부에 축적해 두고 중금속은 지상부로 전이시킴으로써 오염된 중금속환경에서도 널리 군락을 이루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