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traditional sauces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5초

연변 조선족 주부와 여대생의 식생활 실태 조사 (A Study on Nutrient Intake and Dietary Behavior of House Wife and Female College Student in Yanbian)

  • 김미경;박혜진;이종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3-42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dietary intake obtained by easy method and to compare dietary behavior of house wif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Yanbian. The subjects consisted of 276 house wives and 228 female college students. Mean daily energy intake of house wives was 1926.0kcal and that of female college students was 1949.0kcal. Calcium intake as NAR(Nutrient adequacy ratio) was lowest in house wife and female college student. Iron intake was also low in subjects and lower in female college student than in house wife. Meal frequency per day was regular in subjects. Skipping meal time in subjects was breakfast and snaking time was late evening generally. Frequency of eating out was rare in most subjects and 60.6% of subjects preferred chinese food in eating out, while house wives preferred Korean food than female college student in eating out. The vegetables were preferred than meat or fish and used by fried in sauces. Hot and sour tastes were more like than greasy taste in subjects. Nutrient intake levels and dietary behaviors of house wife were to be like as those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general. BMI(Body mass index) was lower in female collage students than house wives, similarly in Korean. According to these results, house wives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Yanbian had similar dietary patterns. Calcium intake was tend to be low and dietary pattern was regular, dietary qualifies of subjects were adequate. Nutrient intake and dietary pattern in Yanbian were to be like as in Korean, and the Korean-Chinese in Yanbian maintained traditional dietary pattern.

  • PDF

전국 주요 사찰의 후원(부엌) 현황 및 제공 식단의 분석 - 식단 유형을 중심으로 - (Evaluation of Served Menu and Management of Foodservice in Korean Buddhist Temples)

  • 김진아;이심열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15-225
    • /
    • 2006
  • This study was peformed to evaluate the served menu and investigate the management of food service in Korean Buddhist temples. Among the available temples in the nation, 34 temples were carefully selected considering practice type, location and the gender characteristics. A survey about meal preparation and management was conducted to the cooking staff in each the temple using questionnaire by interview between Jan 2004 and Aug 2004. The menus over A five consecutive days menu was were also collected for analysis to analyse. Civilian cooking staffs were preparing meals in 23(67.6%) of the temples and the proportion 18(52.9%) of the temples were planning their own the menus was 52.9%. Most kitchens in the temples were equipped with modernized kitchen appliances. The major food supply was the conventional market Even though the majority of the temples were using processed food, Korean fermented sauces as the most traditional temple food products were prepared by themselves. There were 114 menu patterns and the most frequently served meal pattern was ${\ulcorner}Rice+Soup+Kimchi+3{\sim}4\;side\;dishes{\lrcorner}$. Analyzing from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point of view, the most frequently served dish type was 'Korean'(90%), while other types were 'modified Korean'(3.7%) and 'Western'(2.7%). The varieties of Various 438 different dishes provided were 438 provided and with Kimchies (19.8%), Seasoned vegetables(16.8%) and Rice(11.0%) being the highest were high in frequency when dishes were categorized into dish classes. Among the main dishes, the frequency of gruel(13.7%) was relatively high.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conduct Based upon the results found, it was required to continue further research about preserving and inheriting the originality and uniqueness of the temple food.

  • PDF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Korean-Style Soy Sauce

  • Kim, Hoon;Park, Jungeun;Jung, Jaemee;Hwang, Dahy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1-56
    • /
    • 2020
  • Soy sauc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s of traditional fermented foods in Korea. However, studies on soy sauce are relatively insufficient in Korea compared to Japan. In this study,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were measured by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two different soy sauces, Korean and Japanese (KSS-0 and JSS-0). KSS-0 was purified into two fractions using gel chromatography and named them as KSS-I and KSS-II.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polysaccharides, we measured the polyphenol conte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olysaccharides, we used RAW 264.7 macrophage cells and induced inflammation using lipopolysaccharide (LPS). Then, we measured levels of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itric oxide (NO)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mong the four polysaccharides, KSS-II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nd had good anti-inflammatory activity; KSS-II decreased inflammatory mediators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conclusion, the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Korean soy sauce (KSS-II) showed bette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an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Japanese soy sauce, and may be useful as substances for functional foods.

한국 유가공업의 발전과 전망 - 발효유 (Development of Korean Dairy Industry - Fermented milk products -)

  • 허철성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2호
    • /
    • pp.149-153
    • /
    • 2005
  • Lactic acid bacteria had been widely utilized in fermented foods such as fermented dairy products, traditional sauces, kimchi, fermented sausages, medicines or probiotic feed additives for a long time. LAB are also widely distributed in the mammalian gastrointestinal tracts, oral cavity, vagina, and various foods or soils. The most familiar examples of using LAB would be the fermented milk products, and those had become one of the favorite foods in Korea f3r more than 34 years of history. The main benefits of the fermented milk products were originally the improvement of the balance of intestinal flora to control diarrhea and congestion disorders, and gradually, they were chosen by the consumer preference of the taste. The very beginning of the fermented milk products in Korea was the Yakult type products in 1971, and it was the commencement of the solid foundation of the dairy industry and the understanding beneficial effect of probiotic yogurt. After middle of 80's, stirred type fermented milk products had been firstly produced, and it was the time that the domestic dairy industry took root in Korea. From 90's, functional fermented milk products were produced, and drink type yogurt sales a mount increased drastically, and these products began to be chosen not only with the values of nutrition but also with physiological functions. The health claims are classified into intestinal health, gastric health and hepatic health. The prospects for the Korean market are as follows; The majority of leading products would be the premium functional yogurt products as it was last year. It is because the sales of lower cost products shows slow-down, and industries tend to increase the commercial advertisements of premium functional yogurt products through mass media. These tendencies would make the market situation become more competitive.

  • PDF

연속 옴가열 장치를 이용한 고추장 소스의 살균 (Sterilization of Gochujang Sauce with Continuous Ohmic Hea)

  • 최준봉;조원일;정정윤;정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74-479
    • /
    • 2015
  • 연속식 옴가열 장치를 이용한 고추장을 베이스로 한 모델 식품에 대한 가열 살균 연구를 진행하여, 옴가열을 이용한 소스 살균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옴가열 시 점도에 상관없이 $100^{\circ}C$까지 고르게 상승하였으나, 점도가 높을수록 전기전도도와 가열속도가 낮아져 살균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저점도 식품이 옴가열을 이용한 가열 및 살균에 있어 더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13,14). 재래가열 후의 살균도는 65.4-75.4%, 옴가열 시는 89.5-95.0%로 살균력이 더 우수하였다. 향후 연속식 옴가열 장치의 살균효과를 더 높이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셀 연결 방식을 통해 한 개의 셀에서 온도를 조금씩 상승시켜 스케일 생성을 방지하는 연구와 셀 통과시 빠른 온도 상승에 의한 점도 변화로 살균 처리량이 변하기 때문에 최적 셀 조합 및 가열살균 조건에 대한 충분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illus subtilis K-20에 의한 청국장의 향미성분 및 기능성식품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Flavor and Functionality of Bacillus subtilis K-20 Chunggukjang)

  • 김영숙;정혁준;박영숙;유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75-478
    • /
    • 2003
  • 청국장의 이취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Bacillus subtilis K-20에 의하여 제조된 청국장을 분리 배양하여 마늘, 양파 등의 재료를 균질화시킨 후 재료성분이 다른 조건으로 발효 및 후숙하였다. 본 실험의 청국장과 시중 M제품의 향미를 관능 평가한 결과 K-20d, K-20e, K-20f로부터 청국장 특유의 냄새가 저해되었다. 특히 볶은 마늘과 양파를 첨가한 시료에서는 피자향의 우수한 향미 성분을 얻었다. 기능성 청국장은 위생적인 균주 개발이 중요한데, 본 실험의 청국장이 시중 M-청국장보다 contamination이 낮게 나타났다. 청국장의 이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재료를 볶지않은 구룹, 볶은 구룹을 비교한 결과 총균수에는 별다른 형태와 차이가 없었다. 분리정제한 Bacillus subtilis K-20의 청국장과 시중 M-청국장을 비교할 때 10배이상 높은 균주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의한 청국장은 기능성을 보유하면서 냄새를 억제시켜 또한 향미를 부여하였으므로 기능성 식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금후의 연구는 Bacillus subtilis K-20이 혈전용해효소인 fibrin과 apoptosis의 생화학적인 특징인 DNA fragmentation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좋은 결과를 얻어낼 때 향미성이 높은 Bacillus subtilis K-20의 청국장으로부터 기능성 식품 및 의약용 개발의 기초자료를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메주의 형상에 따른 재래식 간장의 유리아미노산 (Free amino acids in traditional Soy sauce prepared from Meju under different Formations)

  • 서정숙;이택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23-328
    • /
    • 1992
  • 여름철에 제조한 재래식의 벽돌형 메주(A)구, 국균접종의 벽돌형 메주(B구)와 콩알형 메주(C구)로 하절기에 간장을 담금하고 숙성과정중의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숙성기간과 시험구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담금직후에 lysine, histidine, serine, glycine, valine, methionine, phenylalanine이, 90일에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 threonine, arginine, leucine 등이, 180일에는 isoleucine, tyrosine이 각각 검출되었다. Lysine과 histidine은 숙성과정 중 또는 시험구에서 증가 현상이 컸고, 검출된 유리아미노산 중 가장 함량이 높았다. Glutamic acid, aspartic acid, methionine 등은 숙성기간 중 감소하였다.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숙성기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되어 180일에 3,559-4,119mg/100ml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국균접종의 콩알형 메주로 담금한 C구가 유리아미노산 총량이 가장 높았고 벽돌형 메주의 A구와 B구는 비슷하였다. 총질소나 아미노태질소는 벽돌형 메주로 담금한 간장이 높았다.

  • PDF

저온 숙성이 양념돈육의 저장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ing at Low Temperature on Storage Stability of Seasoned Pork)

  • 하경희;안종남;주선태;박구부;박기훈;김일석;진상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5-91
    • /
    • 2006
  • 한국 전통 장류를 이용한 양념 돈육의 저장 안정성에 관한 연구로 돼지고기의 등심을 채취하여 $5{\times}15{\times}5\;cm$ 크기로 자른 후 육을 동일한 비율의 양념액에 침지하여 $1{\pm}1^{\circ}C$에서 28일간 숙성하면서 양념육(간장소스 양념육, T1; 고추장소스 양념육, T2; 된장소스 양념육, T3)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양념육의 표면 육색은 소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간장 소스로 양념한 돈육의 명도는 낮게, 고추장소스로 양념한 돈육의 적색도는 높게, 된장 소스로 양념한 돈육의 명도는 높게 나타났다. 심부 육색의 명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숙성기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간장 소스로 양념한 돈육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TBARS는 간장 소스로 양념한 돈육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전 숙성기간 동안 증가하였다. 총균수는 모든 처리구에서 숙성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간장 소스로 양념한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전 숙성기간 동안 낮은 총균수를 나타내었다. 대장균 수는 숙성 초기 $2.7{\sim}3.27\;log_{10}CFU/g$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숙성기간의 증가에 따라 처리구들에서 감소하였으며, 고추장 소스로 양념한 처리구는 숙성 14일에 된장소스로 양념한 처리구는 숙성 28일에 대장균이 나타나지 않았다. 유산균 수는 간장 소스로 양념한 처리구에서 숙성기간 동안 유산균수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고추장 소스로 양념한 처리구와 된장 소스로 양념한 처리구에서는 숙성기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시판 까나리액젓의 품질조사 (Quality Investigation of Commercial Northern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Sauces)

  • 조영제;임영선;이근우;김건배;최영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12-617
    • /
    • 1999
  • 본 연구는 까나리액젓의 객관적인 품질지표의 설정 및 품질의 등급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일광하에서 18개월 동안 발효$\cdot$숙성시킨 까나리액젓과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시판 제품 15종을 구입하여 각종 성분들을 분석하고, 그 차이를 비교$\cdot$검토하였다. 까나리액젓의 수분함량은 대조구의 경우 $65.3\%$였으며, 시판제품의 경우 $66.5\~71.0\%$ 범위였고, 회분량은 대조구가 $22.4\%$, 시판제품이 $19.3\~24.6\%$ 범위였다. 조단백 질함량은 대조구의 $11.41\%$에 비해 시판제품이 $4.7\~12.0\%$ 범위로 낮아 액젓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함질소화합물의 농도가 낮음을 나타내었고, 제조원간에도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시판제품의 pH는 5.56$\~$6.47 범위로 대조구의 5.01보다 높았으며, 염분함량은 시판제품에서 $24.0\~32.9\%$ 범위로 넓게 나타났고, 대조구 (C)는 $29.6\%$였다. 총질소 및 아미노산성질소함량은 시판제품의 경우 대조구 (각각 1.825g/100ml, 1257.97mg/100ml)보다 낮은 0.781$\~$1.918g/100ml 및 445.9-1037.9mg/100ml 범위로서 제조원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였고, 그 중에서 M, O사 제품은 현행 멸치액젓의 품질기준에 미달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질소함량이 높은 제품이 대체로 아미노산성질소함량도 높았다. 시판제품의 VBN함량은 대조구와 비슷하였으며, TMAO 및 TMA함량은 대조구보다 약간 높은 편이었다. 대조구와 시판제품 모두 ATP, ABP, AMP는 거의 검출되지 알았으며, IMP는 극미량, HxR은 약간 검출되었고, 약 $90\%$ 정도가 Hx과 요산이었다. ATP 관련물질 총량 (IMP+HxR+Hx+요산)도 대조구가 9.022$\mu$mo1/ml로 A사를 제외한 나머지 시판제품의 4.766-8.989$\mu$mo1/ml보다 더 많았다. 색도는 시판제품이 대조구보다 $A_{453}$이 낮았다.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시판제품이 3,258.9$\~$6,562.6mg/100ml 범위로서 제조원에 따라 2배 정도의 함량 차이를 보였으며, 대조구는 총량이 7,911.3mg/100낀로 시판제품 (AtoP)의 1.2~2.4배였다.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은 시판제품이 glutamic acid (평균 $15.7\%$ ), Iysine, alanine, leucine, valine, aspa-rtic acid, isoleucine 등의 순이었고, 대조구는 glutamic acid ($15.2\%$ ), alanine, Iysine, leucine, isoleucine, valine, aspatic acid등의 순으로 나타나 주요 아미노산 종류는 같았다 그리고 이들 아미노산의 함량은 총량의 약 $66\%$ 정도를 차지하였다.

  • PDF

멸치액젓 및 까나리액젓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Fermented Anchovy Sauce and Sandlance Sauce)

  • 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2-255
    • /
    • 1999
  • 우리나라 전통수산식품의 성분 특성에 관한 일련의 연구로서 재래식 및 공장산 멸치액젓과 까나리액젓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cdot$비교하였다. 재래식 멸치액젓 및 까나리액의 조단백질함량은 멸치액젓이 까나리액젓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pH은 재래식의 경우 멸치액젓이 6.78, 까나리액젓이 5.46이었고, 시판품은 양자 모두 이보다 낮은 5.06$\~$5.68이었다. 재래식 멸치액젓과 까나리액젓의 아미노질소함량은 각각 $888.9mg\%$ (w/v) 및 $813.5mg\%$ (w/v)이었고 산도는 각각 $17.6ml\%$ (v/v) 및 $27.7ml\%$ (v/v)였고 시판품은 양자 모두 이보다 약간씩 많았다. 액젓의 색조 비교에서, L값과 b값은 멸치액젓이 약간 높은 반면, a값과 ${\Delta}E$값은 까나리액젓이 높았다. 재래식 멸치액젓과 까나리액젓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각각 $12.40g\%$ (w/v) 및 $9.549g\%$ (w/v)로서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멸치 액젓의 경우 alanine, glutamic acid, leucine, isoleucine, valine 및 Iysine 등이었으며, 까나리액젓에는 arginine, glutamic acid, leucine, alanine 및 valine의 함량이 많았다. IMP 함량은 재래식 멸치액젓 $12.1 mg\%$ (w/v), 까나리액젓 $67.8mg\%$ (w/v)로 서로 비슷하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HxR의 함량은 각각 $103.7mg\%$ (w/v) 와 $172.4mg\%$ (w/v)로 까나리액젓 쪽의 함량이 월등히 많았다. 양시료 액젓의 TMAO, TMA의 함량은 각각 $108.8mg\%$ (w/v), $60.5 mg\%$ (w/v) 및 $60.1 mg\%$ (w/v), $24.1 mg\%$ (w/v)로서 멸치액젓 쪽의 함량이 많았으며, 크레아틴의 함량은 $62.4\~67.6mg\%$ (w/v)로 양자가 서로 비슷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