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mathematicians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초

수학교육과 수학적 창의성 (Mathematical Creativity in Mathematics Education)

  • 황우형;최계현;김경미;이명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61-574
    • /
    • 2006
  • Mathematical creativity has been confused with general creativity o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in many studies. Also, it is considered as a special talent that only a few mathematicians and gifted students could possess. However, this paper revisited the mathematical creativity from a mathematics educator's point of view and attempted to redefine its definition. This paper proposes a model of creativity in school mathematics. It also proposes that the basis for mathematical creativity is in the understanding of basic mathematical concept and structure.

  • PDF

불변성 개념에 관련된 중등학교 수학내용의 분석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analysis of Invariance Concept in Secondaty Mathematics Contents)

  • 이상근;김태호;정기영;이춘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603-619
    • /
    • 2006
  • One of the most important aims in mathematics education is to enhanc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ies. To achieve this aim, in real school classrooms, many educators have examined and developed effective teaching methods, learning strategies, and practical problem-solving techniques. Among those trials, it is noticeable that Engel, Zeits, Shapiro and other not a few mathematicians emphasized 'Invariance Principle' as a mean of solving problems.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basic concept of 'Invariance Principle', analyze 'Invariance' concept in secondary Mathematics contents on the basis of framework of 'Invariance Principle' shown by Shapiro and discuss some instructional issues to occur in the process of it.

  • PDF

초등학교에서의 증명지도 (The Teaching of 'proof' in Elementary Mathematics)

  • 조완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4권1호
    • /
    • pp.63-7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ddress He possibility of the teaching of 'proof' in elementary mathematics, on the assumption that proof in school mathematics should be used in the broader, psychological sense of justification rather than in the narrow sense of deductive, formal proof. 'Proof' has not been taught in elementary mathematics, traditionally. Most students have had little exposure to the ideas of proof before the geometry. However, 'Proof' cannot simply be taught in a single unit. Rather, proof must be a consistent part of students' mathematical experience in all grades. Or educators and mathematicians need to rethink the nature of mathematical proof and give appropriate consideration to the different types of proof related to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a notion of proof.

  • PDF

베어왈트에 의한 헝가리 데브레첸 핀슬러 기하학파의 형성의 역사 (On the histo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Hungarian Debrecen School of Finsler geometry after L. Berwald)

  • 원대연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7-51
    • /
    • 2018
  • In this paper, our main concern i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Finsler geometry in Debrecen, Hungary initiated by L. Berwald. First we look into the research trend in Berwald's days affected by the $G{\ddot{o}}ttingen$ mathematicians from C. Gauss and downward. Then we study how he was motivated to concentrate on the then completely new research area, Finsler geometry. Finally we examine the course of establishing Hungarian Debrecen school of Finsler geometry via the scholars including O. Varga, A. $Rapcs{\acute{a}}k$, L. $Tam{\acute{a}}ssy$ all deeply affected by Berwald after his settlement in Debrecen, Hungary.

화뤄겅과 수학 대중화 (Hua Loo-Keng and Mathmatical Popularization)

  • 이상욱;고영미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7-59
    • /
    • 2019
  • Hua Loo-Keng(华罗庚, 1910-1985) is one of well-known prominent Chinese mathematicians. While Waring problem is one of his research interests, he made lots of contributions on various mathematical fields including skew fields, geometry of matrices, harmonic analysis,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and even numerical analysis and applied mathematics, as well as number theory. He also had devoted his last 20 years to the popularization of mathematics in China. We look at his personal and mathematical life, and consider the meaning of his activity of popularizing mathematics from the cultural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recent rapid developments of China in sciences including mathematic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루마니아 핀슬러 기하학파 형성의 역사 (On the History of Formation of Romanian School of Finsler Geometry)

  • 원대연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5
    • /
    • 2019
  • We divide the timeline of the history of Finsler geometry, which dates back to Riemann's inaugural lecture in 1854, into three periods (hibernation, hiatus, rebirth) and we study formation of Romanian Finsler school around Iasi, Romania during the hiatus period. We look for the history centered around Radu Miron who is a third generation geometer of Iasi University and the mathematical heritage there through five generations. We also investigate mathematical impact of T. Levi-Civita, D. Hilbert, ${\acute{E}}$ Cartan who are considered as top mathematicians at their time.

Mathematics Inquiring Based on Pattern Similarity

  • Yanhui Xu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147-166
    • /
    • 2023
  • Mathematics is a science of pattern. Mathematics is a subject of inquiring which aims at discovering the models hidden behind the world. Pattern is abstraction and generalization of the model. Mathematical pattern is a higher level of mathematical model. Mathematics patterns are often hidden in pattern similarity. Creation of mathematics lies largely in discovering the pattern similarity among the various components of mathematics. Inquiring is the core and soul of mathematics teaching. It is very important for students to study mathematics like mathematicians' exploring and discovering mathematics based on pattern similarity. The author describes an example about how to guide students to carry out mathematics inquiring based on pattern similarity in classroom.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II>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사 활용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Patterns of Using History in Textbook Developed under the 2015-Revised Curriculum)

  • 김은숙;조완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471-48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II> 교과서의 수학사 활용 실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Jankvist(2009)의 수학사 활용에 대한 이유와 방법에 따른 수학사 활용 유형을 토대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9종의 <수학II>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사 활용 유형의 분포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사 과제가 대부분 정의적 도구로 사용되었고, 인지적 도구나 목표에 해당하는 과제는 소수에 불과했다. 둘째, 정의적 도구로 분류된 수학사 과제 대부분이 수학사나 수학자의 일화를 소개하는 것이고 수학자가 겪었던 어려움 등을 통해 수학의 인간적 측면을 보여주는 수학자 과제는 1개이다. 셋째, 정의적 도구와 목표로 분류된 수학사 과제는 모두 설명 자료이고, 인지적 도구로 분류된 수학사 과제 10개 중 2개는 설명 자료, 8개는 모듈 자료이다. 수학교육에서 수학사 활용의 중요성과 가치를 고려할 때, 인지적 도구-모듈 자료, 목표-모듈 자료 형식의 수학사 과제를 개발하고 이를 교과서나 수학 수업에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시각장애청소년을 위한 3D 프린팅 촉각수학교재 모델 개발 연구 - 함수 지도와 관련하여 - (A Study on 3D Printed Tactile mathematics textbook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 이상구;박경은;함윤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515-530
    • /
    • 2016
  • 시각장애를 극복하고 주어진 환경에서 찾을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하여 학문적인 중요한 기여를 해온 수학자들의 사례에 대한 연구 결과가 최근에 소개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에서 소아마비나 뇌성마비 등의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고 수학자로 성장한 예는 확인할 수 있었으나 시각장애인이 수학을 전공하여 수학 교사나 교수 또는 수학과 관련된 전문직에 진출한 경우가 전무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선진국과 달리 한국에서 시각장애인 학생들이 수학을 전공하여 전문직에 진출할 수 없었던 이유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시각장애청소년들이 좀 더 직관적으로 수학에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 학생들이 수학을 만지고 느끼면서 수학에 대한 관심과 실제 학습 내용의 직관적 이해를 돕는 하나의 도구로 3D 프린팅을 활용한 촉각수학교재와 교사용지도서 개발(제작 보급)을 위한 모델을 제안 한다. 이는 시각장애청소년 특수교사 부모의 교재활용을 수학교육 측면에서 지원함으로써 시각장애청소년의 수학에 대한 학습력을 신장시키고,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며, 수학을 이미지화하여 상상하는 수학교육 환경을 도모 할 것으로 본다. 특히 수학적 재능을 갖는 시각장애청소년들이 앞으로 수학을 전공하여 수학 관련 전문직으로 진출하는 모델을 만드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여성수학자 에미 뇌터의 수학적 삶의 역사 (Mathematical Life of Emmy Noether)

  • 노선숙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9-48
    • /
    • 2008
  • 본고에서는 현대 추상대수학의 기반을 닦은 독일 여성수학자 에미 뇌터의 수학적 삶의 역사를 살펴보고 수학자, 수학교사 등 수학전문가를 양성하는 대학 수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최근 Hyde et al.([14])은 수학 표준화 시험에서 미국의 2-11학년 학생들이 젠더 간 격차를 거의 보이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이나 연구소 등 수학 관련 분야에서 전문가로 종사하는 여성수학자나 여성과학자의 비율이 남성에 비해 크게 뒤지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Guise et al.([13])도 국제 수학성취도 비교를 위한 2003-PISA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젠더 평등지수가 떨어지는 국가일수록 젠더 간 수학성취도 차이가 크다는 관계를 규명하였다. 에미 괴터는 여학생이 대학교육을 받는 것조차 어려웠던 시대에 젠더와 인종 등 사회적 편견과 차별, 그로 인한 경제적인 역경을 극복하면서 현대 추상대수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창조해 낸 20세기 가장 위대한 수학자라 불리는 독일의 여성수학자이다. 에미 뇌터는 수학자로 살면서 경험한 모든 편견과 차별은 비본질적인 것이며 수학만이 자신의 삶 속에서 추구해야 할 본질적인 것이라 판단하였고, 이를 실제 삶 속에서 실천하였고 궁극적으로는 기존 수학의 차원을 통합하거나 넘어서는 새로운 수학을 창조해냈다. 전 생애 동안 편견과 차별을 경험하면서 단 하나의 본질 즉, '수학' 탐구에만 몰입한 에미 뇌터의 삶은 오늘날 수학, 과학 분야의 연구자와 이 분야의 전공과 직업을 택하려는 대학생들 모두에게 실천적 리더십 사례로 평가된다. 특히 이공계 분야 여학생들에게는 혹독한 편견과 차별에 대해 에미 뇌터가 실천적으로 보여준 초연함, 끈기와 인내심, 그리고 수학(학문)에 대한 순수한 열정을 통해 최고 수준의 수학, 과학 탐구와 창조에서 젠더격차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