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mathematicians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33초

수학과 건축

  • 김성숙;김주영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9-108
    • /
    • 2002
  • Historically, architecture was part of mathematics and architects were mathematicians. In this paper, we attempted to analyze the architecture from the mathematical point of view and conclude that pursuit of beauty and balance lead to the mathematically rigorous shape. For example, the golden ratio in the Great Pyramid and Parthenon prevail in the modem arts and architecture. We also conclude that mathematics is not invention but discovery at least in the area of architecture.

  • PDF

수학적 대상으로서 ‘애매모호’ 에 대한 고찰

  • 박창균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3-100
    • /
    • 2001
  • The problem of vagueness has been investigated for a long time by philosophers and mathematicians. There are there approaches in mathematics to the problem, which are probability theory, fuzzy logic, and rough set theory. In this paper I introduce these theories and their meanings.

  • PDF

한국 수학사와 '경북학파'의 탄생: 경북대학교 수학 연구 전통의 형성과 발전 (History of Mathematics in Korea and the Birth of 'Kyungpook School': The formation of mathematics research tradition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문만용;선유정;강형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35-154
    • /
    • 2020
  • This paper tries to show the formation of 'Kyungpook School' that is a nickname given to mathematicians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NU). In the early period, the role of professor Park Jung-gi was the most important drive to set the research tradition. He made Korea's first english journal in mathematics,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KMJ which became a cornerstone for students to join the international academic community. Professor Ki U-hang published the most amount of papers in Korea in 1970s and became a role model for young scholars. In this background, KNU's Topology and Geometry Research Center at KNU was chosen as the only Science Research Center in mathematics in 1989, and KNU's mathematicians could get a long-period support for capable mathematics researchers' community.

19세기 초 영국의 해석적 방식의 도입과 이후 영국 수학의 발전 : 19세기 초 케임브리지 대학의 '해석학회'의 의의와 그 한계 (Introduction of Analytical Method to Britain and British Mathematical Development in Nineteenth Century)

  • 조수남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32
    • /
    • 2007
  • 이 논문에서는 19세기 초에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나타났던 '해석학회'를 중심으로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까지의 영국 수학계의 상황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흔히 매우 새롭고 혁신적인 사건으로 언급되는 해석학회의 등장이 19세기 이전 영국 수학계의 꾸준한 개혁 노력들이 축적된 결과 나타날 수 있었음을 보일 것이다. 그 결과 해석학회의 역할과 의의에 대해 새롭게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이후 영국에서 해석적 방식이 받아들여졌던 과정과 그 경로를 통해 새로운 해석적 방식이 당시 영국의 독특한 지적, 사회적 상황 속에서 대륙과는 다른 방식으로 발전했던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조선(朝鮮) 산학(算學)의 사원옥감(四元玉鑑) (Siyuan Yujian in the Joseon Mathematics)

  • 홍성사;홍영희;이승온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03-219
    • /
    • 2017
  • As is well known, the most important development in the history of Chinese mathematics is materialized in Song-Yuan era through tianyuanshu up to siyuanshu for constructing equations and zengcheng kaifangfa for solving them. There are only two authors in the period, Li Ye and Zhu Shijie who left works dealing with them. They were almost forgotten until the late 18th century in China but Zhu's Suanxue Qimeng(1299) had been a main reference for the Joseon mathematics. Commentary by Luo Shilin on Zhu's Siyuan Yujian(1303) was brought into Joseon in the mid-19th century which induced a great attention to Joseon mathematicians with a thorough understanding of Zhu's tianyuanshu. We discuss the history that Joseon mathematicians succeeded to obtain the mathematical structures of Siyuan Yujian based on the Zhu's tianyuanshu.

고대 인도수학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in Ancient India)

  • 김종명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1-52
    • /
    • 2010
  • 고대의 인도수학은 산스크리트어로 쓰여 있고, 수학의 법칙이나 문제들은 구전되었거나 필사본의 형태로 경전 속에 포함되어 있으며, 학생들이 암기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아주 간결하게 정리되어 있다. 고대 인도의 많은 수학자들은 일찍이 십진법, 계산법, 방정식, 대수학, 기하학, 삼각법 등의 연구에 공헌하였다. 이 논문은 고대 인도수학과 다른 문명권의 수학발전을 비교하였다. 고대 그리스 수학이 공리적이고 연역적이라면, 인도수학은 양적이며 계산적이지만 원리를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는 특성이 있다. 고대 인도와 타 문명권의 수학을 비교하는 것은 오늘날 수학교육과 수학사 연구에 의미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Bourbaki와 수학사 (Bourbaki and the HistorT of Mathematics)

  • 이승온;김태수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79-90
    • /
    • 2005
  • 일차대전 전의 프랑스 수학사는 괄목할 만 하였으나 일차대전 후 프랑스는 독일과 영국에 비하여 완전히 진공 상태였다. 이에 젊은 프랑스 수학자들은 독일로부터 크게 자극을 받아 Bourbaki학파를 생성하고 때마침 사회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생성된 구조주의(structuralism)와 발맞추어 수학의 구조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우리는 Bourbaki의 생성 과정과 발전 단계를 알아보고 그 구성원들과 그들이 심혈을 기울여 집필한 책들, 그리고 업적에 대하여 조사한 후 Bourbaki학파의 쇠퇴 과정을 살펴 본다.

  • PDF

중학교 이차방정식 단원에서 조선시대(朝鮮時代) 수학사(數學史)의 활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Mathematics History of Chosun Dynasty to a Quadratic Equation of Middle School)

  • 심상길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7-130
    • /
    • 2009
  • 본 연구는 중학교 이차방정식 단원에서 조선시대(朝鮮時代) 수학사(數學史)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먼저, 수학교육에서 수학사의 활용과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수 학사의 유형 및 그 내용을 살펴보고, 조선시대의 수학자인 경선징(慶善徵), 홍정하 (洪正夏), 이상혁(李尙赫) 등이 제시하는 이차방정식의 구성과 해법에 대해 조사하여 중학교 수학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조선시대 수학사는 이차방정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풀이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지시키기 위한 자료, 활용 단계에서 개념적 사고와 반성적 사고를 고취시키기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Toward the Development of a New MHD Code for Fusion Plasma

  • Jang, Hanbyul;Ryu, Dongsu
    • 천문학회보
    • /
    • 제40권2호
    • /
    • pp.38.2-38.2
    • /
    • 2015
  • Development of a new code for magnetohydrodynamic (MHD) phenomena in fusion plasma is under progress through a collaboration between plasma physicists, mathematicians, and astrophysicists. The code employs approaches different from those of existing codes. For instance, it is based on a finite difference scheme of high-order and high accuracy, complying conservation laws. The new code will have characteristics distinguished from those of commonly used code such as M3D and NIMROD. Here we will report the progress of the code development.

  • PDF

ISOMORPHISMS OF A(3) ∞(i,k)

  • Jo, Young-Soo;Kang, Joo-Ho;Cho, Kyu-Min
    • 대한수학회보
    • /
    • 제33권2호
    • /
    • pp.233-241
    • /
    • 1996
  • The study of non-self-adjoint operator algebras on Hilbert space was only beginned by W.B. Arveson[1] in 1974. Recently, such algebras have been found to be of use in physics, in electrical engineering, and in general systems theory. Of particular interest to mathematicians are reflexive algebras with commutative lattices of invariant subspa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