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black raspberry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초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을 이용한 시판 복분자주의 휘발성분 분석 (Volatile Analysis of Commercial Korean Black Raspberry Wines (Bokbunjaju) Using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 이승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25-431
    • /
    • 2014
  • 국내 주요 시판 복분자주 24종을 수거하여 시료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HS-SPME법에 의해 추출한 후, GC-MS를 이용하여 분석 동정하였고 이들 성분의 정량 분석도 실시하였다. 총 43개의 성분이 동정되었고, 화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면 15 esters, 3 ketones, 7 alcohols, 2 aldehydes, 12 terpene류, 4 acids 성분이 동정되었다. ethyl acetate, ethyl octanoate, isoamyl alcohol, phenethyl alcohol이 동정된 성분중 높은 농도를 차지하였고, 그 외 ethyl hexanoate, ethyl decanoate, benzadehyde, dL-limonene, linalool, alpha-terpineol, myrtenol, acetic acid가 주요 성분으로 나타났다. 주성분 분석 결과 향기성분 구성 및 함량에 따라 제조지역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복분자주에 사용되는 복분자 품종이 대개 북미산인 Rubus occidentalis L.으로 동일한 품종이 전국에 재배됨에 따라 향기성분 구성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복분자주 제조과정의 특성상 발효 후 제성과정을 통해 발효 원주의 함량과 성분에 변화가 생기므로 생산지역보다는 제조공정 및 방법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향후 생산지역별 제조시 사용되는 복분자에 대한 좀 더 자세한 품종 및 재배 특성에 대한 연구와 제조공정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 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향기성분 분포의 경우, 주요 발효산물인 ester, alcohol, acid 성분은 대개 1 사분면에 분포하고, 복분자 과실에서 유래하는 terpene류의 경우 4 사분면에 모두 분포하여 이들 성분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향후 복분자주 품질관련 주요 지표물질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완숙 복분자 부위별 지방산 조성과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 (Comparison of Fatty Acids an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athogen of Acne in Different Parts of Ripened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uel))

  • 이경인;김수민;김선민;표병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66-469
    • /
    • 2011
  • 본 연구는 복분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동결 건조한 완숙 복분자를 종자와 종자를 분리한 과육, 그리고 분리과정을 거치지 않은 과실로 구분하여 지방산조성 분석과 각 부위별 methanol 추출물의 여드름 관련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 그리고 polyphenol 함량 및 DPPH radical 소거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종자의 총 지방 및 지방산 함량이 다른 부위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종자의 주요 지방산으로 밝혀진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의 함량이 전체 지방산 조성의 81.26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Polyphenol 함량 측정에서 123.64 mg/g으로 가장 높은 수준의 polyphenol 함량을 보였던 종자의 methanol 추출물이 DPPH radical 소거능에서도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에서 실험에 사용된 모든 균주에 대해서 종자를 분리한 과육의 methanol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종자 추출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낸 과육 추출물의 항균 활성과 비교해서 종자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각 균주별로 약 76.96~89.08%에 해당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완숙 복분자의 과육 부분뿐만 아니라 잔사나 폐기물로 버려질 수 있는 종자 부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복분자 착즙박을 이용한 식초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vinegar using black raspberry pomace)

  • 류은혜;채규서;김성웅;김용석;김기덕;권지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04-11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 가공 후 버려지는 부산물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착즙박의 발효를 통해 식초를 제조한 후, 전통 발효식초의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발효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포함한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알코올 발효 후 이화학적 특성 분석 결과, 총 산도와 알코올 함량은 착즙액보다 착즙박에서 각각 0.49, 1.32% 만큼 낮게 나타났으며, 초산발효 후에는 알코올 함량과 당도가 착즙액에서 각각 0.72, 0.6 °Brix만큼 높게 나타났다. 착즙박에서 pH는 0.32 낮았고 총 산도가 0.38%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착즙박 또한 원활한 발효가 진행됨이 확인되었다. 유기산 분석 결과 착즙박에서는 acetic acid가 착즙액에서는 citric acid가 더 높게 나타났다. 복분자 착즙박을 이용한 식초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안토시아닌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 51.58 TAE mg/mL, 9.55 RUE mg/mL, 6.05 CYE mg/mL로 대조구인 복분자 착즙액 식초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복분자 착즙박 식초의 산화 방지 활성측정을 위해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의 IC50 값을 측정한 결과 각각 10.23, 18.30 µL/mL로 착즙액 식초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 및 FRAP 또한 착즙박을 이용한 식초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복분자 가공 부산물로 버려지는 착즙박은 초산발효 결과가 우수하고, 높은 산화 방지 활성을 나타내어 기능성 발효식초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김치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acidophilus C로 발효한 홍삼 및 복분자 발효물의 비만예방 효과 (The Effect of Red Ginseng and Black Raspberry fermente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C in High Fat Diet-fed Mice)

  • 문혜정;이주희;이상천;이창현;최경민;차정단;황승미;고은실;이민정;장지은;최혜란;박종혁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159-16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인 김치로부터 L. acidophilus를 분리 동정하고, 이 균주를 이용하여 홍삼과 복분자 미숙과를 발효시킨 조성물을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항비만효과를 검토하였다.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C57BL/6J 마우스에 L. acidophilus C 및 홍삼 농축액과 복분자 미숙과 분말을 발효시킨 혼합발효 복합물을 6주간 투여한 결과, 혼합발효 복합물을 투여한 군에서 체중증가량, 부고환 및 신장 주위 지방의 무게, 지방세포 크기와 간조직 내 지질 축적, 혈중 포도당 농도, 혈중GOT와GPT 농도및렙틴농도를감소시켰으며, HDL-콜레스테롤과 아디포넥틴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L. acidophilus C를 단독투여한 실험군에 비하여 비만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혼합발효 복합물은 비만개선용 식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지며, 추후에 혼합발효 복합물의 비만 개선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복분자주에서 분리한 Mannan 다당의 면역증진 활성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of Mannose-rich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Korean Black Raspberry Wine)

  • 이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43-349
    • /
    • 2012
  • 한국 전통발효음료 중에 존재하는 특이 다당류의 화학적 특성 및 생물활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농가에서 직접 발효한 복분자주로부터 다당류를 분리하고 이들의 각종 면역증강활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복분자주에 80% ethanol 침전을 행하여 얻어진 조다당획분 RB-0를 이용, 연속적인 3회의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하여, 복분자주의 주요 다당인 RB-1b-I으로 정제할 수 있었다. RB-1b-I획분은 HPLC상에서 대칭을 유지하는 단일 peak로 검출되었으며, 분자량은 약 180 kDa으로 평가되었다. 정제다당인 RB-1b-I의 구성당 조성을 확인한 결과, mannose가 76.8%로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그 외에 galactose(15.8%), arabinose(3.8%), glucose(2.6%) 및 rhamnose(1.2%)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복분자 중에 존재하는 주 다당이 발효 효모의 세포벽에서 기원한 mannan임을 추정하게 하였다. 한편 복분자주에서 정제한 다당 RB-1b-I은 in vitro상에서 macrophage의 활성화를 높은 비율로 유도하였으며, 비장세포에 대해 높은 증식능을 보였다. 또한 RB-1b-I을 정맥 투여한 경우, NK cell을 활성화하여 YAC-1 종양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증가시킴이 관찰되었다. 한편 고분자 정제 다당인 RV-1b-I은 비특이적 면역계에 있어 중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보체계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인 활성화 경향을 보였다. 이들은 Ca++ 이온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항보체 활성과 antihuman C3를 이용한 2차원 면역전기영동에 의하여 C3 산물을 동정한 결과로부터 보체계의 classical pathway와 alternative pathway양 경로를 모두 경유하여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복분자주에는 인체 건강에 유익한 면역증진 활성을 제공하는 다당류가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센서와 RFID를 활용한 시약 관리시스템 (Reagent management system with sensors and RFID)

  • 장재명;정한길;정지오;박상노;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51-653
    • /
    • 2015
  • Arduino, Raspberry Pi, BeagleBone Black 등 임베디드 보드가 세상에 보편화 되어 임베디드 보드를 활용하여 홈 스마트 시스템, 공작 기계 등 여러 제품들이 만들어 진다. 최근 시약이나 위험물등 위험한 재료를 관리하여 다루는데 있어 사고 및 화재 발생 시 미리 알지 못해 방치되어 큰 피해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임베디드(BeagleBone Black)보드, 센서, 그리고 RFID를 활용 하여 실시간으로 위험 재료들을 보관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는 문제 발생 시 관리자에게 즉시 정보를 제공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hylogenic Relationships of Rubus Species Revealed by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Markers

  • Eu, Gee-Suck;Chung, Byung-Yeoup;Bandopadhyay, Rajib;Yoo, Nam-Hee;Choi, Dong-Geun;Yun, Song-Joong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39-44
    • /
    • 2008
  • Korean cultivated bramble, which is known as Bokbunja-ddal-gi is regarded to be originated from Korea native Rubus coreanus. However, little scientific evidence and significant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cultivated bramble(KCB) and R. coreanus throw doubt on the ancestry of KCB.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phylogenetic information on KCB by comparing its nuclear genomic background with those of R. coreanus, black(R. occidentalis) and red(R. idaeus) raspberry, blackberry(R. lanciniatus) and R. crataegifolius. A total of 99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markers were generated and used for phylogenetic analysis of 76 Rubus accessions. Accessions of each species were grouped into each distinct subclade by the RAPD markers at a similarity coefficient of about 0.59. The KCB subclade formed a clade with R. occidentalis and R. crataegifolius subclades at a similarity coefficient of 0.47. The R. coreanus subclade formed a clade with R. idaeus, R. lanciniatus and R. crataegifolius subclades at a similar similarity coefficient. Only one KCB accession from Hoengsung was included in R. coreanus subclade. The accession shows leaf and flower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e rest of the KCB accessions.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inferred from the RAPD markers suggests that the nuclear genomic background of KCB accessions which show morphological similarity to black raspberry is more closely related to black raspberry than to R. coreanus. This brings about the need for close scientific evaluations on the ancestry of KCB at both morphological and molecular levels.

  • PDF

GIS 기반 AHP 기법을 이용한 작물재배 적지분석 (The Site Analysis for Crop Cultivation Using GIS-Based AHP Method)

  • 김태준;이근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D호
    • /
    • pp.695-702
    • /
    • 2006
  • GIS 기반 공간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서 기존의 단순중첩에 의한 부울논리는 정보의 손실과 요소간 가중치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분석계층처리 (AHP)와 같은 전문가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AHP 기법과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작물재배 적지 선정기법의 효용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토양, 작물 그리고 농업경영 전문가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지형, 배수등급, 토성 그리고 경사에 대한 AHP 가중치를 평가하였다. 이러한 요소별 AHP 가중치를 기반으로 GIS 공간분석을 활용하여 복분자 재배 적지분석을 수행하였다. AHP 기법의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쌍치면 일대의 복분자 재배지를 도면으로 구축한 후 기존의 부울논리에 의한 적지선정 결과와 비교한 결과 AHP 기법에 의한 적지선정 결과가 현장을 더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to Different Ethanol Extracts of Rubus coreanus Miq.)

  • 권지웅;이희권;박희전;권태오;최혜란;송지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25-333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biological activities to different ethanol extracts from unripened and ripened fruit (Rubus coreanus Miq.). 25% to 75% ethanol extracts of unripened and ripened fruits were similar to extract yield respectively. Yield of ethanol extract of ripened fruit were approximately 3 times higher than that of unripened fruit. 75% ethanol extract of unripened fruit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180.04{\pm}0.41$ mg/g) and total flavonoid ($50.43{\pm}0.81$ mg/g).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of unripened fruit were about 2 times higher than those of ripened fruit. $IC_{50}$ value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linoleic acid peroxidation inhibition activity of BHA and ${\alpha}$-tocopherol showed $13.19{\pm}0.21$ and $18.16{\pm}0.23{\mu}g/m{\ell}$, $4.25{\pm}0.04{\mu}g/m{\ell}$ and $5.56{\pm}0.10{\mu}g/m{\ell}$ respectively, but 75% ethanol extract of unripened fruit showed the lowest $23.85{\pm}0.10{\mu}g/m{\ell}$ and $7.34{\pm}0.07{\mu}g/m{\ell}$ among other all extracts. $IC_{50}$ values of LDL (low 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inhibition activity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75% ethanol extract of unripened fruit showed the lowest $1.04{\pm}0.04{\mu}g/m{\ell}$ and $7.21{\pm}0.13{\mu}g/m{\ell}$ among other all extracts respectively. Specifically, 75% ethanol extract of unripened fruit has relatively better biological activities than other ethanol extracts, it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bioactive source for health functional foods.

효모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Black Raspberry 발효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aspberry Wine Fermented with Different Yeasts)

  • 이윤지;김재철;황금택;김동호;정창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784-791
    • /
    • 2013
  • 시판 효모 4가지(Fermivin, FM; Saf-instant yeast red, SI; Angest wine active dry yeast, AW; Angest instant yeast high sugar, AI)를 이용하여 복분자 발효주를 제조하고,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FM(2.7%)과 AI(2.8%)가 SI(2.4%)와 AW(2.5%)보다 높았으며, 검출된 주요 유리당인 glucose의 함량은 AW와 AI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알코올 함량은 AW(11.95%)에서 가장 높고, SI(11.75%)에서 가장 낮았다. pH는 FM(pH 3.73)에서 가장 낮았으며, 총 산도는 효모별로 차이가 없었다. 모든 시료에서 검출된 주요 유기산은 citric acid였으며, 효모별로 검출된 유기산 함량은 달랐다. Malic acid의 경우 SI(2.92 mg/mL)에서 가장 많았고 AI(1.83 mg/mL)에서 가장 적었다. L, a, b 값은 SI에서 높고 AI에서 낮았으며, 탁도는 효모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복분자 발효주의 total phenolics와 total anthocyanin 함량은 효모 별로 차이가 없었으나, 국내에서 판매되는 수입산 레드 와인보다 높았다. 항산화능 역시 효모별로 차이가 없었으나 FM, AI, AW, SI 순으로 높았으며, 항산화능 지표에는 total phenolics와 anthocyanin의 함량뿐만 아니라 anthocyanin 조성도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