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War

검색결과 1,449건 처리시간 0.029초

전투사례로 본 군사보안의 중요성 연구 - 6.25 전쟁 초기, 개성일대 전투를 중심으로- (The Importance of Military Security -Mainly focused on the Battle of Gaeseong, the early part of the Korean War-)

  • 김규남;이현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6_1호
    • /
    • pp.51-58
    • /
    • 2016
  • "역사는 거울"이라는 말은 반복되는 역사적 사실을 통해 우리는 적을 대비해야 한다는 뜻이다. 현재 우리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을 포함하는 각종 도발에 직면해 있다. 우리가 북한을 주적으로 설정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우리 군은 적의 위협에 항상 철저히 준비되어야 한다. 6.25 전쟁 전투사례를 보면 준비된 적과 무방비 상태의 국군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요약할 수 있다. 북한군은 해방 이후 치밀한 계획 하에 중공군을 편입시키고 소련군 군사고문단 지원 하에 전투 장비를 배치하여 군단 급 훈련까지 마친 상태에 비해, 당시 국군은 대대급 훈련도 마무리 못한 상태였다. 전 평시 군사보안을 위해 나의 정보는 숨기고 적은 찾아서 대비해야 한다. 북한군은 전쟁을 준비하면서 치밀하게 국군의 편성과 배치, 그리고 운용사항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으나 국군은 이에 대비하지 못해 초전에 고전을 면치 못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6.25 전쟁 초기, 개성일대 전투사례를 중심으로 군사보안의 교훈과 그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이라크 전쟁시기에 나타난 복고풍 경향의 토탈패션 연구 (A Study on Total Fashion of Retro Trend During the US-Iraq War)

  • 석은경;채금석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4-30
    • /
    • 2005
  • If one can say that 'Retro' is a revived mode of the style, which was popular in the past, it is confirmed that various complex social and cultural factors have been reflected to making the current and new mode by accepting the past style. By investigating the impact of hippie style, which was popular during the Vietnam War on cosmetics and beauty culture, and the retro-tendency NEO-Hippie style fashion phenomenon appeared at around the time of the US and Iraq War, a theoretical foundation of cosmetics and beauty culture in the 2000s was established, and periodical circulation of fashion was tried to be understood. The 9.11 terrorists' attack and US-Iraq War devastated the heart of modern people, and for this, a retro trend having a meaning to revive the past style with nostalgia of the old things started to be handled with major interests in cosmetics and beauty culture. The retro-style, which is revived in the 2000s, is not the unchanging imitation mode in the '60s and '70s during the Vietnam War, but a newly transformed type of style.

  • PDF

전시체제(1937∼1945)하의 일본 복식의 양장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Westernization of Japanese Costume During War(1937∼1945))

  • 이진민
    • 복식
    • /
    • 제54권2호
    • /
    • pp.121-133
    • /
    • 2004
  • This study is about japanese national suit. women's standard dress, and mompe, which were used as a means of controlling people's life and simplifying people's clothing during the chinese-japanese war(1937) and the pacific war(1941-1945). National suit was a semi-military uniform for men and it was the western style suit composed of jacket, under shirt, and pants. National suit was not popular during the early war, but it became popular afterward. Women's standard dress had the two kinds of styles : the kimono and the western style. Women's standard dress was not popularly distributed. Instead, many japanese women wore mompe, the active wear of standard dress. Almost all of japanese women wore mompe by the end of war because of its practical use. The effects of national suit, standard dress, and mompe on the rapid westernization of postwar japanese clothing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ational suit and standard dress contributed to the official acceptance of the western clothes as japanese daily clothes. Second, national suit, standard dress, and mompe changed the traditional view of japanese on clothing and caused the rapid westernization of japanese clothing with the high emphasis on the practical and functional use of clothing. Especially, as japanese women wore mompe as the outer garment, mompe affected the view of japanese on women's body and it served as an important stimulus to speed the westernization of japanese women's clothing.

다중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임진왜란 시기 사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jin War's Historical Materials with Multi-layer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 조현철;송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67-198
    • /
    • 2022
  • 융합 과학 연구가 활성화되며 인문학에서도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 연구가 장려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역사 데이터에 텍스트마이닝과 개체계량학 연구 방법을 적용한 시론(試論) 연구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선조실록(宣祖實錄)·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난중잡록(亂中雜錄), 징비록(懲毖錄)을 활용하였으며, 사료(史料)에서 주제 변화와 공통 개체를 탐색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분석과 DMR 토픽모델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서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계량 분석의 활용 가능성 확인, 특정 주제의 시기적 변화, 인물 개체 간 미발견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확장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었다.

제 2차 대전후 조형예술과 Christia Dior 의 복식 디자인에 나타난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Plastic Art And Christian Dior Fashion after World War II.)

  • 김정은;정흥숙
    • 복식
    • /
    • 제50권2호
    • /
    • pp.59-80
    • /
    • 2000
  • In February 1947, Christian Dior startled the world with his spring collection. He transformed the unflattering square shouldered outline of women's wartime fashion overnight. It was not only fashion that made a pivotal point for opulence and elegance, The style of architecture, furniture, glass, and silverware also made a radical change. The new style emerged after war called " organic modernism'. This study is to define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fashion, architecture, furniture and craft after World War II and examine the social factors and aesthetics that generated a new style. The common asthetic characteristics are freedom, abstraction of symbolic from, asymmetry, and exaggeration of form. The social factors, values and aesthetics are economic reconstruction and renaissance of design , technical development and new materials, fredom and optimistic view after the holocaust of war, and organic aesthetics and humanism.

  • PDF

북한의 제4세대전쟁 위협전망과 극복방안 연구: 향토예비군 운용 개선을 중심으로 (A study on overcoming the prospect of North Korea's fourth-generation war threats : Focusing on the Homeland Defense Reservists)

  • 김연준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6_1호
    • /
    • pp.3-13
    • /
    • 2016
  • 우리는 전쟁에서 당연히 강한 자가 약한 자에게 승리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현대전쟁에서 약한 자가 강한 자를 상대로 승리한 사례들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제4세대전쟁 이론을 통해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북한은 열세한 국력임에도 한반도 무력통일 정책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 그들은 국제사회와 남한을 상대로 다양한 정치 사회 군사적 수준의 도발을 계속하고 있다. 최근에 북한은 5차례의 핵실험,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와, DMZ 도발 등을 자행하였으며, 앞으로도 제4세대전쟁 차원의 도발을 계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점증하고 있는 북한의 제4세대전쟁 위협과 도발에 대한 본질을 이해해야 한다. 이를 통해 그들의 제4세대전쟁 위협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중 하나인 향토예비군제도에 대한 가치를 재인식하고 관련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 우리는 개선된 향토예비군제도를 통해 한반도에 세력균형 변화와 힘의 전환점으로 이행을 단호 거부할 수 있다. 즉 예상되는 북한의 제4세대전쟁 위협에 대하여, 우리의 향토예비군제도는 우리의 단호한 전쟁 수행을 위한 의지(意志)이자, 정치 사회 경제 군사적인 수단이며, 최적의 대안으로 기능발휘가 가능하다.

클라우제비츠의 전쟁이론으로 본 냉전 이후 북한의 핵.미사일전략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Strategy through the Clausewitzian Framework)

  • 박지선;이상호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8호
    • /
    • pp.271-309
    • /
    • 2010
  • The main theme of this study is about North Korea's contemporary military strategy which remained a blind spot in the 21st century. Indeed, Pyongyang's contemporary military strategy is evolved from the logic of War. On the basis of this logic, this study examined North Korea's contemporary military strategy with three analytical frameworks. The first is the discovery of Clausewitz's dictums and application of the Trinitarian analysis on the Korean cases. During the course of applying Clausewitzian main dictum--War as continuation of politics, the methodological analysis on war played a important role generalizing the pattern and matrix of North Korea's strategic thinking and military strategy. In particular, Clausewitz's Trinitarian framework on war -Government (reason), Army (chance), People (passion)- was a universal framework to scrutinize the North Korean missile and nuclear strategy. The second is about the matrix of North Korea's military strategy, The study suggested the genealogical feature of Pyongyang's military strategy. In principle, the dictum of 'Military-First Politics' 1S the combination of the political philosophy, Chuch'e (self-reliance) of Kim Il Sung and Kin Jong Il reflected in the military readiness. As a result this analysis was able to equate Clausewitz's dictums to explain Pyongyang's idea of the nature of war in that North Korea's military strategy is the central instrument of delivery to achieve political objectives. The third is about the theoretical encounter of 'Clausewitz's Wonderful Trinity' and 'Remarkable Trinity on North Korea's contemporary strategy'. On the basis, three elements are connected to one of three groups in society; the people, the military, and the government. In order to apply the Clausewitz's Trinitarian analysis into Kim Jong Il's 'Military-First' strategy, two case studies (Missile and Nuclear strategy) were examined.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Clausewitzian dictum in the 19th century is still valid in the 21st century as it provided plausible theoretical framework to explain the North Korean contemporary military strategy with a reminder that the nature and logic of war are fixed in the socially constructed state.

  • PDF

대립하는 세계와 한국의 공공외교: 제2차 공공외교 기본계획과 정책공공외교를 중심으로 (Korean Government's Public Diplomacy in a New Cold War: An Evaluation of the 2nd Basic Plan for Public Diplomacy(2023-2027))

  • 한의석
    • Journal of Public Diplomacy
    • /
    • 제3권2호
    • /
    • pp.53-68
    • /
    • 2023
  • 최근 국제정세는 신냉전으로 불릴 만큼 극심한 진영 간 대립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진영을 구분하는 요소로 가치와 규범이 강조되고 있지만 실제 갈등은 단순하게 이념과 가치에만 기반을 두기 보다는 훨씬 복잡하고 다층적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 정부는 제2차 공공외교 기본계획(2023~2027)을 수립했다. 본 연구는 제1차 공공외교 기본계획과 제2차 기본계획을 비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바람직한 한국 공공외교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제2차 기본계획은 지식공공외교와 정책공공외교 측면에서 더욱 확장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공공외교의 수단으로서 디지털 공공외교를 강조하는 등 발전적인 내용들을 담고 있지만, 정책공공외교의 일부인 가치와 규범에 대해 명확한 내용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가치와 규범은 최근 국제정치의 주요 요인이지만 우리에게 중요한 국가들을 배제할 수도 있기 때문에, 글로벌 보편 가치를 설정하고 이를 추구하는 것이 정책공공외교의 주요 목표가 되어야 한다. 대립하고 갈등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우리의 공공외교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더욱 정교하고 세심한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해군창설 : 회고와 당부 (Reflecting on the History and Future of Republic of Korea Navy)

  • 함명수
    • Strategy21
    • /
    • 통권37호
    • /
    • pp.5-31
    • /
    • 2015
  • The Republic of Korean Navy (ROKN) started from scratch. However, ROKN demonstrated its Blue Navy capabilities successfully to the entire world by conducting "Operation Early Dawn" at the Aden Bay, Yemen in Jan 2011. On the event of the 70th anniversary of the ROKN, I would like to retrospect past gleaning from voyages and challenges we had in the past. At the very inception of the ROKN, Korean government as well as senior military leaders recognized that it had no time to spare to clean up military those were insinuated deeply by communist agents. It was the top priority of the government. The Mongumpo Operation which was not well known, conducted by ROKN was one of the clean-up drive. The Korean War sometimes called as "a fire from land put-off at the sea". The world famous "Incheon Landing" which reversed war situation from the Nakdong Perimeter also done by Sea Power. ROKN conducted various maritime operations including not only Incheon Landing, but amphibious operation at Hungnam, mine sweeping, sea convoy, Wonsan Withdrawal. On the same day of the Korean War started, 25th June 1950, unless the victory of the ROKNS Baekdusan (PC 701) at the Korean Strait, the waning lamp light of Korea could not be rekindled by the participation of the U.N. The ROKN rescued the 17th regiment of Korean Army from the isolation at the Ongjin Peninsular and transported gold and silver bars stored at the Bank of Korea to the Navy supply deposit in Jinhae safely. ROKN special intelligence unit conducted critical HUMINT which led Incheon Landing success. One of important mission ROKN conducted successfully was not only transporting war fighting materials but also U.S. provided grains to starving Koreans. ROKN participated Vietnam campaign from 1960s and conducted numerous maritime transportation operations supplying materials to Vietnam military forces along the long coastal lines. Experienced Naval Officers and enlisted men who discharged and acquired as merchant marine certificate supported most of the U.S. sea lift operations throughout the Vietnam campaign. ROK-US Combined Forces which had been honed and improved its war fighting capabilities through the Korean War and out of Vietnam jungle playing key deterrent against threat from north Korea. However, those threat level will be completely different when north Korea finish its nuclear weapon ambition. In order to stand firm against north Korean nuclear threat, I would like to expect strong political leadership supporting nuclear submarine for ROKN.

6.25전쟁 이후의 중·북부지역 가면극의 변화양상 (The changes in the Korean Mask Dramas of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after the Korean War)

  • 전경욱
    • 공연문화연구
    • /
    • 제22호
    • /
    • pp.5-43
    • /
    • 2011
  • 한국의 가면극은 대부분 세시풍속의 하나로 연행되었으며, 동제·줄다리기·지신밟기·횃불싸움·길놀이·사또놀음 등 여러 세시행사와 연계되어 전승되었다. 6.25전쟁 이후에는 이러한 세시행사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연행하기 때문에 원래의 기능과 의미를 상실하게 되었다. 또한 연행시간이 대폭 줄어들었기 때문에 연희내용, 노래, 대사를 많이 생략하고 있다. 북청사자놀이는 6.25전쟁 이후 사자춤이 한 마리에서 두 마리로 늘어났고, 애원성춤·사당춤·넉두리춤·칼춤을 새로 추가했다. 사자가 아이를 잡아먹던 내용도 토끼인형을 잡아먹는 내용으로 바뀌었다. 사자가면은 원래 여러 유형이 있었으나, 현재는 호랑이 모습의 가면으로 획일화되었다. 양주별산대놀이는 '애사당 법고놀이'에서 먹중 8명과 왜장녀·애사당 등 모두 10명이 등장하는 것이 이치에 맞는데, 현재는 이외에 말뚝이 가면을 쓴 배역이 등장한다. 현재의 연희에서는 성(性)과 관련된 노골적인 부분을 생략하고 있다. 또한 신할아비·미얄할미 과장에서 할미의 죽음 후에 예전에는 신할아비가 넋타령을 했는데, 최근에는 무당굿을 한다. 대사에서는 비속어와 육담을 대폭 생략하고 있다. 가면은 특히 연잎·옴중·샌님가면이 큰 변화를 보인다. 봉산탈춤은 6.25전쟁 이후 노장과장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인다. 예전에는 소무가 두명 등장했으나 현재는 한 명만 등장하고, 신장수와 원숭이의 퇴장도 차이를 보인다. 예전의 가면들은 연희자가 내다볼 수 있는 구멍을 코 양옆으로 크게 뚫었지만, 현재의 가면들은 가면의 눈동자에 구멍을 뚫어놓았다. 특히 먹중가면이 큰 변화를 보인다. 봉산탈춤을 복원할 당시에 봉산 출신의 연희자가 적었기 때문에, 다른 해서탈춤의 연희자들과 함께 연희를 복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