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ortance of Military Security -Mainly focused on the Battle of Gaeseong, the early part of the Korean War-

전투사례로 본 군사보안의 중요성 연구 - 6.25 전쟁 초기, 개성일대 전투를 중심으로-

  • 김규남 (한국군사문제연구원) ;
  • 이현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북한학)
  • Received : 2016.10.02
  • Accepted : 2016.10.29
  • Published : 2016.10.30

Abstract

"History is a mirror" means that we should be prepared for the threats of enemies through learning from repeating history. Currently South Korea is facing various provocations, including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missile s. For the protection of the life and property of its people, South Korea should regard North Korea as a main enemy and be fully prepared for the threats. The Korean War was a war between well-prepared North Korea and ill-prepa red South Korea. After Liberation, North Korean army incorporated the Chinese Communist army, placed battle equi pment with the support of the Soviet army, and finished corps-level training while South Korea at that time did not finish battalion-level training. In wartime and peacetime, an army should improve military security by concealing its own information and find its enemy's information. North Korea carefully prepared for the war,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the organization, deployment and operation of the South Korean army. South Korean army failed to cope with it and had hard times in its early battles. In this paper, I will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ilitary security, focusing on the Battle of Gaeseong, the early part of the Korean War.

"역사는 거울"이라는 말은 반복되는 역사적 사실을 통해 우리는 적을 대비해야 한다는 뜻이다. 현재 우리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을 포함하는 각종 도발에 직면해 있다. 우리가 북한을 주적으로 설정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우리 군은 적의 위협에 항상 철저히 준비되어야 한다. 6.25 전쟁 전투사례를 보면 준비된 적과 무방비 상태의 국군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요약할 수 있다. 북한군은 해방 이후 치밀한 계획 하에 중공군을 편입시키고 소련군 군사고문단 지원 하에 전투 장비를 배치하여 군단 급 훈련까지 마친 상태에 비해, 당시 국군은 대대급 훈련도 마무리 못한 상태였다. 전 평시 군사보안을 위해 나의 정보는 숨기고 적은 찾아서 대비해야 한다. 북한군은 전쟁을 준비하면서 치밀하게 국군의 편성과 배치, 그리고 운용사항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으나 국군은 이에 대비하지 못해 초전에 고전을 면치 못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6.25 전쟁 초기, 개성일대 전투사례를 중심으로 군사보안의 교훈과 그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우, '북한 군사정책 특징 연구', 융합보안학회, 정보.보안논문지 제16권제3호제1권, 2016. 5, p110
  2. 유동환 역, "손자병법 3편 모공편", 홍익출판사, 2005. 04. 22.
  3. 국가법령정보센타, 보안업무규정, 2015, 3. 11
  4. 윤상용, 한국국방안보포럼, 밀리터리 노트, 군사 보안과 '모자이크' 이론, 2014. 04. 22 中인용
  5. 노병천, "도해세계전사", 도서출판 한원, 1990.
  6. 국방부, "전쟁사 제1권", 1967.
  7. 육군 군사편찬연구소, "북한군 남침계획", 2005 2014.
  8. 육군본부군사연구소, "1129일간의 전쟁 6.25",
  9. 경찰청, "구국경찰사", 2016.
  10. 내무부치안국, "한국경찰사II", 1973.
  11. 국방홍보원 홈 / 국방일보 2015. 1. 4 http://demaclub.tistory.com/2590
  12. 경기지방경찰청, 경기경찰사, 2008,
  13. http://www.opsecprofessionals.org/origin.html
  14. 미국 국가 안전국 https://www.iad.gov/ iad/news/purple-dragon-the-formations-of-opsec.cf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