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Tea

검색결과 2,952건 처리시간 0.025초

Associations between the dietary patterns of pregnant Malaysian women and ethnicity, education, and early pregnancy waist circumference: A prospective cohort study

  • Yong, Heng Yaw;Shariff, Zalilah Mohd;Yusof, Barakatun Nisak Mohd;Rejali, Zulida;Bindels, Jacques;Tee, Yvonne Yee Siang;van der Beek, Eline 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3호
    • /
    • pp.230-239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Little is known about the dietary patterns (DPs) of women during pregnancy.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Ps of pregnant Malaysian women and their associations with socio-demographic, obstetric, and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SUBJECTS AND METHODS: This p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ed 737 participants enrolled in Seremban Cohort Study between 2013 and 2015. Food consumption was assessed using a validated 126-food item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FFQ) at four time-points, namely, pre-pregnancy and at each trimester (first, second, and thir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as used to identify DPs. RESULTS: Three DPs were identified at each time point and designated DP 1-3 (pre-pregnancy), DP 4-6 (first trimester), DP 7-9 (second trimester) and DP 10-12 (third trimester). DP 1, 4, and 7 appeared to be more prudent diets, characterized by higher intakes of nuts, seeds & legumes, green leafy vegetables, other vegetables, eggs, fruits, and milk & dairy products. DP 2, 5, 8, and 11 had greater loadings of condiments & spices, sugar, spreads & creamer, though DP 2 had additional sweet foods, DP 5 and 8 had additional oils & fats, and DP 11 had additional tea & coffee, respectively. DP 3 and 6 were characterized by high protein (poultry, meat, processed, dairy, eggs, and fish), sugars (mainly as beverages and sweet foods), and energy (bread, cereal & cereal products, rice, noodles & pasta) intakes. DP 9 had additional fruits. However, DP 12 had greater loadings of energy foods (bread, cereal & cereal products, rice, noodles & pasta), sugars (mainly as beverages, and sweet foods), and good protein sources (eggs, nuts, seeds & legumes). Malays were more likely to have lower adherence (LA) for DP 1 and 10 than non-Malays. DP 2, 8, and 11 were more prevalent among Malays than non-Malays. Women with a higher education were more likely to have LA for DP 10, and women with a greater waist circumference at first prenatal visit were more likely to show LA for DP 11. CONCLUSIONS: DPs observed in the present study were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hose reported in Western populations. Information concerning associations between ethnicity, waist circumference and education with specific DPs before and throughout pregnancy could facilitate efforts to promote healthy dietary behavior and the overall health and well-being of pregnant women.

뇌 신경조절에서의 식이 폴리페놀 화합물의 역할 (The Roles of Dietary Polyphenols in Brain Neuromodulation)

  • 이혜영;이희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1386-1395
    • /
    • 2018
  • 최근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중추 신경계와 위장관은 장-뇌 축을 따라서 양방향의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분명해지고 있다. 전임상 연구로부터 장내 마이크로비오타가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통해서 중추 신경계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폴리페놀 화합물은 과일, 채소, 차, 커피, 와인과 같은 식품에 존재하는 식물 유래의 물질로, 항산화, 항염증, 항균, 면역 조절, 항암, 혈관 확장 및 프리바이오틱스와 유사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어 식이를 통해 섭취할 경우 건강에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최근 들어 폴리페놀 화합물이 인지 기능뿐만 아니라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성 손상에 대해 작용하는 신경 보호에 유익한 효과를 줄 수 있다는 증거가 보고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신경 세포 신호 전달 경로의 자극, 신경 염증, 혈관 기능 및 장내 마이크로비옴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폴리페놀 화합물의 신경 보호 효과와 관련된 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일반적인 개요를 제시한다. 폴리페놀 화합물의 대사 산물은 혈액-뇌 장벽을 가로 지르는 신경 전달 물질을 이용하고 뇌 혈관 시스템을 조절하여 작용하거나, 간접적으로 장내 마이크로비오타에 작용한다. 또한, 폴리페놀 화합물은 노화 관련 인지 기능 저하 및 신경 퇴행과 같은 신경계 질환을 다양한 생리 기능을 통해 효과적으로 관리할수 있다는 사실이 제시되고 있다. 폴리페놀 화합물은 신경 염증을 감소시키고 기억과 인지 기능을 향상 시키며 장내 마이크로비오타를 조절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잠재적인 기능성 식품으로 주목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헬리콥터 응급의료서비스의 외상팀 탑승 여부와 외상환자의 생존율 (Effectiveness of the Trauma Team-Staffed Helicopter Emergency Medical Service)

  • 김태연;이상아;박은철;허요;정경원;권준식;문종환;김지영;김주량;황경진;윤성근;이국종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11-422
    • /
    • 2018
  • Backgrou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outcomes for trauma patients transferring to the helicopter emergency medical service (HEMS) according to their previous team composition is controvers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rauma team-staffed-HEMS (TTS-HEMS) when transferring to a trauma center. Methods: A retrospective comparison was conducted on patients transported to a trauma center over a 6-year period by the TTS-HEMS and paramedic-staffed-HEMS (119-HEMS). Inclusion criteria were blunt trauma with age ${\geq}15years$. Patient outcomes were compared with the Trauma and Injury Severity Score (TRISS) (30-day mortality) and the Cox proportional hazard ratio of mortality (in hospital). Results: There were 321 patients of TTS-HEMS and 92 patients of 119-HEMS. The TTS-HEMS group had a higher Injury Severity Score and longer transport time but a significantly shorter time to emergency surgery. The prehospital data showed that the trauma team performed more aggressive interventions during transport. An additional 7.6 lives were saved per 100 TTS-HEMS deployments. However, the TRISS results in the 119-HEMS group were not significant. In addition,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the hazard ratio of mortality in the 119-HEMS group was 2.83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TTS-HEMS group. Conclusion: HEMS was likely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injured patients when physicians were involved in TTS-HEMS. Survival benefits in the TTS-HEMS group appeared to be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trauma team performed both more aggressive prehospital resuscitation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during transportation.

Dynamic changes of multi-notoginseng stem-leaf ginsenosides in reaction with ginsenosidase type-I

  • Xiao, Yongkun;Liu, Chunying;Im, Wan-Teak;Chen, Shuang;Zuo, Kangze;Yu, Hongshan;Song, Jianguo;Xu, Longquan;Yi, Tea-Hoo;Jin, Fengxi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186-195
    • /
    • 2019
  • Background: Notoginseng stem-leaf (NGL) ginsenosides have not been well used. To improve their utilization, the biotransformation of NGL ginsenosides was studied using ginsenosidase type-I from Aspergillus niger g.848. Methods: NGL ginsenosides were reacted with a crude enzyme in the RAT-5D bioreactor, and the dynamic changes of multi-ginsenosides of NGL were recognized by HPLC. The reaction products were separated using a silica gel column and identified by HPLC and NMR. Results: All the NGL ginsenosides are protopanaxadiol-type ginsenosides; the main ginsenoside contents are 27.1% Rb3, 15.7% C-Mx1, 13.8% Rc, 11.1% Fc, 7.10% Fa, 6.44% C-Mc, 5.08% Rb2, and 4.31% Rb1. In the reaction of NGL ginsenosides with crude enzyme, the main reaction of Rb3 and C-Mx1 occurred through Rb3${\rightarrow}$C-Mx1${\rightarrow}$C-Mx; when reacted for 1 h, Rb3 decreased from 27.1% to 9.82 %, C-Mx1 increased from 15.5% to 32.3%, C-Mx was produced to 6.46%, finally into C-Mx and a small amount of C-K. When reacted for 1.5 h, all the Rb1, Rd, and Gyp17 were completely reacted, and the reaction intermediate F2 was produced to 8.25%, finally into C-K. The main reaction of Rc (13.8%) occurred through Rc${\rightarrow}$C-Mc1${\rightarrow}$C-Mc${\rightarrow}$C-K. The enzyme barely hydrolyzed the terminal xyloside on 3-O- or 20-O-sugar-moiety of the substrate; therefore, 9.43 g C-Mx, 6.85 g C-K, 4.50 g R7, and 4.71 g Fc (hardly separating from the substrate) were obtained from 50 g NGL ginsenosides by the crude enzyme reaction. Conclusion: Four monomer ginsenosides were successfully produced and separated from NGL ginsenosides by the enzyme reaction.

고장초 추출물의 t-BHP로 산화적 손상이 유도된 HepG2 세포 보호 효과 (The Protective Effect of Zizania latifolia Extract against t-BHP-induced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s)

  • 박세호;이재열;양선아;방대석;지광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38-345
    • /
    • 2021
  • 고장초는 오랫동안 식용 및 의약 목적으로 차를 만드는 데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고장초를 고부가가치 식용 재료로 사용하는 연구는 불충분하다. 이전 연구에서 우리는 tricin이 고장초의 주요 화합물임을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는 고장초 추출물의 HepG2 세포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고장초 추출물 또는 tricin의 HepG2 세포에 대한 독성 실험 결과, 사용한 모든 농도에서 고장초 추출물 또는 tricin에 대한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tert-butyl hydroperoxide (t-BHP)에 의해 감소된 세포 생존율은 고장초 추출물(100 ㎍/ml에서 69.23%) 또는 tricin (100 ng/ml에서 74.47%)에 의해 증가되었다. 또한 고장초 추출물(250 ㎍/ml) 또는 tricin (250 ng/ml)은 산화적 손상에 의한 활성 산소종(ROS)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했다. 또한 항산화 효소로 알려진 superoxide dismutase 1(SOD1), catalase, heme oxygenase-1 (HO-1), nuclear factor erythroid-related factor 2 (Nrf2)의 단백질 발현은 고장초 추출물(100 ㎍/ml에서 2.1, 1.6, 1.7, 1.5배) 또는 tricin (250 ng/ml에서 2.6, 1.8, 2.2, 2.0배) 처리로 증가했으며, 이는 고장초 추출물의 HepG2 세포 보호 효과는 tricin의 활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종합하면 고장초는 간 기능개선 관련 기능성 식품 소재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금속 흡착능 Leuconostoc mesenteroides CJNU 0705 균주를 활용한 피부 건강기능성 소재 개발 (Development of Skin Health Promoting Materials Using Leuconostoc mesenteroides)

  • 한민희;문기성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55-462
    • /
    • 2020
  • Leu. mesenteroides CJNU 0705 균주는 모유에서 분리되었으며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과 자당(2%)이 포함된 tryptic soy agar plate상에서의 덱스트란 생성능을 통하여 동정하였다. Leu. mesenteroides CJNU 0705 균주는 미세먼지 속에 존재하는 피부 유해성 중금속인 납과 카드뮴에 대한 흡착능이 있으며 이러한 성질은 사균 상태에서도 확인되었다. 또한 Leu. mesenteroides CJNU 0705 균주는 여드름 원인균인 P. acnes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피부 건강기능소재로 잘 알려진 녹차, 당근, 개똥쑥, 파슬리, 브로콜리 및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기본 배지(A)로 하여 2% 자당(B) 혹은 2% 자당과 3% 효모추출물(C)을 각각의 추출물에 첨가한 후 Leu. mesenteroides CJNU 0705 균주를 접종 및 배양하여 덱스트란 생산량을 확인한 결과 C 배지가 최적배지로 확인되었으며 덱스트란의 생산은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으로도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모유 유래의 Leu. mesenteroides CJNU 0705 균주나 이를 이용한 천연발효추출물은 피부 건강기능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혼합소스 HVPE 방법에 의해 성장된 육각형 Si 결정 (Hexagonal shape Si crystal grown by mixed-source HVPE method)

  • 이강석;김경화;박정현;김소윤;이하영;안형수;이재학;전영태;양민;이삼녕;전인준;조채용;김석환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03-111
    • /
    • 2021
  • 고체 재료인 Si, Al 그리고 Ga을 혼합하는 혼합소스 수소화물기상 방법에 의해 육각형 Si 결정을 성장하였다. 새로 고안된 상압의 혼합소스 수소화물기상 방법에서는 1200℃의 고온에서 GaCln, AlCln 그리고 SiCln 가스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핵이 형성된다. 또한 Si과 HCl 가스의 급격한 반응에 의해 높은 분압을 가진 전구 기체를 발생시키는 구조로 설계 되었다.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법(EDS), 고해상도 X-선 회절(HR-XRD) 그리고 라만 스펙트럼을 통하여 육각형 Si 결정의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Si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소재로서 응용성이 기대된다.

Design and Fabrication of Dual Linear Polarization Antenna for mmWave Application using FR-4 Substrate

  • Choi, Tea-Il;Yoon, Joong-H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71-77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mmWave 대역에서 이중 직선편파 특성을 갖는 1×2 배열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두 개의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급전구조를 갖도록 하였으며 유전율은 4.3이고 두께가 0.4 mm인 RF-4 유전체 기판위에 설계되었다. 제안된 1×2 배열안테나의 패치안테나 크기는 각각 2.33 mm×2.33 mm이며 전체 기판의 크기는 13.0 mm×6.90 mm이다. 제작 및 측정결과, 급전 위치가 포트 1일 때 1.13 GHz (28.52~29.65 GHz) 그리고 급전위치가 포트 2일 때 1.08 GHz (28.45~29.53 GHz) 임피던스 대역폭을 얻었다. 급전위치가 포트가 1일 때 편파분리도는 수직편파의 경우, 7.68 dBi에서 16.90 dBi 범위의 수평편파의 경우, 7.46 dBi에서 15.97 dBi 범위의 측정값을 얻었다. 급전위치가 포트 2일 때 편파분리도는 수직편파의 경우, 8.59 dBi에서 13.72 dBi 범위의 수평편파의 경우, 03 dBi에서 14.0 dBi 범위의 측정값을 각각 얻었다.

Metagenome-Assembled Genomes of Komagataeibacter from Kombucha Exposed to Mars-Like Conditions Reveal the Secrets in Tolerating Extraterrestrial Stresses

  • Lee, Imchang;Podolich, Olga;Brenig, Bertram;Tiwari, Sandeep;Azevedo, Vasco;de Carvalho, Daniel Santana;Uetanabaro, Ana Paula Trovatti;Goes-Neto, Aristoteles;Alzahrani, Khalid J.;Reva, Oleg;Kozyrovska, Natalia;de Vera, Jean-Pierre;Barh, Debmalya;Kim, Bong-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8호
    • /
    • pp.967-975
    • /
    • 2022
  • Kombucha mutualistic community (KMC) is composed by acetic acid bacteria and yeasts, producing fermented tea with health benefits. As part of the BIOlogy and Mars EXperiment (BIOMEX) project, the effect of Mars-like conditions on the KMC was analyzed. Here, we analyzed metagenome-assembled genomes (MAGs) of the Komagataeibacter, which is a predominant genus in KMC, to understand their roles in the KMC after exposure to Mars-like conditions (outside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based on functional genetic elements. We constructed three MAGs: K. hansenii, K. rhaeticus, and K. oboediens. Our results showed that (i) K. oboediens MAG functionally more complex than K. hansenii, (ii) K. hansenii is a keystone in KMCs with specific functional features to tolerate extreme stress, and (iii) genes related to the PPDK, betaine biosynthesis, polyamines biosynthesis, sulfate-sulfur assimilation pathway as well as type II toxin-antitoxin (TA) system, quorum sensing (QS) system, and cellulose production could play important roles in the resilience of KMC after exposure to Mars-like stress. Our findings show the potential mechanisms through which Komagataeibacter tolerates the extraterrestrial stress and will help to understand minimal microbial composition of KMC for space travelers.

지역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스토리텔링 개발 : 안동 '그대생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orytelling of Co-Brand for Regional Agricultural Products : Focusing on the case of 'Geudae Ginger' in Andong)

  • 강미혜;김공숙
    • 지역과문화
    • /
    • 제7권1호
    • /
    • pp.153-182
    • /
    • 2020
  • 안동은 전국 최대의 생강 주산지이다. 이 연구는 안동생강의 공동브랜드 '그대생강'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스토리텔링 개발 과정을 알아보았다. 그대생강 브랜드의 스토리텔링 개발 과정은 4단계이다. 1단계 자료 조사를 통해 스토리텔링 소재를 수집하였다. 인류에게 오래 동안 약으로 사용되어온 생강은 무엇보다 역사 문화적 이야기 소재가 많다. 2단계로 스토리 자원을 추출하였다. 생강은 두루 이롭게 쓰이면서도 본연의 색과 향기를 잃지 않는 고귀함, 강직함, 정결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 안동의 이미지와 결부시킬 수 있다. 3단계로 스토리텔링을 개발하였다. 핵심 테마를 '격(格)이 다른 안동생강'으로 설정하였고, 핵심 스토리로 ≪안동 생강선생 이야기≫ 시리즈를 기획해 시나리오 1편 <안동 생강선생을 소개 하오>, 2편 <도산십삼차(陶山十三茶)의 탄생>, 3편 <사랑을 이어주는 그대생강>을 개발하였다. 4단계에서는 스토리텔링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스토리텔링 확장을 위한 지역 연계 사업화 프로그램으로 '그대' 생강의 이미지를 활용한 소비자 참여형 스토리텔링의 확산방법 및 생강'선생'의 이미지를 부각한 선생님과 함께 하는 생강 여행 및 생강 축제 등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통해 격이 다른 안동생강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일조함으로써 그대생강 공동브랜드 활성화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했다.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통해 안동생강의 효능과 정보, 역사적 사실 등이 널리 알려지고, 생강이 양념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나 유용하고 매력적인 지역농산물로 자리매김하며 나아가 안동생강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문화관광 사업에 활용하여 지역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