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Search Result 15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근이완요법이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정도와 기분 및 정서상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uscle Relaxation Therapy on Mood State and Job Stress of Clinical Nurses)

  • 우혜종;박경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4-52
    • /
    • 2002
  • Purpose: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uscle relaxation therapy on mood state and job stress of clinical nurses, finally to purpose the bases of nursing intervention to increased of work 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50 clinical nurses (23 for experimental group), who were working for 1-5 years in medical and surgical ward from the 2 C-University medical center in Seoul.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12 to July 25, 2000. The muscle relaxation therapy was performed 5 weeks to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muscle relaxation training sessions for 20minutes twice a week during five weeks. The level of job stress was measured by nurses occupational stress scale. The level of Psychological response was measured by Profile of mood stat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t-test, paired t-test.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muscle relaxation therapy showed more reduction of job stress level (t=1.35, p=0.038) and profile of mood state level (t=2.27, p=0.027) after therapy than those in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at the muscle relaxation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tion of nurse's job stress and promotion of mood state. So the researcher thinks that it is useful in reduction of job stress and increased of job satisfaction in hospital.

  • PDF

소규모 시내버스회사 운전기사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Urban Bus Drivers in Small-sized Companies)

  • 김미주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63-371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urban bus driver in small-sized companie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18 urban bus drivers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 small-sized bus companies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 from January to February 2015. Analyses were done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PSS/Win 18.0 was used. Results: The scores of HPLP of urban bus drivers were 2.7 (on a 4-point scale). Mean of HPLP sub-scores were self-fulfillment ($3.0{\pm}0.5$), interpersonal relationship ($2.9{\pm}0.5$), physical activity ($2.9{\pm}0.7$), health responsibility ($2.7{\pm}0.5$), healthy diet ($2.6{\pm}0.6$), and stress management ($2.5{\pm}0.5$). Among independent variables, job satisfaction and presence of relig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promoting lifestyle (explained 39.2%).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job satisfaction for urban bus drivers' health promoting lifestyle.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및 불안 증상의 연관성 (Association of Self-Reported Job Stress with Depression and Anxiety)

  • 김윤신;김은진;임세원;신동원;오강섭;신영철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8-46
    • /
    • 2015
  •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job stress and their association with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Korean employees. Method : We retrospectively studied 80,842 employees, who receive regular checkups in the Health Screening Center of a one hospital from May, 2012 to April, 2013. A total of 73,975 people were analyzed, who completed a short form of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y-Depression (CES-D) and Beck Anxiety Inventory (BAI). Results : Each of the seven subscales of KOSS was categorized into 4 quartile groups. Higher quartile of KOSS was associated with higher CES-D and BAI score an individual reported. The significantly increased odds ratios (ORs) in the higher scoring group compared to the lower scoring group for the effect of job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remained after adjusting for age, sex, marital status, education, income, BMI, and smoking status. Conclusion : These results from a large number of respondents suggested that job stress might be related to depression and anxiety. Future investigations should design a prospective study to understand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iatric symptoms or disorders.

교대근무 신규간호사와 경력간호사의 수면의 질과 관련요인: 2차자료분석 (Secondary Data Analysis on the Quality of Sleep and Related Factors of Novice and Experienced Shift Work Nurses)

  • 유민정;최스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646-65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quality of sleep in novice and experienced shift work nurses and compar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quality of sleep.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of 192 and 256 novice and experienced nurses, respectively. The quality of sleep, sleep hygiene, job stress, and fatigue were measured using Insomnia Severity Index, Sleep Hygiene Practice Scale,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and Fatigue Severit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to calculate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leep quality was lower in experienced nurses (12.55 ± 5.71) than in novice nurses (11.18 ± 5.78). Fatigue was more severe in experienced nurses (4.47 ± 1.13) than in novice nurses (4.23 ± 1.12). In the logistic regression, factors related to sleep quality in novice nurses were sleep hygiene (odds ratio; OR = 1.06, p < .001) and fatigue (OR = 2.49, p < .001). Factors related to sleep quality in the experienced nurses were also sleep hygiene (OR = 1.04, p = .001) and fatigue (OR = 1.53, p = .012). Conclusion: Sleep quality of experienced nurses is lower than those of novice nurses. Factors associated with sleep quality in novice and experienced nurses are equally identified as sleep hygiene and fatigue. Therefore, personal efforts to improve sleep hygiene, such as providing comfortable sleep environment, are needed. Furthermore, organized efforts to decrease fatigue, such as constructing a working environment with a bright light at night and providing a fatigue-decreasing program that includes meditation, are required.

소방공무원의 융합적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음악감상효과 (Effect of Music Listening on Convergent Job Stress of Fire-Fighter)

  • 백미례;김유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99-104
    • /
    • 2016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음악 감상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소방공무원 중 실험군 40명에게 총 10회의 음악 감상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대조군 40명은 각자 휴식하게 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연구이다.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교차분석으로 동질성 검정을 분석하였고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음악 감상의 효과는 t-test로 분석하였으며,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의 분포는 교차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별적 휴식을 취한 대조군에 비해 음악 감상을 실시한 실험군의 직무스트레스는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향후 음악 감상을 활용한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음악감상을 통해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현실적인 제도적 중재방안이 필요하다.

교정공무원의 자기자비 능력과 우울과의 관계: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자율성의 이중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Depression of Correctional Workers: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and Job Autonomy)

  • 김현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632-64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공무원의 자기자비 능력과 우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자율성의 단순 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교정공무원은 높은 스트레스와 우울을 경험하지만, 이들의 원활한 직무수행을 보호해줄 방안은 제한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근로자 21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기초통계와 매개효과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 model 6을 이용하였다. 주요변수 측정을 위해 한국판 자기자비, 한국판 직무스트레스, 우울 척도들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변수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둘째, 자기자비 성향과 우울 간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단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자율성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정공무원의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기자비에 대한 교육과 함께 직무자율성과 같은 업무의 자유도에 의해 상쇄될 수 있으며, 높은 직무자율성이 우울을 낮추는 보호 요인임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제언과 연구의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교정시설 종사자의 직무소진 영향 요인 (Determinants influencing on the Burnout of correctional workers)

  • 김도연;김현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560-56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시설 종사자들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2018년 2월에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9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포함되었다. 소진에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기 위하여 개인적 특성, 직무관련 특성, 직무스트레스, 대인관계 스트레스 요인을 주요변수로 구성하였다. 주요변수 측정을 위해 소진은 Baslach 소진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직무와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한국판 직무스트레스 척도(KOSS)와 한국판 대인관계 스트레스 척도(KIRS)를 사용하였다.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척도 간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p<.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모형에 따라 소진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하였을 때, 직무 스트레스(직무요구 ${\beta}=.308$, p<.001, 직무자율 ${\beta}=.124$, p<.001, 관계갈등 ${\beta}=.169$, p<.001), 대인관계 스트레스(상사와 관계 ${\beta}=.402$, p<.001, 보호대상자와 관계 ${\beta}=.155$, p<.01), 개인적 특성(성별 ${\beta}=.173$, p<.01) 순으로 나타났다. 4가지 모형을 비교한 결과 개인적 특성과 직무관련 특성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지만 높은 직무스트레스와 대인관계 스트레스로 인해 더 높은 소진을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교정시설 종사자들의 소진을 낮추기 위한 제언과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일 통계청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대한 예비 연구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y among Workers in A Regional Statistics Office : A Preliminary Study)

  • 이현수;윤보현;오은주;시영화;김경민;정하란;김문두;백만기;손은락;정자영
    • 정신신체의학
    • /
    • 제23권2호
    • /
    • pp.93-99
    • /
    • 2015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통계청 근무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에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예비연구이다. 방 법 일 지방통계청에 근무하는 직원 133명을 통계조사업무를 담당하는지에 따라서 통계조사군(n=109), 조사지원군(n=24)으로 구분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조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척도는 자가보고식 설문지인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척도 단축형(Short form of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SF), 스트레스 대처 방식 척도(Stress Coping Strategy, SCS)를 활용하였다. 결 과 KOSS-SF의 총점은 연령, 성별, 교육 수준, 결혼 상태와 관련이 없었으며 통계조사군과 조사지원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부영역으로는 직무자율결여,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의 4개 영역에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KOSS-SF와 SCS와의 관계에서는 KOSS-SF의 총점과 문제 중심 대처, 사회 지지 대처간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통계조사를 담당하는 통계청 근무자들은 조사지원을 하는 직원들에 비해 직무스트레스를 더 받았으며, 남녀 모두 공통적으로 관계갈등 영역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더 받았다. 스트레스 대처 방식 중에서는 문제 중심 대처와 사회 지지 대처를 사용하는 경우에 직무스트레스를 덜 느꼈다.

안전한 대학생활을 위한 제주지역 대학생들의 음주행동연구 (Drinking behavior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in Jeju for the safe campus life)

  • 김효실;이영아;김수진;채수경;임진형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7-14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rink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n Jeju for the safe campus life.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549 students in 4 universities in Jeju.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 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19.0 program. The questionnaire instruments consisted of Alcohol Use Disorders of Identification Test-Korea (AUDIT-K) an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adapted by Chon. Results: The alcohol consumption rate of participants accounted for 96.2%. The binge drinking rate in female students were 33.9% and that in male students was 29.5%. The result by scoring AUDIT showed that 30.7% of participants were normal drinking group, 36.0% were hazardous drinking group, and 33.3% were estimated alcohol abuse group. The average score of stress was 1.45 by Likert 4 point scale. The female students tended to have more stresses than male. The most important influencing factors on drinking behavior were the first alcohol drinking(${\beta}=-.250$, p< .001), gender(${\beta}=.202$, p< .001), and relationship problem(${\beta}=.116$, p < .05). Conclusion: The drinking rate of university students revealed higher than that in other age groups. So the early systematic education is strongly recommended to prevent the physical and mental side effects.

피부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및 공감만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Work Stress,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f the Estheticians)

  • 김나영;안미령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247-253
    • /
    • 2019
  • 본 연구는 피부미용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및 공감만족을 조사한 연구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서울지역과 경기도 지역의 268명 피부미용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KOSS의 24개 항목과 ProQOL의 소진과 공감만족 각 10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결과 한국의 직업적 스트레스 척도와 비교했을 때 상위 75%에 포함되었으며,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피부미용사들의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과 공감만족이 보통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피부미용사들의 소진이 결코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줄이는 방법을 찾는 데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