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Native heifer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초

소에서 Neospora caninum에 대한 항체가 조사 (Serological survey of antibody to Neospora caninum in cattle)

  • 허인;김영진;김희;허진회;박일규;강승원;정우석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14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Neospora caninum infection in dairy cow and Korean native cattle(KNC), raised in several Chungnam province.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antibodies to N caninum, a total of five hundred fifty six sera were analyzed by indirected fluorescent antibody(IFA) test. Five hundred thirty three sera were collected from fifteen dairy herds and twenty three sera were taken from fourteen KNC herds from December 1999 to November 2000. Seropositive ratio of the dairy cattle sera were individually or herdly tested and showed 64.2% and 93.3%, respectively. It was recorded with 78.6% and 47.8% in KNC. The seropositive ratio of dairy cattle was depended on the size of ranch. It was 92.2, 60.7 and 57.9% at the size of less than thirty, thirty to seventy and more than seventy one cattle, respectively However, it was different from the province of Chungnam. The seropositive ratio to N caninum of dairy cattle were 79.5, 53.1, 61.4 and 31.1% at Gongju, Yeongi, Geumsan and Cheongwon, respectively. It showed difference at the growth stage and sex of cattle. The seropositive ratios of N caninum of calf, heifer, premiparous, multiparous(2nd-5th), multiparous (6>th) and bulls confirmed to 25.0, 50.3, 70.3, 71.2, 50.0 and 50.0%, respectively. It was related with brucellosis in cattle. The infected ones with brucellosis were 75.7% of seropositive ratios to N caninu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N caninum infection was widespread in Chungnam province and confirmed existing with brucellosis in cattle.

  • PDF

한우에 있어서 초음파기기를 이용한 생체내 난자 채취에 관한 연구 II.난포란의 반복 채취가 난자 회수 및 발정주기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Ultrasound-guided Transvaginal Retrieval of Oocytes in Korean Native, Hanwoo Heifers II. Effects of Repeated Ovum Pick-up on Oocyte Recovery and Estrous Cycle)

  • 박성재;양보석;임기순;성환후;장원경;박충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3-88
    • /
    • 2000
  • 본 연구는 한우에 있어서 초음파기기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생체내 난자를 회수시 난자회수에 미치는 영향과 시술후의 난소 유착과 같은 부작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포란의 채란빈도에 따른 채란수에서는 주 2회 시술시 난포수는 8.7$\pm$4.2개로 주 1회 시술의 10.2$\pm$6.1개보다 다소 적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채란수도 각각 4.1$\pm$3.4개 및 4.3$\pm$2.9개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이 되지 않았다(P<0.05). 2. 반복적으로 9회 난포란을 채란한 경우 40개의 난소중 8개 (20%)가 유착이 발생하였으며 1~3 채란시 3개 (37.5%), 4~6 채란시 4개 (50%) 7~9회 채란시 1개(12.5%)가 유착이 발생하였다. 3. 반복적인 난포란 채란후 난소의 유착 여부에 따른 공란우의 발정주기를 조사한 결과 난소 유착을 보인 공란우의 8두중 7두(87.5%) 25일 이상의 장발정주기를 보였으며, 유착이 일어나지 않은 12두 중 정상 발정주기는 6두(50.0%), 단 발정주기는 1두(8.3%), 장발정주기는 5두(41.7%)였다.

  • PDF

한우에서 $PGF_{2{\alpha}}$ 투여에 의한 발정유도 후 난소 구조물 및 호르몬의 변화와 수태율 (Ovarian Structure and Hormonal Changes, and Conception Rate after Estrus Induction using $PGF_{2{\alpha}}$ in Korean Native Cows)

  • 박철호;류재선;유대중;박인철;김종택;서국현;오기석;손창호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33-139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useful inducing method of estrus for Korean native cows. Under the condition of estrus induction by administering $PGF_{2{\alpha}}$ for the cows in which corpus luteum (CL) in ovaries was detected by ultrasonography, ovarian responses and the changes of progesterone ($P_4$) concentration against $PGF_{2{\alpha}}$ compared with conception rate were observed in cows and heifers. In inducing estrus administering $PGF_{2{\alpha}}$. to the cows which has corpus luteum in ovaries, ovarian reponses, the changes of progesterone concentration, and conception rate were identified and compared. The results attained from the studies were as follows. Significant decreases of CL in size over time after $PGF_{2{\alpha}}$ administration were detected in both cow and heifer groups (p<0.001), but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in the CL regression rate (p>0.05). In addition, the percentage changes relative to the plasma $P_4$ concentration on day 1 after $PGF_{2{\alpha}}$ treatment were decreased to below 1ng/ml. The growth rate of follicle was observed as 31% on day 1 and 42% on day 2 in cows, and 34% on day 1 and 97% on day 2 in heifers, resulting that growth of heifers are faster than that of cows (p<0.05). The conception rate after $PGF_{2{\alpha}}$ treatment were 60.5% and 64.2% in cows and heifers, respectively. It also indicated that the conception rate after estrus observation with $PGF_{2{\alpha}}$ injection was as high as 66.6% while that with timed-artificial insemination (TAI) regardless of the estrus observation was 56%, which means the pregnancy rate of artificial insemination after estrus observ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AI (p<0.05). In the result of all above,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CL size and the plasma $P_4$ concentration by days but rapid growth in follicles, which has no differences in cows and heifers. The conception rate was commonly high after estrus observation and more than 50% under TAI.

한우 체외수정란이 이식된 수란우의 임신과 유산에 영향을 미치는 수정란측 요인 (Effect of Embryo Factors on Pregnancy and Abortion Rate after Transfer of In Vitro Produced Korean Native Cattle Embryos)

  • 박용수;김소섭;박흠대;박현정;김재명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9-9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한우 체외수정란의 이식에 있어서 수정란 측 요인들이 수란우의 임신과 유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식에 제공하는 배반포의 수량에 따른 임신율은 1개, 2개 및 3개 이식 군에서 각각 32, 44 및 $32\%$였고, 유산율은 $6.3\~13.6\%$로서 2개 이식군의 임신율과 유산율이 가장 높았으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배반포 등급에 따른 임신율은 $40.8\~44.2\%$, 유산율은 $9.4\~16.3\%$로서 유사한 경향이었다. 배반포의 발생 단계에 따른 임신율은 $39.1\%\~45.3\%$로서 비슷하였으나, 유산율은 HB군$(20.8\%)$이 LB군의 $9.0\%$에 비해서는 유의하게 높았다(p<0.05). 배반포의 발생일령에 따른 임신율은 배반포 $7\cdot7$일째와 $7\cdot8$일째가 각각 $47.1\%$$53.9\%$로서 $9\cdot9$일 및 $8\cdot9$일째(29.8 및 $R27.7\%$)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유산율은$8\cdot9$일령이 $30.8\%$로 가장 높았고 $7\cdot7$일령의 $10.1\%$와는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Influence of Dietary Addition of Dried Wormwood (Artemisia sp.) on the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Tissues of Hanwoo Heifers

  • Kim, Y.M.;Kim, J.H.;Kim, S.C.;Ha, H.M.;Ko, Y.D.;Kim, C.-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4호
    • /
    • pp.549-554
    • /
    • 2002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Korean native beef cattle) heifers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tissues of the heifers when the animals fed diets containing four levels of dried wormwood (Artemisia sp.). For the experiment the animals were given a basal diet consisting of rice straw and concentrate mixed at 3:7 ratio (on DM basis). The treatments were designed as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two feeding periods. Heifers were allotted in one of four dietary treatments, which were designed to progressively substitute dried wormwood for 0, 3, 5 and 10% of the rice straw in the basal diet. There was no difference in body weight gain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Feed conversion rate was improved (p<0.05) only by the 3% dried wormwood inclusion treatment compared with the basal treatment. Carcass weight, carcass yield and backfat thickness of all treatment groups were not altered by wormwood inclusion. The 5% dried wormwood inclusion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the size of loin-eye area over the other treatments. The higher levels (5 and 10%) of dried wormwood inclusion resulted in the higher (p<0.05) water holding capacity (WHC) in loin than the lower levels (0 and 3%) of wormwood inclusion. The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of meat color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in the top round muscle of heifers fed the diet containing 3% dried wormwood. There was a profound effect of the progressively increased intake of dried wormwood led to the linear increase of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and the linear decrease of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 the muscle tissues of Hanwoo heifers. It is concluded that the feeding diets containing dried wormwood substituted for equal weights of rice straw at 5% levels would be anticipated to provide better quality roughage for beef heifer production and economical benefits for beef cattle producers.

소의 수정란 이식에 있어서 수란우의 조건에 따른 수태율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s of some Factors affecting the Recipients to the Pregnancy Rate in Bovine Embryo Transfer)

  • 이정호;박항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4권
    • /
    • pp.109-113
    • /
    • 1986
  • 수정란이식에 있어서 수란우의 조건에 따른 수태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생수 14 ~24개월되는 젖소 처녀우 29두와 한우 처녀우 1두, 그리고 젖소 경산우 3두 계33두의 수란우에 morulae stage부터 advanced blastocyst stage의 수정란을 각각 1개씩 이식하여 이들 수란우의 연령, 이식된 계절, 반복사용 그리고 공란우와 수란우간의 발정동기화 시차 등에 따른 수태율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란우의 연령에 따른 수태율은 경산우가 100%로 좋았고 18개월 이상의 처녀우가 78%로 높았다. 14개월 이하의 어린 처녀우가 가장 나쁜 67%를 보였다. 2. 이식한 계절에 따른 수란우의 수태율을 보면 겨울(11월~1월)과 봄(2월~4월)이 각각 100%, 83%로 가을(8월~10월)의 50%보다 좋았다. 3. 1차 이식 후 불임된 수란우의 재사용에 따른 수태율은 1차에 사용된 31두 수란우 중 25두가 수태, 80.7%의 수태율을 보였으나 2차례 이용된 2두는 모두 임신되지 못했다. 4. 공란우와 수란우의 발정동기화의 시차에 따른 수태율은 -(before donor) 12 시간, -6 시간, +(after donor) 6시간, +12 시간, 그리고 +12시간 이상에서 각각 100%, 86%, 67%, 79% 그리고 50%로 공란우보다 빠른편이 수태율이 늦은 우군보다 높았고 ${\pm}12$시간 이내의 동기화된 우군에서 좋은 수태율을 보였다.

  • PDF

젖소 수정란 이식에 있어서 공란우로서 저수태우의 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Use of Repeat Breeders as Donors for Embryo Transfer in Dairy Cow)

  • 이정호;박항균;김형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4권
    • /
    • pp.102-108
    • /
    • 1986
  • 본 시험에서는 저수태우로 판단된 우수한 형질의 젖소를 공란우로 사용하여 과배란처리에 대한 반응 및 수태율에 영향을 주는 계절, 연령, 생식기관내의 이상유무 및 반복사용에 따른 반응을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른 봄(2월~4월)이 좋은 수정란 생산에 제일 좋았으며 수태율은 2월에서 7월까지는 좋았으나 그 이후 저하되었다. 2. 공란우 생식관내의 이상이 있는 경우는 과배란처리 반응 및 수태율이 예상대로 정상우보다 나빴다. 3. 8세우가 4세우보다 수태율이 높았고, 과배란처리 반응에서도 8세우가 4세우보다 약간 좋은 결과를 보였다. 4. 과배란처리 횟수가 많을 수록 첫 번째 과배란처리 보다 배란수(32:41) 및 수태율(68.4:85.7%)이 증가되었다.(단 3차반복까지) 5. 6두의 공란우에서 9회의 채란을 하여 좋은 수정란 38개를 생산했고, 이중 33개를 이식하여 25두가 임신되었다. 6. 본 실험에서 저수태우를 수정란 이식을 위한 공란우로 재이용하여 그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실히 제시하고 있다.

  • PDF

한우의 생리적인 최적 번식적령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timum Age of Physiological Reproduction in Korean Native Cattle)

  • 성환후;이연근;최선호;장원경;이장형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3-199
    • /
    • 2002
  • 본 연구는 한우의 생리적인 번식적령기를 구명하는 기초자료를 확보하여 조기번식에 따른 번식능력의 감소를 방지하고 한우 암소의 번식능력을 증진하여 농가의 소득증대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각 처리구당 4구로 나누어 총 32두를 공시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만후 송아지의 평균 생시 체중은 전 구간에서 평균 23.5$\pm$0.6kg으로 나타났으며 암송아지는 21.8$\pm$0.8kg에 비해 수송아지는 평균 25.0 $\pm$0.8kg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송아지 성장단계별 체중은 T2구에서 유의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따라서 송아지의 체중변화는 어미소의 영양상태에 따라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발정일령은 전 구간에서 평균일령과 평균체중은 각각 263.3$\pm$6.4일과 181.1$\pm$11.3일로 나타났다. 1회째 인공수정에 의한 수태율은 T1구에서 25%로 가장 낮았으며 T4구에는 75.0%로 가장 높았다. 수태당 종부회수는 T1와 T2구의 2.3, 2.4회에 비해 T3, T4구가 1.5회로 낮았다. 초임 월령별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T1구에서는 평균 66.2일, T2구에서는 76.7일, T3구에서는 62.4일, T4구에서는 68.5일이었으며 전 구간의 평균 발정재귀일수는 65.7일로 나타났다. 초발정 전후의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전 구간에서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즉, 혈중 progesterone 분비는 생후 12개월령이 지나야만이 전 개체에서 정상적인 호르몬 분비상태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12개월 이전에 난포의 배란과 정상 발정주기가 반복되는 개체는 총 32두중 5두만(15.6%)으로 확인되었다. 임신기간중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임신 중기 이후에 비해 착상과 태반형성이 이루어지는 시기인 임신 초기에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며 임신중기에는 다소 감소되었다. 분만 전후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전 구간에서 분만 7일전부터 급격하게 감소되었으며 분만후부터 포유 약40일까지 progesterone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며 분만후 35일부터 본격적으로 progesterone이 분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분만후 정상 발정주기의 반복은 분만후 약 40일 이후 비로소 시작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한우의 초임유도시 최적 초임시기의 결정요소는 14개월령과 체고 약 110cm, 체중 약 265kg 정도의 3가지 요건을 갖춘 후 초임유도를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