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osmetic

검색결과 2,225건 처리시간 0.028초

Contact lens care system의 미생물 오염 (Microbial contamination in contact lens care systems)

  • 김상문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7-63
    • /
    • 1996
  • Soft contact lens 착용자 40명의 lens 관리체계와 결막의 미생물 오염을 조사하였다. Contact lens 착용자의 연령은 19-27세(평균22세)로 대부분 hydrogel contact lens를 1년 이하 착용하고 있었고 lens case의 사용기간은 1주-3개월 43%, 4-6개월 52%였다. lens의 소독은 27명(67%)이 화학소독을 실시하고 있었고, hydrogen peroxide와 열소독은 각각 8명(20%), 5명 이었다. Rinsing solution의 경우 14명이 시판되는 nonpreserved saline을, 26명(65%)은 preserved saline을 사용하고 있었다. Lens case 및 결막의 세균오염률은 각각 62%, 17%로 lens case의 세균오염률이 가장 높고 unpreserved saline(8/14), chemical(5/27), 그리고 결막순이었다. 진균 오염율은 lens case 및 결막에서 각각 67%, 15%이였고, 주로 lens case, unpreserved saline, 결막에서 오염이 심했다. Hydrogen peroxide 소독은 화학소독의 경우보다 hydrogen peroxide 용액 자체는 오염률이 현저하게 낮았으나 hydrogen peroxide 소독에 의한 contact lens 관리체계는 오염률에 있어서 다른 소독방법을 사용하는 관리체계와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Pseudomonas aeruginosa는 각각 5개의 lens case(l3%)와 2개의 결막(5%)에서 또 Candida albicans는 11개의 lens case(27%)와 5개의 결막(12%)에서 각각 분리되었으며, 오염원 lens case와 결막으로부터 각각 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 Candida dlbicans, Aspergillus fumigatus와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Aspergillus fumigatus가 분리 확인되었다. 조사대상중 Acanthamoeba의 오염은 확인되지 않았다.

  • PDF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 is an Environmental Stress Factor by Exerting Oxidative Stress

  • Park, Yong-Jin;Park, Won-Joo;Yim, Sung-Hyuk;Yang, Seong-Jun;Sun, Yuan Lu;Jeong, Ji-Hoon;Park, Eon-Sub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5권1호
    • /
    • pp.58-64
    • /
    • 2007
  • The previous study reported the biological effect of magnetic field exerted by acting on endocrine and anti-oxidant system. The present study aims to study whether ELF-MF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 affects the physiological endocrine systems such as thyroid and whether ELF-MF affects the defense system against oxidative stress when it alters the function of thyroid. Finally, we correlate the effects of MF on oxidative stress, and adrenal and thyroid with an environmental stress factor. We exposed sham or MF to rats for 5 or 25 days. After the exposure, we determined pain sensitivity, level of TSH, $T_3$ and free $T_4$ in plasma. We also assayed in whole brain, lipid peroxidation, the activity of enzymatic anti-oxidant defense including superoxide dismutase(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and non enzymatic defense such as reduced or oxidized glutathione contents. MF induced the hypersensitivity to thermal stimuli with the reduction of latency. $T_3$ and $T_4$ levels were also increased by the exposure of MF. In addition, we observed the rise of MDA level in rat brain by MF although the MF did not change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The effect of MF on both reduced and oxidized glutathione results in decrease in reduced or oxidized glutathione in whole brain. In every experi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F influence between short term (5 days) and long term (25 days) exposure. Taken together, MF exposure affects the thyroid hormonal control in brain. The elevated thyroid hormone acts on brain, leading to hyper-utilization of oxygen. This phenomenon may be correlated with oxidative stress resulting from MF exposure.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MF exposure may be an environmental stress by exerting oxidative stress.

활성 RAW 264.7 세포에서 항염증 및 자외선 유도 마우스 피부손상의 개선에 대한 새송이 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Pleurotus eryngii extract against inflammation in activated RAW 264.7 cells and UV-induced skin damage in mice)

  • 조병옥;윤홍화;이현서;추정임;장선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90-96
    • /
    • 2017
  • 본 연구는 먼저 새송이버섯 추출물인 PEE가 활성화된 면역세포에서 항염증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 PEE를 처리했을 때 5과 15 mg/mL 등 높은 농도에서 NO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리고 LPS가 유도하는 $IL-1{\beta}$와 IL-6는 5 mg/mL 농도에서는 억제 없었으나, 15 mg/mL 농도에서 현저히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다음은 UVB가 유도하는 C57BL/6 마우스 피부손상에 대한 PEE의 개선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PEE를 7일간 경구투여한 후 7일, 10, 13일 등 3일 간격으로 하루에 1회씩 UVB ($250mJ/cm^2$)로 마우스 등 피부에 조사하여 피부손상을 유발하였다. UVB 조사 후부터는 PEE를 경구투여와 함께 피부에 도포하여 PEE가 피부 손상에 대한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EE 투여군은 UVB로 유도되는 표피두께, 홍반지수 및 멜라닌 지수가 참고약물로 사용한 비타민 C(AA) 투여군과 유사한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PEE 투여군은 UVB가 유도하는 비만세포를 비롯한 염중세포 침윤이 현저히 억제되는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PEE는 항염증 효과와 더불어 UVB가 유도하는 피부손상을 개선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어 기능성 식품소재 및 화장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의 합성섬유 보강재 적용에 따른 구조적 성능 평가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of precast concrete segment using synthetic fibres)

  • 이호성;김창용;이승원;김승준;이경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469-483
    • /
    • 2018
  • 쉴드TBM 터널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라이닝의 보강재로 철근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철근 보강량을 줄이기 위하여 섬유보강재를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세계적으로 터널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강섬유보강재를 적용한 연구와 시공이 진행되어 왔으나, 터널 라이닝 방수막에 대한 펀칭, 자체 부식에 의한 내구성 및 미관상의 문제로 인하여 이에 대한 적용이 국내에서는 미뤄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합성섬유가 강섬유의 대체제로 주목 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섬유(강섬유, 합성섬유) 보강재를 사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의 파괴시험을 통하여 성능을 분석하여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강섬유와 합성섬유의 조합이나 합성섬유의 혼입량에 따라 보조철근의 대체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활성 및 여드름 피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nax Notoginseng Flos extract on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Acne skin)

  • 김송이;리순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3-5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피부 세포 독성, 항염증을 확인하고, 삼칠화 함유 화장품을 여드름 피부에 적용하여 수분, 홍반, 모공, 블랙헤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ial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높은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은 RAW 264.7 세포에 대한 독성이 적었고,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주간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이 3% 함유된 스킨 토너와 스팟 솔루션을 여드름 피부에 적용한 결과, 수분 증가와 홍반지수, 눈에 띄는 모공수, 블랙헤드 감소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사용 후 만족도 조사에서 피지량 감소, 붉음증 완화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삼칠화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으며, 여드름 관리용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셀룰로오즈 첨가에 따른 미용용 하이드로겔의 물성 연구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smetic hydrogels affected by adding various celluloses)

  • 변홍주;최원석;이향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702-708
    • /
    • 2018
  • 하이드로겔은 다량의 물과 화장품용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는 천연고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내부의 친수성기들이 활성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어 화장품 소재로 즐겨 사용되고 있다. 화장품용 하이드로겔에 첨가하는 소재로 셀룰로오스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파우더 형태의 셀룰로오스와 면섬유 및 셀룰라아제를 처리한 면섬유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셀룰로오스를 하이드로겔에 적용했을 경우 하이드로겔의 물성변화 및 외관변화를 조사해 보았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셀룰로오스 파우더를 하이드로겔에 첨가하였을 경우 예상과 달리 하이드로겔의 인장강도가 상당히 저하되는 결과를 보였다. 첨가하지 않았을 때 대비 0.1%와 0.3%의 셀룰로오스 파우더를 첨가한 시료는 각각 10%, 14%의 인장강도 저하현상을 보였다. 이와는 다르게 면섬유를 0.1 ~ 0.3% 첨가하였을 경우 하이드로겔의 강도가 약 20% 증가함을 보였다. 그러나 길이가 긴 면섬유는 뻣뻣하여 하이드로겔에 혼합시 분산성에 문제를 보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면에 셀룰라아제를 처리함으로써 효소-분해 반응을 통해 섬유의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또한 효소 처리된 면섬유를 하이드로겔에 첨가하여 보습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셀룰라아제를 처리한 면섬유를 함유한 하이드로겔은 처리하지 않은 면섬유-하이드로겔 대비 380% 증가된 보습성을 보였으며 또한 혼합 가공시 우수한 분산성을 보였다.

능실의 항산화, 항염증 및 방부 효과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Preservative features Water Chestnut)

  • 장혜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633-642
    • /
    • 2018
  • 본 연구는 70 % 에탄올 추출물에서 추출한 Water Chestnut의 항산화, 항 염증 및 방부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RAW 264.7 세포를 사용하여 조사한 마름열매 추출물의 독성은 세포 생존율의 90 %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폴리페놀 추출물의 총 함량은 $353.1{\pm}5.6mg/g$이었고 플라보노이드 총 함량은 $26.2{\pm}1.4mg/g$이었다.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1, 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라디컬 감소는 마름 열매 추출물 농도 $1{\sim}1000({\mu}g/m{\ell})$범위에서 각각 $17.0{\pm}2.8%{\sim}88.6{\pm}0.6%$의 감소효과를 보였고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라디칼의 제거 범위는 각각 $2.3{\pm}0.8%{\sim}93.9{\pm}0.2%$ 였다. 활성 산소종 (ROS)에서의 효과는 1, 10, $100({\mu}g/m{\ell})$, $100{\mu}g/m{\ell}$ 농도에서 p <.01의 유의 한 감소를 보였다. 1, 10, $100({\mu}g/m{\ell})$ 농도의 Nitric Oxide (NO) 생성량을 측정 한 결과, 유의 한 (p <.001, p <.01)의 감소가 나타났다. 미생물에의 방부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페이퍼 디스크를 사용하는 항 박테리아 기능과 페트리 필름을 사용하는 방부제 특성에 대해서는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제주산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의 항염 및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Jeju rosemary essential oil against skin flora)

  • 김소희;이미란;김창수;김정미;부희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744-756
    • /
    • 2018
  • 본 연구는 제주산 자생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의 항염 및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은 물 증류법으로 추출하였다.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의 항염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와 $PGE_2$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Western blot 실험을 통해 이들을 생합성하는 효소인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염증성 cytokine인 TNF-${\alpha}$와 IL-6의 생성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항생제 내성균주 각 2종을 포함한 S. epidermidis 3종, P. acnes 3종에 대한 항균 활성을 실험한 결과, paper disc법에서 저해환이 관찰되었고, MIC, MBC 실험을 통하여 균생육 저해와 사멸를 확인하였다. 위의 실험 결과로부터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의 항염증, 항균 효능을 확인 하였으며 향후 화장품 및 스킨케어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etrahydrobiopterin Inhibits PDGF-stimulated Migration and Proliferation in Rat Aortic Smooth Muscle Cells via the Nitric Oxide Synthase-independent Pathway

  • Jiang, Xiaowen;Kim, Bo-Kyung;Lin, Haiyue;Lee, Chang-Kwon;Kim, Jung-Hwan;Kang, Hyun;Lee, Pil-Young;Jung, Seung-Hyo;Lee, Hwan-Myung;Won, Kyung-J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4권3호
    • /
    • pp.177-183
    • /
    • 2010
  • Tetrahydrobiopterin (BH4), an essential cofactor for nitric oxide synthase (NOS) activity, is known to play important roles in modulating both NO and superoxide production during vascular diseases such as atherosclerosis. However, the role of BH4 in functions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is not fully known. In this study, we tested the effects of BH4 and dihydrobiopterin (BH2), a BH4 precursor, on migration and proliferation in response to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BB (PDGF-BB) in rat aortic smooth muscle cells (RASMCs). Cell migration and proliferation were measured using a Boyden chamber and a 5-bromo-2'-deoxyuridine incorporation assay, respectively, and these results were confirmed with an ex vivo aortic sprout assay. Cell viability was examined by 2,3-bis [2-methoxy-4-nitro-5-sulfophenyl]-2H-tetrazolium-5-carboxanilide assays. BH4 and BH2 decreased PDGF-BBinduced cell migration and prolifer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inhibition of cell migration and proliferation by BH4 and BH2 was not affected by pretreatment with $N^G$-nitro-L-arginine methyl ester, a NOS inhibitor. Moreover, the sprout outgrowth formation of aortic rings induced by PDGF-BB was inhibited by BH4 and BH2. Cell viability was not inhibited by BH4 and BH2 treatment.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BH4 and BH2 may inhibit PDGF-stimulated RASMC migration and proliferation via the NOS-independent pathway. Therefore, BH4 and its derivative could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a candidate molecule with an NO-independent anti-atherosclerotic function.

표면 오염시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재질에 따른 가시광선투과도 및 표면 변화 (Changes in Optical and Surface Properties of Contaminated Soft Contact Lenses)

  • 김정은;정보영;노혜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3-89
    • /
    • 2012
  • 목적: 본 연구는 아이메이크업에 침지된 소프트콘택트렌즈의 가시광선투과도와 표면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눈 화장에 사용되는 4가지 종류의 아이메이크업에 침지된 시간에 따라 etafilcon A(이하 HEMA를 기초로 한 하이드로겔 제품)렌즈와 lotrafilcon B(이하 실리콘을 기초로 한 하이드로겔 제품)렌즈의 가시광선투과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1주일간 지속적으로 아이메이크업에 침지된 렌즈를 다목적용액(MPS)을 이용한 세척 후 가시광선 투과도 및 표면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각각의 렌즈를 아이메이크업에 침지시켰을 때 30분 후의 가시광선 투과도는 평균 93.4%(HEMA를 기초로 한 하이드로겔 제품), 90.0%(실리콘을 기초로 한 하이드로겔 제품)로 각각의 대조군의 가시광선투과도(97.8%, 96.4%)와 비교하여 감소하였다. 1주일간 지속적으로 가루 아이섀도우와 마스카라에 침지된 렌즈는 모두 세척 후에도 부착된 아이메이크업 잔여물이 완전하게 제거 되지 않았다. 특히, silicone 계열의 렌즈에서 잔여물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감소된 가시광선 투과도 및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한 표면 결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아이메이크업에 침지된 콘택트렌즈의 경우 렌즈의 소재와 아이메이크업의 소재에 따라 일반적인 세척방법으로는 아이메이크업이 제거되지 않았고 이는 렌즈 표면의 변화와 렌즈의 가시광선 투과도 저하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