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lmogorov-Smirnov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8초

Goodness-of-fit Tests for the Weibull Distribution Based on the Sample Entropy

  • Kang, Suk-Bok;Lee, Hwa-J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7권1호
    • /
    • pp.259-268
    • /
    • 2006
  • For Type-II censored sample, we propose three modified entropy estimators based on the Vasieck's estimator, van Es' estimator, and Correa's estimator. We also propose the goodness-of-fit tests of the Weibull distribution based on the modified entropy estimators. We simulate the mean squared errors (MSE) of the proposed entropy estimators and the powers of the proposed tests. We also compare the proposed tests with the modified Kolmogorov-Smirnov and Cramer-von-Mises tests which were proposed by Kang et al. (2003).

  • PDF

신용평가모형에서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 검정기준의 문제점 (Some Issues on Criterion for Kolmogorov-Smirnov Test in Credit Rating Model Validation)

  • 박용석;홍종선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5권6호
    • /
    • pp.1013-1026
    • /
    • 2008
  • 신용평가모형의 판별력에 대한 적합성 검정방법으로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K-S) 통계량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K-S 통계량을 통한 모형의 판별력 판단기준으로는 표본수에 의존하는 K-S 검정통계량의 임계값보다 매우 큰 기준인 $0.3{\sim}0.4$의 수준이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모의실험을 통해 일반적 판단기준의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모의실험 결과 국내에서 개발된 대부분의 신용평가모형의 결과를 바탕으로 구한 K-S 통계량은 현재 적용하고 있는 판단기준보다 큰 값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어떠한 신용평가모형 이라도 좋은 판별력을 갖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본크기와 불량률 그리고 제II종 오류율에 따른 대안적인 임계값을 제안한다.

Weibull분포(分布)에 의한 직경분포추정(直徑分布推定)에 관한 연구(硏究) - 동해안일대(東海岸一帶) 해송림(海松林)을 중심(中心)으로 - (Estimating Diameter Distribution with the Weibull Distribution -Case of Korea Black pine (Pinus thunbergii) Stands on the Eastern Sea Coast of Korea-)

  • 윤종화;조현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420-426
    • /
    • 1991
  • 강원도 동해안 일대 유명피서지 (16개소)에 분포하고 있는 해송림(海松林)의 합리적 사업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하고자 Weibull분포(分布)를 이용하여 직경분포(直徑分布)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강원도 동해안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해송림(海松林)의 평균흉고직경(平均胸高直經)은 10.3cm이며 각 지역별 평균직경(平均直徑)은 6.9-14.6cm로 나타났다. 2. Weibull 분포(分布)의 모수(母數)는 각 지역별로 추정되었으며, 전지역에 대한 모수는 a=5, b=5.6997, c=1.4079로 추정되었다. 3. 직경분포(直徑分布)의 추정치와 실측치를 Kolmogorov-Smirnov법에 의하여 검정한 결과, 5% 유의수준에서 잘 적합하였다.

  • PDF

Weibull 분포 모형을 이용한 굴참나무 임분 재적 및 탄소저장량 추정 (Prediction of Stand Volume and Carbon Stock for Quercus variabilis Using Weibull Distribution Model)

  • 손영모;표정기;김소원;이경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599-60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굴참나무 임분의 직경분포와 ha당 재적 및 탄소량을 추정하는데 있다. 영급과 임분구조를 고려하여 굴참나무 임분에서 354개소를 조사하고 시료를 수집하였다. 임령에 따른 직경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Weibull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모수의 추정은 단순적률법(Simplified method-of-moments)을 이용하였다. 사용된 자료 중에서 80%는 모형개발에 사용하였고, 나머지 20%는 개발된 모형의 검정에 사용하였다. 모형의 검정에는 적합도지수(Fitness Index)와 평균오차제곱(Root Mean Square Error), Kolmogorov-Smirnov 통계치가 이용되었다. 검정자료에서 추정된 지위지수, 수고, 재적식의 적합도지수는 각각 0.967, 0.727, 0.988이고 평균오차제곱은 2.763, 1.817, 0.007이며, Weibull 모형의 Kolmogorov-Smirnov 적합도는 75%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형에서 50년생의 굴참나무임분이 14의 지위지수와 697본의 분수를 나타내는 경우, 재적은 $188.69m^3/ha$이고 지상부 탄소량은 90.30 tC/ha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활엽수 수종에 대한 생장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고 굴참나무 탄소량 추정에 활용이 가능하다.

신용평가에서 두 분포의 동일성 검정에 대한 수정통계량 (Modified Test Statistic for Identity of Two Distribution on Credit Evaluation)

  • 홍종선;박하수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2호
    • /
    • pp.237-248
    • /
    • 2009
  • 신용평가 연구에서 부도와 정상의 분포함수들의 동일성을 검정하는 비모수적 방법으로 Kolmogorov-Smirnov 검정법 이외에 Clamor-Yon Mises, Anderson-Darling, Watson 검정방법을 소개한다. 부도와 정상의 분포함수들의 선형결합된 부도율의 분포함수에 관한 전체적인 정보는 파악되어 잘 알고 있다. 모집단의 분포함수를 알고 있다는 가정 하에 Clamor-Von Mises, Anderson-Darling, Watson 검정통계량의 수정통계량을 제안한다. 신용평가자료와 유사한 성격을 갖는 다양한 부도율의 확률분포로부터 스코어를 생성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정통계량을 비교 토론한다.

한국 확률강우량도 작성을 위한 수문해석방법 개발 (A Programming of Hydrologic Analysis Procedure for the Probable Isohyetal Chart in Korea)

  • 이원환
    • 물과 미래
    • /
    • 제20권2호
    • /
    • pp.139-150
    • /
    • 1987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확율강우량도 작성을 위한 수문해석기법을 개발제시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강우량계열의 적정분포형검정과정에서는 변수변환정규분포(Y-k법)등 11개의 연속확율분포형을 적용하였으며, 각 지속기간별 연최대강우량자료에 대한 수문해석을 실시하였다. 최적분포형 선정을 위한 적합도검정은 $-test와 Kolmogorov-Smirnov test에 의거하였으며 계급구간은 등간격으로 취하였다. 서울, 인천, 부산 및 광주지점의 강우지속기간 10분, 60분, 6시간 및 24시간에 대한 연최대 강우량에 각종 확율분포를 적용하고, 분포형의 적용상 특성과 강우량 자료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확율분포형을 설정하였다. 이와같은 해석기법으로 설정된 최적확율분포형은 종전의 방법으로 얻어진 적정분포형 보다도 자료면에서 확장된 자료집단일 뿐 아니라 확대검정된 합리적인 결과라고 생각된다.

  • PDF

신용평가모형에서 두 분포함수의 동일성 검정을 위한 비모수적인 검정방법 (Nonparametric homogeneity tests of two distributions for credit rating model validation)

  • 홍종선;김지훈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0권2호
    • /
    • pp.261-272
    • /
    • 2009
  • 신용평가모형에서 두 집단의 판별력 검정방법 중의 하나로 두 분포함수의 동일성 검정을 위한 비모수적인 Kolmogorov-Smirnov (K-S) 검정방법이 대표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용평가모형에서 두 분포함수의 동일성 검정을 위하여 K-S 검정 방법 외에 Cramer-Von Mises, Anderson-Darling, Watson 검정방법들을 소개하고 Joseph (2005)의 기준에 대응하는 판단기준을 제안한다. 또한 신용평가 자료와 유사한 상황 하에서의 모의실험을 통해서 불량률, 표본크기 그리고 제II종 오류율을 고려한 대안적인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그 적용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 PDF

포괄간호서비스 병원 시범사업이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on the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among Nurses)

  • 연영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17-323
    • /
    • 2015
  • 본 연구는 보건사회복지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포괄간호서비스 병원 시범사업이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연구자의 편의추출에 의하여 S시에 소재한 시범사업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표적 모집단으로 하였다(실험군 57명, 대조군 55명). 자료는 시범사업 시행 후 1개월과 6개월 시점에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i}^2$ test, t-test, Kolmogorov-Smirnov test, 공변량분석으로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간호업무성과,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에 있어서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포괄간호서비스 병원 사업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자유로운 문자열의 키스트로크 다이나믹스를 활용한 사용자 인증 연구 (A Study on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Keystroke Dynamics of Long and Free Texts)

  • 강필성;조성준
    • 산업공학
    • /
    • 제25권3호
    • /
    • pp.290-299
    • /
    • 2012
  • Keystroke dynamics refers to a way of typing a string of characters. Since one has his/her own typing behavior, one's keystroke dynamics can be used as a distinctive biometric feature for user authentication. In this paper, two authentication algorithms based on keystroke dynamics of long and free texts are proposed. The first is the K-S score, which is based on the Kolmogorov-Smirnov test, and the second is the 'R-A' measure, which combines 'R' and 'A' measures proposed by Gunetti and Picardi (2005). In order to verify the authentication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s, we collected more than 3,000 key latencies from 34 subjects in Korean and 35 subjects in English. Compared with three benchmark algorithms, we found that the K-S score was outstanding when the reference and test key latencies were not sufficient, while the 'R-A' measure was the best when enough reference and test key latencies we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