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lb's learning style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6초

The Influence of Learning Styles on a Model of IoT-based Inclusive Education and Its Architecture

  • Sayassatov, Dulan;Cho, Namjae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6권5호
    • /
    • pp.27-39
    • /
    • 2019
  • The Internet of Things (IoT) is a new paradigm that is revolutionizing computing. It is intended that all objects around us will be connected to the network, providing "anytime, anywhere" access to information. This study introduces IoT with Kolb's learning style in order to enhance the learning experience especially for inclusive education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where delivery of knowledge is not limited to physical, cognitive disabilities, human diversity with respect to ability, language, culture, gender, age and of other forms of human differences. The article also emphasizes the role of learning style as a discovery process that incorporates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 solving and learning. Kolb's Learning Style was chosen as it is widely used in research and in practical information systems applications. A consistent pattern of finding emerges by using a combination of Kolb's learning style and internet of things where specific individual differences, learning approach differences and IoT application differences are taken as a main research framework. Further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by using this combination to IoT architecture and smart environment of internet of things. Based on these suggestion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oposed.

이공계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의 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Styl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cience and engineering)

  • 전미애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40-266
    • /
    • 2013
  • 본 연구는 평생학습자로 살아가야 할 이공계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의 특성을 알아보고,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의 관계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충남의 H대학교 이공계열 전공 학생 142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검사와 Kolb 학습유형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전체 평균점수가 3.41로 나타나 Guglielmino & Guglielmino(1993)의 점수해석을 기준으로 할 때, 연구대상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는 '평균'으로 볼 수 있다. 자기주도학습준비도의 하위영역별 통계치를 보면,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습에 있어서의 독립심과 자발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 학생의 Kolb 학습유형 4가지 기본척도 분석결과 능동적 실험(AE)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추상적 개념화(AC)의 평균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이공계열 전공 대학생들은 Kolb 4가지 학습유형 중 확산형을 선호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았고, 수렴형은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준비도의 하위변인과 Kolb 학습유형 기본척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다음과 같다. (1) 학습기회의 개방성, 배움에 대한 사랑이 구체적 경험과 관계가 있었다. (2) 학습기회의 개방성, 효율적이고 독립적인 학습자로서의 자아개념, 학습에 있어서의 독립심과 자발성, 배움에 대한 사랑, 미래지향성이 추상적 개념화와 관계가 있었다. (3) 학습에 있어서의 독립심과 자발성, 창의성이 반성적 성찰과 관계가 있었다. (4) 학습에 있어서의 독립심과 자발성, 미래지향성이 능동적 실험과 관계가 있었다. 넷째, 연구대상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평균점수를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Kolb 학습유형과 비교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교수방법 선호도와 Kolb의 학습유형 (The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and Kolb's Learning Styles of Nursing Students)

  • 우정희;박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339-348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교수방법 선호도와 학습유형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5년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D시에 소재하는 일개대학의 간호대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시행하였다. 학습유형은 적응자가 60명(34.5%)으로 가장 많았으며, 수렴자 59명(33.9%), 융합자 28명(16.1%), 분산자 27명(15.5%) 이었다. 교수방법 선호도를 살펴보면, 토론교수법이 7.2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직접교수법은 7.26점, 동료 교수법이 7.22점으로 높았다. 독립학습 교수법은 6.54점, 프로젝트 교수법은 6.25점, 공학중심 교수법은 5.77점, 교수게임 교수법은 5.45점으로 평균정도였으며 시뮬레이션 교수법은 4.23점으로 가장 낮았다. 교수방법 선호도에 따른 학습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유형은 Flipped learning을 경험한 경우는 적응자가 35명(46.1%), 그렇지 않은 경우는 수렴자가 46명(46.9%)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습유형의 분석은 교수자의 수업운영 전략을 계획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수학영재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초등학교 3학년 영재학생들의 학습유형 변화 분석 (An Analysis on Change of Learning Styles of Third Grade Gifted Students by Applying the Gifted Mathematics Program)

  • 유미경;장혜원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09-62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영재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영재학생들의 학습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수학영재프로그램 구성을 위해 프로그램의 특성 및 다양성에 대한 함의점을 얻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영재교육을 처음 접하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 53명을 대상으로 총 9차시의 수학영재프로그램 적용 전 후에 있어 Kolb의 학습유형 검사지를 적용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연구 대상의 학습유형 변화를 파악하였다. 변화 특징으로 주목할 것은 조절형과 동화형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에 반해 확산형은 증가했고 수렴형은 감소했다는 점이다. 또한, 전체 연구 대상의 구체적 경험(CE)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아졌음을 보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 기초한 논의로부터 수학영재프로그램의 특성에 대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국내·외 학생조종사들의 비행훈련 학습양식 비교 연구: Kolb 학습양식 모델을 적용하여 (A Comparison Study of College Student Pilots' Learning Styles in Flight Training School: applying Kolb's Learning Style Model)

  • 황재갑;이근영;윤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97-207
    • /
    • 2021
  • 국내 대학 부설 비행훈련원의 학생조종사를 대상으로 Kolb 학습양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며, 다양한 생각과 상상력이 풍부한 학습양식인 확산자 학습양식으로 비행훈련과정에 입과(100%)하여 학년이 올라가면서 조절자(11.1%)나 융합자(15.9%) 학습양식으로 일부 전이가 일어나나 비율이 낮고 4학년이 되어도 대부분(71.4%) 확산자의 학습양식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국 학생조종사의 경우, 1학년에 융합자(35.5%)와 수렴자 학습양식(24.3%)이 다수를 차지하고 고학년이 될수록 엔지니어 또는 기술자에게서 나타나는 수렴자의 비중이 확대되었다. 중국 학생조종사의 경우는 1학년에서는 융합자(41.5%)와 수렴자(28.4%)가 대부분이었으나, 고학년이 될수록 융합자와 수렴자의 비중이 감소하고 우리나라와 유사한 확산자의 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학년의 경우, 조절자는 1학년과 비슷한 수준이나 융합자는 지속적으로 감소(1학년 41.5%, 4학년 27.0%)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생조종사의 학습양식이 엔진니어나 기술자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학습양식인 수렴자가 아닌 확산자 학습양식이며 4년 동안 학습양식의 변화가 없게 분석되었다. 향후 국내 비행훈련원 비행훈련 과정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위생과 재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비교과 교육에 대한 수요 비교 (A study on the demands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extracurricular programs, according to learning style)

  • 김명은;김희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047-1058
    • /
    • 2019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xtracurricular program needs according to the learning styl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o develop and organize non-subject programs that strengthen student competencies.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dental hygiene students from three colleges located in Chungbuk, Chungnam, and Ulsan, respectively. The survey tools were composed of learning style, a non-subject field, and non-subjec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astly, 313 data points were analyzed. Results: Learning styles of subjects were as follows: assimilators, divergers, convergers, and accommodators, at 44.6%, 33.0%, 16.0%, and 6.4%, respectively. Preference of the non-subject field, according to learning style, showed that accommodators were higher than divergers on startup, and the differenc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Preference of non-subjec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ccording to learning style, shows that both divergers and convergers prefer special lectures, while assimilators prefer tours, and convergers prefer experience/exercise. The results had achiev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dental hygiene students had different learning styles, and their learning methods varied depending on learning style. Therefore, a method should be identified to develop and run non-subject programs suitable for each learning style.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 스타일과 교육 방법이 미치는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Learning Style and Instructional Method in Cyber-home Learning)

  • 한희섭;한선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81-89
    • /
    • 2011
  • 사이버가정학습은 학습자의 학습 영역을 가정으로 확산해 가는 것이 근본 취지이지만, 학교교육과 연계되지 못하면 그 실효성이 미미하다는 것이 연구학교 교사들의 지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함에 있어서 학교교육과 연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learning) 교육방법과 학습 스타일 등 학습자의 학습 요소가 학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해보았다. 사전검사결과 사회과의 학력에 차이가 없는 두 개 학급을 선정해 1학기동안 순수한 사이버학습과 블렌디드 학습의 두 형태로 운영을 해보고, 학력 향상에 미친 요소들의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검정해보았다. 그 결과 학습 방법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여주었고, 다음으로 Kolb의 학습 스타일에서 구체적 경험을 중시하는 학습 스타일과 반성적 관찰을 중시하는 학습 스타일의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학교교육과 적극적으로 연계되어 활용되어야 하며, 학습자들의 학습 스타일에 맞추어 적합한 학습 콘텐츠가 마련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 PDF

플립러닝 교수법을 통한 공과대학 학생들의 학습양식 및 선호교수법 변화의 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Learning Styles and Preferred Teaching Styles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through Flipped Learning Methods)

  • 한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40-4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hanging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preferred teaching styles after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method to engineering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study were conducted. The subject of application of the flipped learning method is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ology' class, which is one of the specialized liberal arts subjects operated for students of the college of engineering at D university in Gyeonggi-do. For the survey study, a tool adapted to the domestic conditions of Kolb's learning style test tool and Felder & Silverman's preferred teaching style test tool was used. In addition,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measure changes in the learning styles and preferred teaching style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method for one semester, the learning style showed a tendency to change from an accommodative to a divergent learn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ferred teaching styl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organization and the area of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a proposal for a follow-up study was presented.

국내 간호학과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선호하는 학습방법과의 관계 (Learning Styles and Preferred Learning Method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안경주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3-22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learning styles and preferred learning method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Korea.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724 nursing students at five universities in Seoul, Busan, Daegu, Daejeon, and Gwangju. Kolb's Learning Style Inventory,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mpleted. Result: Learning styles of nursing students were diverger 43.5%, accommodator 36.7%, assimilator 10.8%, or converger 9.0% Learning sty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related to preferred future clinical practice area and grade. Furthermore, active experimentation(AE) learning mod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rade. Concrete experience(CE), conceptualization(AC), and active experimentation(AE) learning mod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referred future clinical practice area. preferred learning methods were lecture 40.7%, clinical practice 37.2%, self-directed learning 8.7%, laboratory practice 8.0%, and group discussion 5.4%. Preferred learning metho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learning styles and grade. Lecture was preferred in diverger and assimilator. Clinical practice was preferred in accommodator and converger. Style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nursing education should be applied to nursing students after examining learning styles and preferred learning methods. In conclusion, nursing educators should help to develop various learning modes for student's balanced learning capabilities.

  • PDF

문제중심학습 교육을 받고 있는 간호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참여도와 학업성취도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y Learning Styles in Problem Based Learning)

  • 김지윤;최은영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0-206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nursing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relationship of learning style to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Metho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nursing students in C college learning through problem based learning (PBL).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Kolb's learning styles. Performance evaluation and paper examination were used to evaluate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Most of the students had converger type learning style. Student with a tendency to abstract conceptualization, such as converger type and assimilator type, preferred discussion and presentation. The students with converger type learning style participated and achieved better than students with diverger style.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learning style was related to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in order to use PBL effectively, facilitators should consider students' learning sty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