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map

검색결과 473건 처리시간 0.024초

MRQUTER: MapReduce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병렬 정성 시간 추론기 (MRQUTER : A Parallel Qualitative Temporal Reasoner Using MapReduce Framework)

  • 김종훈;김인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5호
    • /
    • pp.231-242
    • /
    • 2016
  • 빠른 웹 정보의 변화에 잘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실과 지식이 실제로 유효한 시간과 장소들도 함께 표현하고 그들 간의 관계도 추론할 수 있도록 웹 기술의 확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소규모 지식 베이스를 이용한 실험실 수준의 정성 시간 추론 연구들에서 벗어나, 웹 스케일의 대규모 지식 베이스를 추론할 수 있는 병렬 정성 시간 추론기인 MRQUTER의 설계와 구현을 소개한다. Hadoop 클러스터 시스템과 MapReduce 병렬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를 이용해 개발된 MRQUTER에서는 정성 시간 추론 과정을 인코딩 및 디코딩 작업, 역 관계 및 동일 관계 추론 작업, 이행 관계 추론 작업, 관계 정제 작업 등 몇 개의 MapReduce 작업으로 나누고, 맵 함수와 리듀스 함수로 구현되는 각각의 단위 추론 작업을 효율화하기 위한 최적화 기술들을 적용하였다. 대규모 벤치마킹 시간 지식 베이스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MRQUTER의 높은 추론 성능과 확장성을 확인하였다.

의미 기반의 지식모델 통합과 탐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grating and discovery of semantic based knowledge model)

  • 전승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99-106
    • /
    • 2014
  • 최근 자연어 및 정형언어 처리, 인공지능 알고리즘 등을 활용한 효율적인 의미 기반 지식모델의 생성과 분석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의미 기반 지식모델은 효율적 의사결정트리(Decision Making Tree)와 특정 상황에 대한 체계적인 문제해결(Problem Solving) 경로 분석에 활용된다. 특히 다양한 복잡계 및 사회 연계망 분석에 있어 정적 지표 생성과 회귀 분석, 행위적 모델을 통한 추이분석, 거시예측을 지원하는 모의실험 모형의 기반이 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지식 모델은 특정 지표나 정제된 데이터를 수동적으로 모델링하여 분석에 활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비정형 정보로부터 지식 모델을 구성하는 토픽인자와 관계 노드를 생성하고 이를 통합하는 방법과 정형적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먼저,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도출되는 키워드 맵을 동치적 지식맵으로 변환하고 이를 의미적 지식모델로 통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키워드 맵으로부터 유의미한 토픽 맵을 투영하는 방법과 의미적 동치 모델을 유도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린 IT 지식 맵 구축을 위한 방법론 : 환경 분석의 개요를 중심으로 (The Methodology for constitute Knowledge Map of Green IT)

  • 구영덕;정대현;권영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그린 IT의 지식 맵 작성을 위한 기반 단계 그린 IT의 전세계적인 환경 분석을 위한 전제로서 개요들을 살펴본다. 이 전제를 기반으로 그린 IT에 대하여 본격적인 환경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 환경 분석 후에 지식 재산권을 기반으로 경쟁력을 분석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지식재산권 기반 경쟁력 분석을 통한 LED 지식 맵 (LED Knowledge Map through Competition Analysis based on Intellectual Property)

  • 구영덕;권영일;정대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7-1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LED의 지식 맵 구성을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국적별 특허 활동성 분석, 출원인별 특허 활동성 분석, 기술 분야별 특허 활동성 분석과 질적 수준을 고려한 시장 확보력에 대한 경쟁 현황 분석을 통하여 지식 맵 구성의 기본적인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온톨로지 기반 제품 지식 맵 구축 방법론 (A Methodology for Construction of Ontology-based Product Knowledge Map)

  • 박정민;함경준;서효원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09-610
    • /
    • 2006
  • This paper introduces a methodology for construction of ontology-based product knowledge Map. For CPC(Collaborative Product Commerce) environment, engineering application of ontology has been studied . However, there are no generic and comprehensive methodologies for ontology construction yet because of such problems: dependency on experience of ontologist and domain experts and insufficiency of detail stages or rules. To solve those problems, we propose a methodology to construct ontology from engineering documents in semi-automatic. We use middle-out strategy and term's axioms, sub-definitions, to build ontology map. 5-turple ontology structure, semantic network and First order logic (FOL) are used for ontology definition in this study.

  • PDF

영어교육의 교수방법 지식지도 서비스를 위한 온톨로지 모델링 연구 (Ontology Modeling for Knowledge Map of English Education Methodology)

  • 강문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02-509
    • /
    • 2013
  • 한국에서 영어교육의 필요성이 나날이 증가함에도 영어교육의 교수방법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정부의 일관성이 결여된 영어교육 정책으로 인해 영어 의사소통 능력의 제고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지식정보화사회에 발맞춰 영어교육 방법의 지식지도 구축을 위한 온톨로지 모델링을 연구하여 다양한 영어교육 현장과 국가의 영어교육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Knowledge Mapping of Robotic Applications in Tourism and Hospitality

  • Huiyue, Ye;Sirong, Chen;Rob, Law;Lawrence Hoc Nang, Fong
    • Journal of Smart Tourism
    • /
    • 제2권4호
    • /
    • pp.11-23
    • /
    • 2022
  • The use of robots in tourism and hospitality contexts have drawn increasing scholarly and practical regard. Although the number of recent robotics related studies continue to grow, a general knowledge map, which is important to point out promising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remains to be made. To understand the application of robotics in tourism and hospitality, this study conducts descriptive and bibliometric analysis to present a holistic knowledge map of this specific field where research trend, key contributors, highly cited references, and popular themes were identified. Collaboration networks among institutes and regions were additionally illustrated. Collaboration across fields, industries, and perspectives were encouraged following the findings and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ccordingly provided.

Ontology-Based Multi-level Knowledge Framework for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Discrete-Product Development

  • Lee, Jae-Hyun;Suh, Hyo-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AD/CAM
    • /
    • 제5권1호
    • /
    • pp.99-109
    • /
    • 2005
  • This paper introduces an approach to an ontology-based multi-level knowledge framework for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discrete-product development. Participants in a product life cycle want to share comprehensive product knowledge without any ambiguity and heterogeneity. However, previous knowledge management approaches are limited in providing those aspects: therefore, we suggest an ontology-based multi-level knowledge framework (OBMKF). The bottom level, the axiom, specifies the semantics of concepts and relations of knowledge so ambiguity can be alleviated. The middle level is a product development knowledge map; it defines the concepts and the relations of the product domain knowledge and guides the engineer to process their engineering decisions. The middle level is then classified further into more detailed levels, such as generic product level, specific product level, product version level, and manufactured item level, according to the various viewpoints. The top level is specialized knowledge for a specific domain that gives the solution of a specific task or problem. It is classified into three knowledge types: expert knowledge, engineering function knowledge, and data-analysis-based knowledge. This proposed framework is based on ontology to accommodate a comprehensive range of knowledge and is represented with first-order logic to maintain a uniform representation.

퍼지인식도를 이용한 다수 전문가지식 결합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ultiple Experts' Knowledge Combining Algorithm by Using Fuzzy Cognitived Map)

  • 이건창;주석진;김현수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40
    • /
    • 1994
  •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apply fuzzy cognitive map (FCM)- related techniques to (1) extract causal knowledge from a specific problem-domain and (2) perform a series of causal analysis in complicated decision making area. We propose a set operation-based augmentation (SOBA) algorithm to combine multiple FCMs developed by multiple experts. Based on the SOBA knowledge acquisition algorithm, we can obtain a causal knowledge base fairly representing multiple experts' knowledge about a problem domain. The causal knowledge base built by SOBA algorithm can be described as a matrix form, guaranteeing mathematically compact operation compared with a production (if-then) knowledge base. We applied out method to stock market analysis problem whichis a typical of highly unstructured problems in OR/MS fields.

  • PDF

맵리듀스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대용량 공간 추론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arge-Scale Spatial Reasoner Using MapReduce Framework)

  • 남상하;김인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3권10호
    • /
    • pp.397-406
    • /
    • 2014
  • 미국의 Jeopardy! 퀴즈쇼와 같은 DeepQA 환경에서 인간을 대신해 컴퓨터가 효과적으로 답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지식베이스와 빠른 시공간 추론 능력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병렬 분산 컴퓨팅 환경인 맵리듀스 프레임워크를 이용해, 새로운 방향 및 위상 관계를 효율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대용량 공간 추론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 추론 알고리즘은 CSD-9 방향 관계들과 RCC-8 위상 관계들을 포함한 대용량 공간 지식베이스를 입력으로 가정하며, 이로부터 새로운 방향 관계와 위상 관계들을 추론해내기 위해 지식베이스에 대한 경로 일관성 검사와 교차 일관성 검사를 수행한다. 맵리듀스 프레임워크의 원리에 따라 추론 계산의 병렬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맵 단계에서는 대용량의 지식베이스를 다수의 노드들에 효과적으로 분할하여 분산시키고, 리듀스 단계에서는 분산된 지식베이스들로부터 새로운 공간 지식을 유도하도록 공간 추론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맵리듀스 프레임워크로 구현한 대용량 공간 추론기와 샘플 공간 지식 베이스를 이용한 실험들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대용량 공간 추론기의 높은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