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lopanax pictus NAKAI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초

엄나무 (Kalopanax pictus Nakai) 줄기 추출물이 In vitro 반추위 발효와 메탄저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akai) Trunk Extracts on Rumen Fermentation and Methane Reduction In vitro)

  • 김재성;황문석;김용채;윤영만;배귀석;김창현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13-122
    • /
    • 2015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Kalopanax pictus Nakai (Kalopanax)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and methane (CH4) reduction. Kalopanax trunk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and 70% methanol. Rumen fluid, alfalfa hay and buffer (control: C) supplemented with 0.3% Kalopanx juice (T1), 0.3% ethanol extract (T2) and 0.3% methanol extract (T3) in the total volume of culture medium were incubated at $38^{\circ}C$ for 24h and 48h. Rumen pH was lower in all Kalopanax treatments during all incubations than that in control (p<0.05). Total VFA and total gas production in T2 and T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 at 48h incubation (p<0.05). Ammonia-N was decreased in all treatments compared with C during the incubation periods (p<0.05). At 24h incubation, $CH_4$ conten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both alcohol extracts. It is concluded that supplementing Kalopanax extracts can stimulate ruminal fermentation of rumen microorganisms and inhibit methanogenesis.

엄나무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에서 인슐린 민감성과 인슐린 유사성 작용에 미치는 영향 (Insulin Sensitizing and Insulin-like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Kalopanax pictus NAKAI in 3T3-L1 Adipocyte)

  • 김호경;박선민;고병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1호
    • /
    • pp.42-46
    • /
    • 2002
  • 국내의 한약재 시장 등에서 당뇨병의 민간요법 약재로 많이 판매되고 있는 엄나무(Kalopanax pictus NAKAI)수피의 열수 추출물에서 인슐린성 물질과 인슐린 민감성 약제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3T3-L1 섬유아세포(fibroblast)가 3T3-L1 지방세포(adipocytes)로 분화할 때 미치는 영향과 지방 세포내로의 포도당 섭취(glucose uptake)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엄나무의 수피를 열수 추출하고 동결건조하여 만든 분말 엑스시료를 증류수에 녹여 각각 $10{\mu}g/ml$$l{\mu}g/ml로$ 3T3-L1 섬유아세포를 처리한 후, 분화유도 물질만을 첨가한 대조군의 분화 정도를 100%로 정하였을 때 이에 대한 백분율로 환산하여 결정하였다. 분화유도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경우 $1{\mu}g/ml$$1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115.4{\pm}5.1%(p<0.05)$$122.3{\pm}2.1%(p<0.05)$로 유의성있게 분화를 촉진시켰다. 분화유도물질을 첨가하였을 때, $1{\mu}g/ml$에서는 $127.0{\pm}5.3%(p<0.001)$ 분화를 촉진시켰고, $10{\mu}g/ml$에서는 분화에 거의 변화가 없었다. 3T3-L1 지방 세포내로의 포도당 섭취량은 소량의 인슐린(3ng/ml)과 함께 $0{\sim}10%$ 메탄올 분획층(Fr. 1)과 30% 메탄올 분획층(Fr. 3)을 0.3와 $3{\mu}g/ml$ 첨가하였을 때 분획층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모두 $3.3{\pm}0.5$배 증가시켜 인슐린 50ng/ml에서 반응하였을 때와 유사한 섭취 정도를 나타내었다. 엄나무의 수피는 인슐린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추출물을 분획한 Fr. 1과 Fr. 3은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인슐린 민감성 제재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다.

음나무(Kalopanax pictus Nakai)의 종자번식 및 녹지삽목 번식기술 (Seed Germination and Softwood Cutting Technique of Kalopanax pictus Nakai)

  • 용영록;이문호;김병섭;김학기;김종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3-59
    • /
    • 2001
  • 본 연구는 음나무의 대량증식을 위한 실용적인 실생번식과 녹지 삽목 기술을 개발하고자 실시 하였다. 실생 번식을 위한 노천매장과 1$0^{\circ}C$ 후숙처리는 1주이내에 배의 크기를 3mm이상 유도하였고 발아율은 대조구에 비해 노천매장과 1$0^{\circ}C$에서 후숙된 종자에서 70%이상 높게 나타났다. 녹지 삽목 실험에서 는 삽수의 모수령이 발근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1년생 삽목묘 신초를 삽수로 사용한 것이 68.9%의 발근율로 가장 높고, 모수의 수령이 유령일수록 발근율이 높고, 반면 수령이 증가할수록 발근 능력이 감소하였다. 삽목 시기별 발근 실험에 있어서 1차 생장한 6월 13일 삽목한 삽수가 68.9%로 발근율이 가장 높아 6월중순이 삽목 적기였다. 식물생장조정제 종류 및 농도별 처리에서는 IBA 1000mg.L$^{-1}$ 농도에서 30분간 침적했을 때 발근율이 70%, NAA 1000mg.L$^{-1}$에서 66.7%의 순으로 2000mg.L$^{-1}$ 30초, 500mg.L$^{-1}$ 10시간 처리구 보다 발근율이 높게 나타났다.

  • PDF

한국산 음나무의 Kalosaponins 함량과 이에 영향하는 몇 가지 생장요인 (Growth Factors Affecting to Kalosaponins Contents of Kalopanax pictus Nakai)

  • 이철호;조동광;이갑연;권기원;최명석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3호
    • /
    • pp.209-215
    • /
    • 2002
  • 국내에 분포하는 음나무 (Kalopanax pictus Nakai) 자생군락에서 7집단 197본을 선정하여 생리활성물질인 kalosaponins 함량을 HPLC로 분석하였다. 또한 kalosaponins 고함유 개체를 대상으로 이들 개체의 생장특성을 조사하여 단순상관, 편상관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kalosaponins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생장요인을 추정하였다. 자생집단별 내피의 총kalosaponins 함량은 발왕산집단 (30.37 mg/g dry weight)으로 가장 높았고, 가리왕산 집단, 한라산 II집단, 전남 망운집단, 경기 팔탄집단, 한라산 I집단 순이었다. Kalosaponins 함량과 생장특성에 대한 분석결과, kalosaponin P 함량에 가장 높게 영향하는 인자는 내피두께로 나타났으며, kalosaponin O 함량은 내피무게와 수령으로 나타났으며, kalosaponin B 함량은 내피중량과 평균흉고직경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음나무 내피의 특성이 kalosaponins 생산에 밀접하게 관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에 엄나무 잎 분말을 첨가 급여한 닭다리 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akai)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Quality of Chicken Thigh Meat)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5-112
    • /
    • 2011
  • 본 시험은 육계에 엄나무 잎 분말을 급여량(0, 0.5, 1.0 및 2.0%)에 따라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계육의 pH, 총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TBARS, WHC, 전단력, 육색, 관능평가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엄나무 잎 분말을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엄나무 잎 분말 0.5% 급여구는 T1, 엄나무 잎 분말 1% 급여구는 T2 그리고 엄나무잎 분말 2.0% 급여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엄나무 잎 분말을 급여한 계육의 pH, TBARS는 엄나무 잎의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낮아지는 결과(P<0.05)를 보이므로 엄나무 잎 분말의 급여는 계육의 저장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총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대조구보다 엄나무 잎 급여구에서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엄나무 잎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특히 T3에서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P<0.05). 보수성과 전단력은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다. 계육의 육색 중 CIE $L^*$값과 CIE $a^*$값은 대조구보다 엄나무 잎 분말 급여구에서 높아졌으며(P<0.05), CIE $b^*$값은 엄나무 잎 급여량에 의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변화가 없는 결과이었다. 지방산 조성 중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엄나무 잎 급여구에서 증가하였고(P<0.05), TU/TS는 증가하는 경향이나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엄나무 잎 분말을 육계에 급여하면 pH와 TBARS가 낮아지고, 총페놀 함량이 높아지고 전자공여능이 향상됨으로 계육의 저장성이 향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사료 내 엄나무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계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akai) on Performance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hicken Meat)

  • 이상무;황주환;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05-312
    • /
    • 2010
  • 본 시험은 육계에 엄나무 가지와 잎을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육계의 생산성과 계육의 일반성분, pH,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콜레스테롤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엄나무를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엄나무 가지 5% 급여구는 T1, 엄나무 잎 2% 급여구는 T2 그리고 엄나무 가지와 잎을 중탕하여 그 추출물을 급여한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육계의 사료요구율은 T1과 T3가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계육의 일반성분은 엄나무 급여구에서 조지방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나, 일반성분은 유의성이 없었다. pH는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으며, T3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총 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엄나무 가지와 잎의 급여구에서 높았고, 엄나무 가지와 잎의 혼합 중탕구인 T3에서 그 함량이 가장 높았다(p<0.05). 계육의 총 콜레스테롤과 HDL-cholesterol은 엄나무 급여구에서 높았고, 특히 T3에서 가장 높았으며 LDL-cholesterol은 낮아지는 결과이었다(p<0.05). 지방산 조성은 엄나무를 급여함에 따라 지방산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포화지방산은 감소하고, 불포화지방산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T3에서 이러한 경향은 뚜렷하였다. 결론적으로 엄나무 가지와 잎의 중 탕 처리구는(T3) 총콜레스테롤, HDL-cholesterol 및 불포화지방산을 증가시키고, LDL-cholesterol과 포화지방산을 감소시킴으로 cholesterol 및 지방산 조성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육계 사료 내 엄나무 잎 분말 첨가 급여가 육계의 혈액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akai) Leaf Powder on Blood Characteristics of Chicken)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23-329
    • /
    • 2010
  • 본 시험은 육계에 엄나무 잎 분말을 첨가량에 따라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육계의 생산성과 계육의 일반성분, 도체 특성 및 혈액 성상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엄나무 잎 분말을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엄나무 잎 분말 0.5% 급여구는 T1, 엄나무 잎 분말 1% 급여구는 T2, 그리고 엄나무 잎 분말 2.0% 급여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육계의 생산성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고, 폐사율은 엄나무 잎 분말 급여구에서 낮아졌으며, 엄나무 잎 급여량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계육의 일반성분은 엄나무 잎 분말 급여구에서 조지방 함량이 증가하였고(T3),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은 유의성이 없었다. 도체 특성 중도체중, 도체율, 간의 무게 및 비장 무게는 처리구간에 유의성이 없었고, 복강지방은 엄나무 잎 분말의 급여량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으로 T3에서 유의적으로 무거웠다(P<0.05). 육계의 혈액 성상 중 HDL-cholesterol과 glucose는 엄나무 급여구에서 높았고, 총 콜레스테롤과 LDL-cholesterol 및 triglyceride는 낮아지는 결과이었다(P<0.05). 이러한 경향은 엄나무 잎 분말 1% 급여구부터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엄나무 잎 분말을 1% 이상 급여하면(T2) 육계의 폐사율이 낮아지고, 총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이감소하며, HDL-cholesterol이 증가함으로 혈액 조성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nti-lipid Peroxidative Principles from the Stem Bark of Kalopanax pictus Nakai

  • Choi, Jong-won;Han, Youn-Nam;Lee, Kyung-Tae;Park, Kun-Yong;Kwak, Tae-Soon;Kwon, Sang-Hyuk;Park, Hee-Juh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4권6호
    • /
    • pp.536-540
    • /
    • 2001
  • Hepatic lipid peroxide contents were examined in bromobenzene-treated rats firstly after the oral administration of MeOH extract of Kalopanax pictus stem bark its n-BuOH fraction, EtOAc fraction and an alkaline hydrolysate of the n-BuOH fraction, and secondly after the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hederagenin monodesmosides and bisdesmosides. Two hederagenin monodesmosides, kalopanaxsaponin A (KPS-A) and sapindoside C, exhibited significant anti-lipid peroxidation effects after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at doses of $10-30{\;}{\mu}mole/kg$, whereas their bisdesmosides did not exhibit any significant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the hederagenin monodesmosides that are responsible for anti-lipid peroxidation in vivo. The activity of KPS-A was established by the observation of decreased aminopyrine N-demethylase activity and increased epoxide hydrolase activity.

  • PDF

Activation of the Chemosensory Ion Channels TRPA1 and TRPV1 by Hydroalcohol Extract of Kalopanax pictus Leaves

  • Son, Hee Jin;Kim, Yiseul;Misaka, Takumi;Noh, Bong Soo;Rhyu, Mee-Ra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0권6호
    • /
    • pp.550-555
    • /
    • 2012
  • TRPA1 and TRPV1 are members of the TRP superfamily of structurally related, nonselective cation channels. TRPA1 and TRPV1 are often co-expressed in sensory neuron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somatosense such as cold, pain, and irritants. The first leaves of Kalopanax pictus Nakai (Araliaceae) have long been used as a culinary ingredient in Korea because of their unique chemesthetic flavor.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intracellular $Ca^{2+}$ response to cultured cells expressing human TRPA1 (hTRPA1) and human TRPV1 (hTRPV1) by $Ca^{2+}$ imaging analysis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the first leaves of K. pictus to activate the hTRPA1 and hTRPV1. An 80% ethanol extract of K. pictus (KPEx) increased intracellular $Ca^{2+}$ influx in a response time- and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via either hTRPA1 or hTRPV1. KPEx-induced response to hTRPA1 was markedly attenuated by ruthenium red, a general blocker of TRP channels, and HC-030031, a specific antagonist of TRPA1. In addition, the intracellular $Ca^{2+}$ influx attained with KPEx to hTRPV1 was mostly blocked by ruthenium red, and capsazepine, a specific antagonist of TRPV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PEx selectively activates both hTRPA1 and hTRPV1, which may provide evidence that the first leaves of K. pictus primarily activate TRPA1 and TRPV1 to induce their unique chemesthetic sense.

음나무(Kalopanax pictus N) 순의 식품학적 성분 분석 (Food Nutritional Composition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 Sprouts)

  • 최혜진;김도희;정헌식;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20-726
    • /
    • 2012
  • 음나무 순의 성분 분석을 통하여 식품학적 가치의 확인과 가공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음나무 순의 식품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일반성분, 무기질, 구성 및 유리 아미노산을 분석하고,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음나무 순의 기능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조사포닌, 진세노사이드,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67.4 ppm으로 Ginsenoside Rg1을 비롯하여 총 5종이 검출되었으며, 총 페놀 함량은 87.78 mg/100 g, 항산화 활성은 82.60%로 나타났다. 음나무 순에는 필수 아미노산 7종을 포함한 총 구성아미노산 함량이 33,744 mg/100 g으로 그 중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고 aspartic acid>leucine>lysine 순 이었다. 유리아미노산 분석결과 감칠맛과 단맛을 내는 성분의 총함량보다 쓴맛을 내는 성분의 총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음나무 순의 식품학적 특성을 알 수 있었으며, 소비 증진을 위하여 쓴맛을 개선한 기호성 높은 가공 제품의 개발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