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U-RLMS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5 seconds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Flow on Hahoi Region in the Nakdong River by Using the KU-RLMS Model (KU-RLMS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하회지구 흐름 예측에 관한 연구)

  • Lee, Nam-Joo;Hwang, Seung-Yong;Lee, S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97-1401
    • /
    • 2007
  • 낙동강에 위치한 하회마을의 점사주는 상류에 안동 및 임하 다목적댐이 건설되면서, 수량이 조절됨에 따라 토사수리학적 특성이 상당히 변화되었으며, 식생이 발생하는 등 옛 모습을 상실해 가고 있는 지역이다. 이 연구는 낙동강의 중상류에 위치한 하회지구에 평면 이차원 하상변동 및 수질예측 수치모형인 KU-RLMS 모형을 적용하여 하회마을 앞의 점사주에 영향을 미치는 수리학적 특성 변화를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KU-RLMS 모형은 하천 및 저수지의 국부적인 수리, 수질, 유사이동 해석을 위해 개발된 평면 이차원 비정상 수치모형이다. 직사각형 격자를 사용하는 유한차분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흐름 계산을 위한 지배 방정식은 3차원 Reynolds 방정식으로부터 수심적분된 2차원 연속방정식과 운동량방정식을 불규칙한 경계를 현실적으로 모사할 수 있는 직교곡선 좌표계로 변환한 방정식을 사용한다. 안동다목적댐과 임하다목적댐의 방류량, 수공구조물 설치 여부 등을 고려하여 수치모의조건을 결정하였으며, 각 조건에 대한 흐름 변화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Comparison of Sediment Transport Formulas in KU-RLMS Model in the Han River Downstream Area (한강하류부에서 KU-RLMS 모형의 유사량공식 비교)

  • Lee, Nam-Joo;Lee, Sam-Hee;Park, S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48-348
    • /
    • 2011
  • 신곡수중보와 전류수위표 사이의 한강 하류부는 홍수기에는 침식에 의한 하상저하가 지배적이고, 비홍수기는 조석에 의해 하류로부터 유입된 부유사의 퇴적으로 인한 하상상승이 지배적인 지역이다. 본 연구는 평면 이차원 하상변동 예측모형인 KU-RLMS 모형을 적용하여 한강 하류부의 지형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KU-RLMS 모형에 포함되어 있던 van Rijn 공식, Ackers-White 공식, Engelund-Hansen 공식 이외에 Colby 공식, Ranga Raju 공식, Shen-Hung 공식, Yang(1973) 공식, Yang(1979) 공식을 추가도 도입하고, 각 공식에 의한 하상변동 예측결과를 실측치와 비교하였다. 이 공식들 중에서 Colby 공식, Ranga Raju 공식, Shen-Hung 공식, Yang(1973) 공식, 그리고 Yang(1979) 공식에 의하면 하상변동이 과도하게 발생하였으며, 특히 과도한 퇴적이 유발됨에 따라 흐름모형이 발산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공식을 한강 하구부에 적용하는 것은 부적당하다고 판단된다. 유사량 공식 적용의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대상 구간에 대해 van Rijn 공식과 Engelund-Hansen 공식의 사용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측 결과와 비교할 때 어느 공식이 적합하다고 판단하기는 어려우며, 향후 보다 엄밀하게 비교할 필요가 있다.

  • PDF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Flow near the Confluence of Banbyeoncheon by Using the KU-RLMS Model (KU-RLMS 모형을 이용한 반변천 합류부 흐름 예측에 관한 연구)

  • Lee, Keum-Chan;Lee, Nam-Joo;Lyu, Si-Wan;Yeo, Hong-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09-1213
    • /
    • 2007
  • 하천 수치모델링을 통한 흐름, 오염물질 거동, 지형변화 해석 등은 효율적인 하천 수질 관리를 위해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은 차지한다. 수질이나 지형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하천 흐름 예측의 정확도 향상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연구는 평면 이차원 하상변동 및 수질예측 수치모형인 KU-RLMS 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 상류의 반변천 합류부의 흐름 특성을 규명하고, 수질 모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 계산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KU-RLMS 모형은 하천 및 저수지의 국부적인 수리, 수질, 유사이동 해석을 위해 개발된 평면 이차원 비정상 수치모형이다. 직사각형 격자를 사용하는 유한차분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흐름 계산을 위한 지배방정식은 3차원 Reynolds 방정식으로부터 수심적분된 2차원 연속방정식과 운동량방정식을 불규칙한 경계를 현실적으로 모사할 수 있는 직교곡선 좌표계로 변환한 방정식을 사용한다. 수치모형 적용을 위한 현황분석으로 안동 및 임하 조정지댐의 방류량, 안동 수위관측소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흐름 모형을 보정하기 위해 안동대교 지점에서 횡유속 분포를 측정하였으며, 이 결과를 사용하여 흐름 모형의 매개변수인 Manning 계수와 공간가중계수를 추정 및 검증하였다. 안동다목적댐과 임하다목적댐의 방류량을 고려하여 수치모의조건을 결정하였으며, 각 조건에 대한 흐름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a wetting and drying scheme for KU-RLMS model (KU-RLMS 모형의 잠김-드러남 기법 개선)

  • Lee, Nam-Joo;Lee, Hae-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11-711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수심적분된 이차원 비정상 수치모형인 KU-RLMS 모형의 잠김/드러남 기법을 개선하고, 기존의 WAD 기법과 새로 도입한 기법의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WAD 기법은 수학적으로는 다소 불완전하지만 수치적으로는 손쉬운 방법으로써, 각 시간 단계에서 잠긴 격자 또는 드러난 격자를 시험하고, 각 격자의 경계에서 플럭스에 대한 개폐 조건을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개선된 기법은 WAD 경계에서의 질량보존을 고려하는 방법이다. 두 가지 잠김/드러남 처리 과정의 정확도 비교는 포물형 수조에 대한 해석해와 수치모형의 결과를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기존에 WAD 기법은 수치해와 해석해의 위상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진폭은 조금씩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지만, 개선된 기법을 사용할 경우 위상차와 진폭감소 현상이 현저히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pplicability Test of a Wetting and Drying Scheme for KU-RLMS Model (KU-RLMS 모형의 잠김-드러남 기법 적용성 평가)

  • Lee, Nam-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4
    • /
    • pp.448-457
    • /
    • 2011
  • A wetting and drying(WAD) scheme was introduced in KU-RLMS which is a two-dimensional depth-averaged unsteady model, and applicability tests for wetting and drying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WAD scheme in the model uses a mathematically less elegant but numerically easier method to test for dry or wet cells at each time step, then to apply blocking conditions for fluxes at cells' interfaces. WAD scheme introduced in the model was verified against an analytical solution in a frictionless parabolic basin. It was found that there occurs a little phase difference between analytical and numerical solution and little decrease of amplitude of numerical result. I used three test channels having a linear sloping bottom topography, a stepwise bottom topography, and a stepwise, a bumpy and bowl-shaped bottom topography. It could be found that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in test channels have similar shapes of Balzano[4] and Oey[15].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Water-Temperature near the Confluence of Banbyeoncheon by Using the KU-RLMS Model (KU-RUMS 모형을 이용한 반변천 합류부 수온 예측에 관한 연구 KU-RLMS)

  • Lee, Yong-Chin;Lee, Nam-Joo;Lyu, Si-Wan;Yeo, Hong-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19-1223
    • /
    • 2007
  • 수온은 수계에서 가장 중요한 물리적 특성 중 하나로서, 생물 군집, 특히 어류와 무척추 동물에 관련된 많은 수질 인자에 영향을 미친다. 하천의 생태학적 모습을 개선하기 위한 하천 복원 사업 수행에 있어서, 서식처 및 산란처 조건으로서의 수온 조사 및 모델링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낙동강의 중상류에 위치한 반변천 합류부에 평면 이차원 비정상 수치모형인 KU-RLMS 모형을 적용하여 수온의 변화 특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KU-RLMS 모형은 하천 및 저수지의 국부적인 수리, 수질, 유사이동 해석을 위해 개발된 평면 이차원 비정상 수치모형이다. 직사각형 격자를 사용하는 유한차분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심적분된 2차원 연속방정식, 운동량방정식, 이송확산방정식을 불규칙한 경계를 현실적으로 모사할 수 있는 직교곡선 좌표계로 변환한 방정식을 사용한다. 이 모형은 흐름, 농도, 지형변화를 조합하여 계산할 수 있는 모형으로서 점착성 및 비점착성 유사의 이동, 보존성 및 비보존성 오염물질의 이동, 수온 변화를 모의할 수 있다. 수치모형 적용을 위한 현황분석으로 안동 및 임하 조정지댐의 방류량, 안동 수위관측소의 수위, 법흥교 및 포진교 지점의 수온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송확산모형의 보정을 위해, 안동대교 지점의 수온 횡분포 측정자료를 사용하여 확산계수에 대한 매개변수 추정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또한, 안동조정지댐과 임하조정지댐의 방류량 및 방류수온을 고려하여 수치모의조건을 결정하였으며, 각 조건에 대한 수온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Bed Changes on Hahoi Region in the Nakdong River by Using the KU-RLMS Model (KU-RLMS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하회지구 지형변화 예측에 관한 연구)

  • Lee, Nam-Joo;Hwang, Seung-Yong;Lee, S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02-1406
    • /
    • 2007
  • 낙동강에 위치한 안동의 하회마을, 내성천에 위치한 예천의 회룡포와 영주의 무섬마을 등은 마을 앞에 위치한 깨끗한 백사장으로 널리 알려진 관광명소이다. 하회마을의 점사주의 경우 낙동강 상류에 안동 및 임하 다목적댐이 건설되면서, 수량이 조절됨에 따라 토사수리학적 특성이 상당히 변화되었으며, 식생이 발생하는 등 옛 모습을 상실해 가고 있는 지역이다. 이 연구는 낙동강의 중상류에 위치한 하회지구에 평면 이차원 하상변동 및 수질예측 수치모형인 KU-RLMS 모형을 적용하여 하회마을 앞의 점사주에 영향을 미치는 토사수리학적 특성 변화를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수치모형 적용을 위한 현황분석으로 하상토 특성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지형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 다목적댐 건설 이후 하회구간의 하천 지형 변화의 특징으로 저수로 쪽의 하상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동상 수리모형 실험결과를 사용하여 유사이동모형에서 사용할 유사량 공식을 선정하였다. 안동다목적댐과 임하다목적댐의 방류량, 수공구조물 설치 여부 등을 고려하여 수치모의조건을 결정하였으며, 각 조건에 대한 지형변화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Flow Simulation in a Meandering Channel using a 2-dimensional Numerical Model (이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사행하도 흐름모의)

  • Lee, Haegyun;Lee, Nam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5
    • /
    • pp.485-492
    • /
    • 2013
  • The point sand bars of Hahoi Village on Nakdong River have undergone considerable changes including fluvial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due to flood regulation by the dams constructed upstream. In this study, the numerical fluvial/sediment and water quality model, KU-RLMS, is applied to the aquatic area near Hahoi Village (middle/upper region of the Nakdong River) for clarifying the mechanisms of changes in hydraulic and aquatic characteristics. The fixed-bed hydraulic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horizontal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The numerical simulation reveals that flow is accelerated near the left bank of Booyongdae downstream of the Hahoi Village area. Circulatory flow pattern was observed at the right bank downstream of Hahoi Village. The simulation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hydraulic/physical experiment. For the discharge of design flood, at the area of circulatory flow pattern, the superelevation of about 1.0 m at the right bank was predicted compared to the left bank of high flow velocity, which is also in good agreement with hydraulic experiment.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Turbidity near the Confluence of Banbyeoncheon by Using the KU-RLMS Model (KU-RLMS 모형을 이용한 반변천 합류부 탁도 예측에 관한 연구)

  • Lim, Ji-Hyun;Lee, Nam-Joo;Lyu, Si-Wan;Yeo, Hong-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14-1218
    • /
    • 2007
  • 댐 하류로 탁수를 선택적으로 배제하기 위해서는 방류 탁수가 하류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하천 탁도 예측 및 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낙동강과 반변천의 합류부에서의 이차원적인 혼합에 관한 수치해석 결과는 완전혼합을 가정하는 일차원 수질모델링의 초기 입력자료에 사용됨으로써 낙동강 본류 전체구간의 탁도 모의결과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낙동강의 중상류에 위치한 반변천 합류부에 평면 이차원 비정상 수치모형인 KU-RLMS 모형을 적용하여 탁도 변화 특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KU-RLMS 모형은 하천 및 저수지의 국부적인 수리, 수질, 유사이동 해석을 위해 개발된 평면 이차원 비정상 수치모형이다. 직사각형 격자를 사용하는 유한차분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심적분된 2차원 연속방정식, 운동량방정식, 이송확산방정식을 불규칙한 경계를 현실적으로 모사할 수 있는 직교곡선 좌표계로 변환한 방정식을 사용한다. 이 모형은 흐름, 농도, 지형변화를 조합하여 계산할 수 있는 모형으로서 점착성 및 비점착성 유사의 이동을 모의할 수 있다. 수치모형 적용을 위한 현황분석으로 안동 및 임하 조정지댐의 방류량, 안동 수위관측소의 수위, 법흥교 및 포진교 지점의 탁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송확산모형의 보정을 위해, 안동대교 지점의 탁도 횡분포 측정 자료를 사용하여 확산계수에 대한 매개변수 추정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또한, 안동조정지댐과 임하조정지댐의 방류량 및 방류탁도을 고려하여 수치모의조건을 결정하였으며, 각 조건에 대한 탁도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된 주변국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21세기 문화산업에서 우리가 판단하게 될 디자인의 가치는 계몽의 원리에 대한 '역사성'과 '현재성'의 변증법에 달려있는 것이며, 새로운 철학, 새로운 문명, 새로운 세계를 열어가는 것이다.r$ (地理志)에는 추현리와 이미 외리를 언급하면서 상주의 자기제작의 위상을 짐작하는 기록이 언급되면서 전국의 상품의 절반을 담당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ulcorner$경상도지리지$\lrcorner$(慶尙道地理志)에는 상주가 8곳으로 1/3의 자기 생산을 담당하고 있었다. $\ulcorner$경상도지리지$\lrcorner$(慶尙道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

  • PDF

Two-dimensional Flow Modeling under Considering Vegetation on Flood Plain (홍수터 식생을 고려한 이차원 하천 흐름모델링)

  • Lee, Nam-Joo;Lee, Hae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15-316
    • /
    • 2011
  • 하천에 침입한 식생은 흐름 저항을 증가시키며, 이로 인해 유속이 감소하고 홍수위가 증가하며 하천 지형 변화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연구는 한강하류부에 위치한 장항습지 식생이 홍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홍수 흐름 예측에는 이차원 흐름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식생의 영향은 조도계수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장항습지의 수목 밀생지역에서 유속이 약 60% 이상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수로에서 유속은 약 20~30%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좌안으로 접근할수록 유속의 증가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식생을 고려했을 때, 유속이 좌안으로 치우치고 장항습지의 경계 부근에서 줄어드는 현상은 장항습지의 성장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