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H Si etching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9초

Influence of KOH Solution on the Passivation of Al2O3 Grown by Atomic Layer Depostion on Silicon Solar Cell

  • 조영준;장효식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5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99.2-299.2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potassium remaining on a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after potassium hydroxide (KOH) etching and its effect on the lifetime of the solar cell. KOH etching is generally used to remove the saw damage caused by cutting a Si ingot; it can also be used to etch the rear side of a textured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before atomic layer-deposited Al2O3 growth. However, the potassium remaining after KOH etching is known to be detrimental to the efficiency of Si solar cells. In this study, we etched a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in three way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potassium remnant on the efficiency of Si solar cells. After KOH etching, KOH and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TMAH) were used to etch the rear side of a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To passivate the rear side, an Al2O3 layer was deposited by atomic layer deposition (ALD). After ALD Al2O3 growth on the KOH-etched Si surface, we measured the lifetime of the solar cell by quasi steady-state photoconductance (QSSPC, Sinton WCT-120) to analyze how effectively the Al2O3 layer passivated the interface of the Al2O3 layer and the Si surface. Secondary ion mass spectroscopy (SIMS) was also used to measure how much potassium remained on the surface of the Si wafer and at the interface of the Al2O3 layer and the Si surface after KOH etching and wet cleaning.

  • PDF

나노스크래치와 KOH 에칭 기술을 병용한 Si (100) 패턴제작 (Pattern Fabrication on Si (100) Surface by Using Both Nanoscratch and KOH Etching Technique)

  • 윤성원;이정우;강충길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48-451
    • /
    • 2003
  • This study describes a new maskless nano-fabrication technique of Si (100) using the combination of nanometer-scale mechanical forming by nano-indenter XP and KOH wet etching. First the surface of a Si (100) specimen was machined by using the nano-machining system, which utilizes the mechanism of the nano-indenter XP. Next, the specimen was etched by KOH solution. After the etching process, the convex structure or deeper hole is made because of masking or promotion effect of the affected layer generated by nano-machining. On the basis of this interesting fact, some sample structures were fabricated.

  • PDF

KOH Etching을 통한 4H-SiC Epitaxy 박막에서의 전위결함 거동 (Characterization of Dislocations in 4H-SiC Epitaxy Using Molten-KOH Etching)

  • 신윤지;김원정;문정현;방욱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779-783
    • /
    • 2011
  • The morphology of etch pits in commercial 4H-SiC epi-wafer were investigated by molten-KOH etching. The etching process was optimized in $525{\sim}570^{\circ}C$ at 2~10 min and the novel type of etch pits was revealed. This type of etch pits have been considered as TED (threading edge dislocation) II, its origin and nature, however, are not reported yet. In this work, the morphology and evolution of etch pits during epitaxial growth were analyzed and the different behavior between TED and TEDII was discussed.

광전소자 패키징에서 광섬유 정렬을 위한 Si V-groove 형성 (The formation of Si V-groove for optical fiber alignment in optoelectronic devices)

  • 유영석;김영호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65-71
    • /
    • 1999
  • 광 패키징에서 광섬유와 광전자소자를 정확히 정렬하기 위한 V-groove의 치수 정밀도에 미치는 마스크 재료와 에칭용액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PECVD nitride, LPCVD nitride, thermal oxide($SiO_2$)를 마스크재료로 사용하였고 실리콘을 이방성에칭하는 용액으로 KOH(40wt%)용액과 KOH(40wt%)용액에 IPA를 첨가한 용액을 이용하였다. 마스크재료로는 LPCVD nitride가 가장 좋은 선택적에칭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사용된 마스크재료 중 thermal oxide가 가장 빠른 속도로 에칭되었다. V-groove의 크기 증가는 마스크충 아래로의 undercutting에 의해 생겼는데 이는 주로 (111)면으로의 에칭 때문이었다. KOH(40wt%)용액에서 (111)면의 에칭속도는 0.034 - 0.037 $\mu\textrm{m}$/min로 마스크재료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였다. IPA를 KOH(40wt%)용액에 첨가하면 (100)면과 (111)면의 에칭속도는 모두 감소하지만 (111)면에 대한 (100)면의 에칭속도비는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이런 용액에서 (111)면으로의 에칭에 의한 undercutting현상은 줄어들었으며 V-groove의 크기를 더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었다.

  • PDF

KOH를 이용한 Si 식각에서 IPA와 Ethanol을 사용한 경우의 표면 비교 (Morphology of Si Etching Structure Using KOH Solution with IPA and Ethanol)

  • 이귀덕;노용한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9
    • /
    • pp.123-12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KOH 용액을 사용한 Si 습식 이방성 식각실험 진행 후, 나타나는 표면의 거친 현상을 완화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SiO_2$ 웨이퍼 위에 Photo-lithography 공정으로 형성시킨 PMER 패턴을 Mask로 사용하여 HF 용액으로 $SiO_2$를 식각시켰으며, 형성된 $SiO_2$를 Mask로 사용하여 KOH 용액으로 Si을 식각시켰다. 이 때, KOH와 혼합하는 용액으로 IPA와 Ethan이을 각각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ESEM을 이용하여 표면을 비교하였다.

  • PDF

평면 광스플리터와 리본형 광파이버의 정밀 결합을 위한 V-groove연결소자의 제작 (Fabrication of V-groove Device for Precision Coupling of Planar Optical Splitter and Ribbon Optical Fiber)

  • 정석희;서화일;오현철;김영철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61-64
    • /
    • 2007
  • V-groove device was fabricated for precision coupling of planar optical splitter and optical fibers. V-groove was made through select wet etching of Si wafer by using KOH solution. Etching rate and surface roughness were checked, changing KOH composition(10, 20, 30, 33, 40 wt.%) and etching temperature (50, 60, 70, $80^{\circ}C$) to fabricate V-groove device effectively. Etching rate was the fastest as $1.84\;{\mu}m/min$ in case of etching by 20 wt.% KOH on $80^{\circ}C$, surface roughness was the best in case of etching by 33 wt. % KOH on $80^{\circ}C$.

  • PDF

LED용 Si 기판의 저비용, 고생산성 실리콘 관통 비아 식각 공정 (Developing Low Cost, High Throughput Si Through Via Etching for LED Substrate)

  • 구영모;김구성;김사라은경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9-23
    • /
    • 2012
  • 최근 발광다이오드(LED)의 출력 성능을 높이고,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LED 패키지 분야에서 실리콘 기판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정 비용이 낮고 생산성이 높은 습식 식각을 이용하여 실리콘 기판의 실리콘 관통 비아 식각 공정을 살펴보았다. KOH를 이용한 양면 습식 식각 공정과 습식 식각과 건식 식각을 병행한 두 가지 공정 방법으로 실리콘 관통 비아를 제작하였고, 식각된 실리콘 관통 비아에 Cu 전극과 배선은 전기도금으로 증착하였다. Cu 전극을 연결하는 배선의 전기저항은 약 $5.5{\Omega}$ 정도로 낮게 나타났고, 실리콘 기판의 열 저항은 4 K/W으로 AlN 세라믹 기판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멤브레인 구조 제작은 위한 단결정 실리콘의 이방성 습식 식각 (Anisotropic Wet Etching of Single Crystal Silicon for Formation of Membrane Structure)

  • 조남인;강창민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37-40
    • /
    • 2003
  • 반도체 장비의 기능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부품의 제조기술은 점차 마이크로 머신 기술을 요구하고 있다. 마이크로머신 기술 중 hot junction이 위치하는 멤브레인 구조는 각종 센서와 히터의 미세부품에서 가장 이용도가 큰 구조이다. 실험에서는 마이크로머신의 기본 구조인 멤브레인 형태를 만들기 위해 KOH 용액과 TMAH 용액으로 단결정 실리콘을 이방성 습식식각 하였다. 실험결과, 식각액의 온도와 농도, 마스크 패턴과 웨이퍼의 결정성의 일치 등을 고려해야 하며, 식각 속도는 KOH 농도 및 온도에 따라 크게 변함을 알 수 있었다. KOH 용액은 30 wt% 80~$90^{\circ}C$ 온도 범위에서 가장 좋은 특성을 나타냈다. 한편, TMAH용액이 실리콘을 식각하는 용액으로 관심을 끄는 것은 단결정에서 상대적으로 $SiO_2$ 박막을 마스크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SiO_2$ 박막을 마스크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식각액보다 찌꺼기가 적다는 장점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용액에 비해 가격이 고가이며 식각 속도가 낮다는 것이 실용적인 측면에서 큰 단점이다. 실험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KOH 용액 농도 30wt%와 온도 $90^{\circ}C$가 마이크로머신 기술에 의한 멤브레인 구조 제작에서 적합한 공정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KOH 용액을 이용한 단결정 실리콘의 이방성 식각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isotropic etching property of single-crystal silicon using KOH solution)

  • 김환영;천인호;김창교;조남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449-455
    • /
    • 1997
  • KOH 용액을 이용한 단결정 실리콘의 이방성 식각 특성을 조사하였다. n형 (100)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를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식각 비율이 월등히 작은 $SiO_2$층을 실리콘 식각의 마스크로 사용하였다. 실리콘의 식각속도와 식각상태는 KOH 용액의 농도와 온도조건 뿐만 아니라 용액의 균일도, 용액의 교반속도와 교반방향 등에 따라 큰 차이가 발생하였다. 실리콘의 식각 속도는 KOH 농도가 낮아질수록 증가하며, 온도는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 wt%~50 wt%의 농도 범위와 $50^{\circ}C~105^{\circ}C$의 온도 범위에서 식각속도는 $10\mu \textrm{m}/hr~250\mu\textrm{m}/hr$로서 큰 폭으로 변화하였다. 식각된 표면의 거칠기중 hillock의 발생은 (100)면과 (111)면의 식각 속도 비율이 커질수록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