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PDB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7초

나노 코팅된 PDB를 이용한 동전기 지반개량 공법의 현장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led Application of Electro-Osmosis Soil Improvement Method with Nano-Coated Plastic Drain Baord)

  • 안상로;안광국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0호
    • /
    • pp.5-11
    • /
    • 2018
  • PBD(Plastic Board Drain) 공법은 준설 매립에 효과적인 지반개량을 위한 다양한 공법 중 하나이며, 시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해 연약지반개량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BD 공법은 장시간 소요에 의한 지반 투수성 감소 및 배수능 저하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나노 코팅된 Plastic Drain Board(PDB)는 비금속성 전극재로 전기삼투공법의 전기력을 이용해 PDB 공법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한 재료이다. 나노 코팅된 PDB를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실내실험으로 제한되었을 뿐 현장실험은 수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나노 코팅된 PDB의 현장 활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내모형실험과 현장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일반 PDB에 비해 나노 코팅된 PDB의 지반개량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PDB 시험에 대한 충돌 상호 안전성 (Compatibility for Proposed R.94 PDB Test)

  • 장은지;김요셉;범현균;권성은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149-155
    • /
    • 2010
  • Currently various safety tests are being performed in many countries with growing interest in vehicle safety. However the vehicles which have good safety performance in these tests could not secure the good performance in real car to car accident. So new test protocol using progressive deformable barrier (PDB) was proposed by EEVC in Europe, NHTSA in USA and some vehicle manufacturers, etc. The target of PDB test is to control partner protection in addition to self-protection on the same test. The proposal is to update current ECE R.94 frontal ODB test. So barrier, impact speed, overlap are changed to avoid bottoming-out in the test configuration. In this paper 3 different tests (R.94, EuroNCAP and PDB test) were carried out using current production vehicles with same structure. The results of these tests were compared to understand PDB test. As a result PDB test shows the highest vehicle deceleration and dummy injury because PDB offers a progressive increase in stiffness in depth and height. However vehicle intrusion was affected with rather test velocity than stiffness of deformable barrier. PDB deformation data is used for partner protection assessment using PDB software and it shows that the test vehicle is rather not aggressive.

액체배양에서의 양조용 곰팡이의 균체 생산 및 전분분해효소 활성 (Mycelial Production and Amylase Activity of Fungi for Brewing in Different Submerged Culture Conditions)

  • 노종민;최지호;정석태;여수환;박장우;이진원;최한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33-838
    • /
    • 2013
  • 양조용 곰팡이 12균주에 대하여 WEB(wheat extract broth), PDB(potato dextrose broth), MEB(malt extract broth) 배지에서의 배양특성 및 전분분해 효소 활성을 조사하였다. PDB 배지에서의 균체 생산량은 1.26(R. oryzae KACC 45741)~4.80(A. oryzae KACC 46959) g/100 mL로 WEB, MEB 배지보다 각각 2.3~9.2배, 1.7~14.6배 낮았다. A. oryzae의 경우, 상업유통 균주인 Suwon, CF1001, CF1003 균주들이 야생 균주인 KACC 46421, KACC 46423, KACC 46424, KACC 46959보다 건조 균체량이 높았다. Rhizopus sp.의 산 생성량은 WEB, PDB, MEB 배지에서 각각 0.12~0.47, 0.22~1.0, 0.16~0.68%(as lactic acid)이었으며, A. oryzae는 0.06~0.11, 0.03~0.04, 0.06~0.08%(as citric acid) 범위이었다. 전분분해효소 활성은 Rhizopus sp.의 경우, R. delemer KACC 46419 균주만 WEB와 MEB에서 각각 0.013 U, 0.019 U의 활성을 보인 반면, A. oryzae의 효소 활성은 WEB, PDB, MEB 배지에서 각각 0.019~0.037, 0.017~0.033, 0.028~0.046 U 범위였다. 결론적으로 액체 종국용 배지는 균체 생산성이 비교적 우수하였고, 효소활성이 높았던 MEB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Cd처리가 느타리버섯 균사체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d treatment on the mycelial growth of Pleurotus ostreatus)

  • 박윤진;김태권;조용구;장명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9-83
    • /
    • 2020
  •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effect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d on the growth of Pleurotus ostreatus mycelia, which was confirmed using PDA, PDB, and a column test. The efficacy of treatment was evaluated using Cd at two concentrations, 10 ppm and 100 ppm. The extent of mycelial growth on PDA and PDB was similar to that observed in the untreated groups and those treated with 10 ppm Cd.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mycelial growth was suppressed in a system treated with Cd at concentrations of 100 ppm. Moreover, the extent of mycelial growth observed upon conducting a column test was similar to that obtained using PDA and PDB. When the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s in PDB was determined, their levels in the group treated with 100 ppm Cd were found to be similar to those of the control. However, the amounts of 15 amino acids in the group treated with 10 ppm of Cd had increased compared to those detected in the control.

흰쥐 해마에서 Norepinephrine 유리에 미치는 Protein Kinase C 의 영향 (Effect of Protein Kinase C on Norepinephrine Release in the Rat Hippocampus)

  • 김도경;이영수;최봉규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5-152
    • /
    • 1995
  • The effects and interactions of $4{\beta}-phorbol$ 12,13-dibutyrate(PDB) and polymyxin B(PMB) with adenosine on the electrically-evoked norepinephrine (NE) release were studied in the rat hippocampus. Slices from the rat hippocampus were equilibrated with $^3H-noradrenaline$ and the release of the labelled product, $^3H-NE$, which evoked by electrical stimulation$(3\;Hz,\;2\;ms,\;5\;VCm^{-1},\;rectangular\;pulses)$ was measured. PDB$(0.3{\sim}10\;{\mu}M)$, a selective protein kinase C(PKC) activator, increased the evoked NE release in a dose related fashion while increasing the basal rate of release. And the effects of $1\;{\mu}M$ PDB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0.3\;{\mu}M$ tetrodotoxin(TTX) pretreatment or $Ca^{++}-free$ medium. $PMB(0.03{\sim}1\;mg)$, a specific PKC inhibitor, decreased the NE release in a dose dependent manner while increasing the basal rate of release. Adenosine $(1{\sim}10\;{\mu}M)$ decreased the NE release without changing the basal rate of release, and this effect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8-cyclopentyl-1,3-dipropylxanthine$(2\;{\mu}M)$, a selective $A_1-receptor$ antagonist, treatment. Also, adenosine effect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PDB-and PMB-pre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KC plays a role in the NE release in the rat hippocampus and might be participated in a post-receptor mechanism of the $A_1-adenosine$ receptor.

  • PDF

PDB 데이터에서 PSAML로의 변환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Translator from PDB Data to PSAML)

  • 조민수;이수현;이명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2403-2406
    • /
    • 2002
  • 현재의 단백질 구조비교 시스템들 사이의 호환성이나 상호작용성의 문제를 해결하고 단백질 구조를 비교하는 시스템을 신속히 개발하기 위해서 단백질 3차구조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XML과 같은 표준 형식으로 기술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단백질의 2차구조 구성요소와 그들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단백질 구조를 기술하는 PSA가 제안되었으며, PSA를 기반으로 하여 단백질 데이터의 XML 표현기법인 PSAML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PSAML 데이터의 생성을 위하여 PDB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PSAML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도구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변환도구는 XML DOM과 Java를 이용하여 구현되었으며, 생성된 데이터는 단백질 구조 및 유사성을 비교하기 위한 단백질 구조비교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 PDF

연직천연섬유배수재를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 (Soil Improvement using Vertical Natural Fiber Drains)

  • 김주형;조삼덕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37-45
    • /
    • 2008
  • 친환경배수재에 대한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연직배수재와 수평배수재 설치 조합으로 현장시험시공을 수행하였다. 본 시험시공에서는 기존의 천연섬유배수재(FDB)와 새로 개발한 볏짚배수재(SDB) 그리고 플라스틱배수재(PDB)를 연직배수재로 설치하였으며, 화이버매트와 샌드매트를 수평배수재로 사용하였다. 볏짚배수재(SDB) 설치지역을 제외하고는 플라스틱배수재(PDB)와 천연섬유배수재(FDB) 설치 지역에서 측정한 지표침하발생속도와 과잉간극수압 발생/소산 양상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차 압밀방치기간동안 측정된 상부 연약층의 콘관입저항력도 설치된 연직배수재 종류와 상관없이 일정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천연섬유배수재가 기존의 플라스틱이나 모래재료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인산가용화균 Aspergillus sp. PS-104의 액침배양중 Pellet 크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ellet Formation of Phosphate-solubilizing Fungus, Aspergillus sp. PS-104 in Submerged Culture)

  • 신승용;강선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1호
    • /
    • pp.77-81
    • /
    • 2007
  • 인산가용화균 Aspergillus sp. PS-104를 생물비료화하기 위하여 이 균주의 액침배양 시 mycelial pellet 형성을 억제하는 배양조건(배지 종류, 초기접종량)과 배지 첨가물(점토광물, 계면활성제, PEG 200)의 종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 균주는 배지 종류를 달리하여 배양했을 때 SDB=YPD>PDB 순으로 pellet 크기가 감소하였다. 또한 이 균주는 $1{\times}10^{3}{\sim}1{\times}10^{7}$ conidia/ml 범위의 초기접종농도에서는 농도가 높을수록 pellet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또한 bentonite를 제외한 점토광물인 zeolite, diatomite, 황토, kaoline과 talc를 0.1% 농도로 배지에 첨가하였을 경우 pellet 크기가 대조군에 비해서 1/6${\sim}$1/4로 감소하였다 계면활성제인 Tween 80과 Triton X-100 및 PEG 200을 0.1% 농도로 첨가하였을 경우 pellet의 크기가 감소하였고, SDS를 첨가한 경우에는 균의 성장이 완전히 저해되었다.

공간객체 모델 기반 단백질 3차 구조 모델링 (Modelling of three Dimensional Structure in Protein based on Spatial Object Model)

  • 한욱;박성희;이순희;류근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B)
    • /
    • pp.73-75
    • /
    • 2002
  • PDB에서 제공하는 단백질 3차원 고분자결정 구조에 대한 플랫파일은 인자들의 좌표, 서열정보, 실험정보 및 참조 정보가 포함된다.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플랫파일로부터 필수적인 구조정보 및 서열정보 등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해서는 이러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요구되며 이 때 단백질 구조 및 서열 정보와 실험 및 탐조 정보의 관계에 대한 모델링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PDB에서 제공하는 플랫파일들의 엔트리들을 분석하고 3차원 공간 객체의 기하적 특성을 갖는 단백질 3차 구조를 공간객체로 표현하고 공간객체 모델을 적용하여 모델링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백질 3차 구조 분자를 구성하는 인자 및 구조 정보 검색이 가능하며 위상 및 기하 연산자글 이용하여 단백질 구조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