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Mold

검색결과 2,791건 처리시간 0.038초

구치부 복합레진의 인장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TENSILE STRENGTH OF POSTERIOR RESIN-BASED COMPOSITES)

  • 김재곤;이용희;양철희;백병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64-470
    • /
    • 2001
  • 1960년대 수복재로서 복합레진이 소개된 이래, 심미성이 우수하고 치질에 대한 접착성이 있는 복합레진이 전치부 수복용 재료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레진과 필러의 개선에 의해 기계적 성질, 내마모성 등의 물리적 성질이 크게 증가하면서 구치부 수복용 재료로서도 점차 그의 응용이 확대되고 있지만, 높은 응력이 작용하는 구치부의 경우 그 사용이 제한적이고 임상적인 예후가 불확실하다는 단점이 있어왔다. 초기의 구치용 복합레진의 예후의 보고에 의하면 비교적 초기에 변연파절이 발현하고 있는 듯하다. 이런 원인으로써는 재료 자신의 강도 접착기법, 환경요인등 여러 가지 물성 이 복잡하게 영향하고 있다고 생각되어지기 때문에 간단히는 설명할수 없지만, 일반적으로 취성재료가 인장응력으로 파단하는 것을 생각하면 구치용 복합레진의 인장강도에 대해서 상세히 검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치부 수복용 복합레진의 인장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5종의 광중합 복합레진(Denfil(Vericom, Korea), P60(3M, U.S.A.), Unifil S(GC, Japan), Z100(3M, U.S.A.), Z250(3M, U.S.A.))을 시험재료로 선택하여 소형 인장시험편을 제작한 다음 thermal cycyling 및 과 시효처리를 시행한 후 직접인장시험법에 의해 인장강도를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60의 인장강도는 타 실험군인 Denfil, Unifil S, Z100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그러나 Z250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Denfil은 타 실험군인 P60, Unifil S, Z100, Z250 모두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은 수치를 보였다(p<0.05). 3. Unifil S와 Z100은 P60과 Z250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나(p<0.05), Denfil보다는 증가된 수치를 나타냈다. (p<0.05) Unifil S와 Z100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 PDF

Bilayered all Ceramics에서 Core와 Veneer 계면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hear Bond Strength of Core-veneer Interface for Bilayered all Ceramics)

  • 정용수;이진한;이재인;동진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3호
    • /
    • pp.231-242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부 도재관 시스템에서 코어-비니어 결합계면에서의 결합 강도를 평가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어진 전부 도재관 시스템은 IPS Empress2 with IPS Eris, IPS e.max Press with IPS e.max Ceram과 IPS e.max ZirCAD with IPS e.max Ceram이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코어(N=36, N=12/system, 직경: 10mm, 두께: 3mm)를 제작하였고 초음파 세척을 시행하였다. 특별히 제작된 스테인리스 스틸 몰드를 이용하여 코어 상부에 비니어(직경: 3mm, 두께: 2mm)를 축성한 후 소성하였다. 소성 후, 초음파 세척을 시행하고 아크릴릭 레진에 매몰하였다. 제작된 시편은 $37^{\circ}C$의 증류수에 1주일간 보관하였다. 만능시험기(Z020, Zwick, Germany)로 시편의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고, 하중이 코어-비니어 계면에 가능한 가깝게 가해지도록 시편을 위치시키고, 파절이 일어날 때까지 1.00mm/min의 crosshead speed로 하중을 가하였다. 측정된 각 군의 평균전단결합강도($MPa{\pm}SD$)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일원 분산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사후검정은 Tukey test를 이용하였다(p=0.05). 또한 파절된 시편을 주사전자현미경(JSM-6360,JEOL, Japan)으로 파절양상을 관찰하였다. 파절양상은 코어 내에서의 응집성 파절, 비니어 내에서의 응집성 파절, 혼합형 파절 혹은 접착성 파절로 분류하였다. 코어와 비니어 계면에서의 평균전단결합강도($MPa{\pm}SD$)는 IPS-e.max Press가 $32.85{\pm}6.75MPa$, IPS Empress 2가 $29.30{\pm}6.51MPa$, IPS e.max ZirCAD가 $28.10{\pm}4.28MPa$로 나타났다. 통계적 분석 결과 각 시스템 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어떠한 시스템에서도 접착성 파절은 관찰되지 않았다. IPS Empress 2와 IPS e.max Press에서는 코어와 비니어 내에서의 응집성 파절이 관찰되었으며, IPS e.max ZirCAD에서는 혼합형 파절과 비니어 내에서의 응집성 파절이 관찰되었다.

느타리버섯 폐면배지의 발효조건별 이화학적 특성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tton Waste Substrate According to Fermentation Conditions for Oyster Mushroom Bed Cultivation)

  • 하태문;윤선미;주영철;성재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63-171
    • /
    • 2008
  • 느타리버섯 폐면배지 야외발효기간중 피복재 종류별 배지의 이화학적 변화와 균배양 및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지온도는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발효 1일째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발효 5일${\sim}$발효 7일째 최고온도 $75^{\circ}C$ 도달 후 천천히 낮아졌고, 배지의 깊이에 따른 온도차이는 크지 않았다.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배지온도변화의 양상은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와 비슷하였으나 최고온도가 약 $60^{\circ}C$ 정도였고 배지 깊이별로 온도차이가 컸으며 배지 깊이 10 cm 부위에서 높았다. 배지내 수분함량은 두 처리구 모두 발효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고,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가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보다 수분함량 감소가 많았다. 살균전.후의 배지수분함량변화는 살균 시 수분 보충으로 살균 후 수분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배지 pH는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높아져 발효 $9{\sim}12$일째 pH 8.9까지 상승하였고,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는 배지깊이 30 cm와 50 cm 부위에서 pH $5.0{\sim}5.6$ 정도로 낮아졌다. 배지 총 탄소 함량은 두 처리구 모두 발효기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가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보다 다소 낮았고, 총질소 함량은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며,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보다 다소 높았다. 배지내 산소농도는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 발효 6일까지 감소한 후 9일째부터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는 배지깊이 10 cm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서 1% 이하로 낮았다. 배지내 이산화탄소농도는 산소농도 변화와 반대로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 발효 6일까지 증가한 후 9일째부터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암모니아 함량은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의 배지 깊이 10 cm와 30 cm 부위에서는 10 ppm 이하, 50 cm 부위에서 약 $12{\sim}19\;ppm$이었고,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의 배지깊이 10 cm 부위에서는 10 ppm 이하, 30 cm와 50 cm 깊이에서는 $20{\sim}85\;ppm$ 정도로 높았다. 배지발효조건 및 발효기간별 균배양일수는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12{\sim}14$일로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 $15{\sim}19$일보다 짧았고, 초발이 소요일수는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 $20{\sim}23$일로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 $27{\sim}32$일보다 짧았다. 배양율은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 발효 3일 처리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에서 100%로 높았고,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는 $50{\sim}85%$ 낮았다. 수량은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발효기간이 길수록 수량이 증가하여 발효9일째 23.6 kg(건조배지 44 kg당)으로 높았다.

중합방법에 따른 복합레진 인레이의 물리적 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COMPOSITE RESIN INLAY BY CURING METHODS)

  • 조성아;조영곤;문주훈;오행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1호
    • /
    • pp.254-266
    • /
    • 1997
  • This study was to know the usefulness of argon laser for composite resin, to prove the polymerized effect of heat treatment of composite resin inlay and to get the curing method for optimal physical properties of composite resin inlay. In this study we used four light curing units and one heat curing unit: Visilux $II^{TM}$, a visible light gun: $SPECTRUM^{TM}$, an argon laser: Unilux AC$^{(R)}$ and Astorn XL$^{(R)}$, visible light curing unit: CRC-$100^{TM}$ for heat treatment. Compared to a control group, we divided the experemental groups into five as follows: Control group: Light curing(Visilux $II^{TM}$) Experimental group 1 : Light curing(Visilux $II^{TM}$) + Light curing(Unilux AC$^{(R)}$) Experimental group 2: Light curing(Visilux $II^{TM}$) + Light curing(Astron XL$^{(R)}$) + Heat treatment(CRC-$100^{TM}$) Experimental group 3 : Laser curing($SPECTRUM^{TM}$) Experimental group 4 : Laser curing($SPECTRUM^{TM}$) + Light curing(Unilux AC$^{(R)}$) Experimental group 5 : Laser curing($SPECTRUM^{TM}$) + Light curing(Astron XL$^{(R)}$) + Heat treatment (CRC-$100^{TM}$) According to the above classification, we made samples through the curing of Clearfil CR Inlay$^{(R)}$, which is a composite resin for inlay, in a separable cylindrical metal mold and polycarbonate plate. And then, we measured and compared the value of compressive strength, diametral tensile strength and the surface micro hardness of each samp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group 5 showed the highest value of compressive strength, $157.50{\pm}10.24$ kgf and control group showed the lowest value of compressive strength, $103.93{\pm}21.93$ kgf.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experimental groups(p<0.001). Group 2 which was treated by the heat showed higher compressive strength than that of group 1 which was not,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1 and group 2(p<0.001). Group 5 which was treated by heat showed higher compressive strength than group 4 which was not,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group 4 and group 5(p<0.001). 2.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group 5 showed the highest value of diametral tensile strength, $95.84{\pm}1.97$ kgf and control group showed the lowest value of diametral tensile strength, $81.80{\pm}2.17$ kgf. Control group which was cured by visible light showed higher diametral tensile strength than group 3 which was cured Argon Laser. Group 2 which was treated by heat showed higher compressive strength than that of group 1 which was not,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1 and group 2(p<0.001). Group 5 which was treated by heat showed higher compressive strength than group 4 which was no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group 4 and group 5(p<0.001). 3.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group 5 showed the highest value of microhardness of top surface, $148.42{\pm}9.57$ kgf and control group showed the lowest value of microhardness, $111.43{\pm}7.63$ kgf. In the case of bottom surface, group 5 showed the highest value of $146.19{\pm}7.62$ kgf, and control group showed the lowest, $104.03{\pm}11.05$ kgf. Group 3 which was cured by Argon Laser showed higher diametral tensile strength than control group which was cured only with a visible light gun. Group 2 which was treated by heat showed higher compressive strength than that of group 1 which was no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1 and group 2(p<0.001). Group 5 which was treated by heat showed higher compressive strength than group 4 which was no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group 4 and group 5(p<0.001). 4.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we took a conclusion that argon laser can be used as a useful unit for curing the composite resin and heat treatment can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resin inlay.

  • PDF

저장 유통중 시어진 된장의 화학적 성분 연구 (On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ur Doenjang (Fermented Soybean Paste))

  • 신동화;강금성;이지영;정도연;한금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60-366
    • /
    • 2010
  • 본 연구는 전통적으로 제조된 정상된장과 유통중 신맛이 생성된 된장의 일반성분, 색도, 유기산, 유리아미노산의 함량 및 미생물 분포를 비교하였다. 수분함량은 신맛된장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염도 함량은 정상된장은 16.37%로 높으나 신맛된장은 14.48%~8.92%로 낮았다. pH는 정상된장이 높았고 신맛된장은 숙성기간 중 유기산이 많이 발생되어 pH 값이 낮게 나타났다. 적정산도는 신맛된장이 높게 나타났고 항온($45^{\circ}C$)에서 1~4주간 저장기간에 적정산도가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정상된장과 신맛된장이 비슷하였고 시료에 따라 함량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기산은 옥살산, 호박산, 초산 및 젖산이 신맛된장에서 현저하게 높았고 초산은 신맛된장에서 2.5~3.2배, 젖산은 신맛된장에서 11~18배 높았다. 항온저장($45^{\circ}C$)에서 4주 후 유기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젖산함량은 정상된장에서 8.4배정도 증가하였으며 구연산은 정상된장과 신맛된장에서 모두 증가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정상된장에서 글루탐산, 아스파트산 및 아르기닌 등이 4~5배정도 높았다. 항온저장($45^{\circ}C$)에서 4주 후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 신맛된장에서는 변화가 없었고 정상된장에서는 1/3배정도 감소하였다. 일반세균수(생균수) 및 산생성균은 정상된장보다 신맛된장에서 낮게 나타났고 효모, 곰팡이, 대장균군은 정상된장과 신맛된장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항온저장($45^{\circ}C$)에서 저장 중 미생물 변화는 정상된장과 신맛된장에서 일반세균수(생균수), 산생성균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정상된장과 비교하여 신맛된장은 염도가 낮았으며 수분함량이 높았고 이에 따라 숙성과정 중 발효 미생물에 의하여 pH가 낮아지고 적정산도가 증가 하였으며 신맛된장은 글루탐산, 아스파트산, 아르기닌 등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정상된장 보다 낮아 신맛에 영향이 없으나 신맛된장에서 젖산, 초산 등의 유기산 함량이 높아져 된장에서 신맛이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용성 키토산분해물질을 침지액으로 이용한 두부의 저장성 증대 (The Extension of Tofu Shelf-Life with Water-Soluble Degraded Chitosan as Immersion Solution)

  • 전기환;김병용;손태일;함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76-481
    • /
    • 1997
  • 두부의 저장성에 미치는 수용성 키토산 분해물질의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해 두부침지액으로 일반 시중 두부공장에서 사용하는 수돗물, 멸균증류수, 0.5% 키토산 분해물질, 0.5% fumaric acid, 0.5% lactic acid를 사용하여 $4^{\circ}C$에서 냉장저장하면서 pH와 탁도, 그리고 미생물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수용성 키토산 분해물질을 첨가한 침지액의 경우 총균수가 21일 저장시 $10^{7}\;CFU/mL$에 달해 다른 침지액에 비해 7일에서 14일의 저장기간 연장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초기 오염 미생물의 lag phase가 다른 군에 비해 상당히 길어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Yeast와 mold, 그리고 E. coli의 경우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0.5% 키토산 분해물질 첨가 침지액의 경우가 다른 침지액의 경우보다 증가율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수용성 키토산 분해물질의 항균효과를 잘 보여주고 있다. 초기 pH는 0.5% fumaric acid와 lactic acid의 경우 pH 4.68과 pH 5.12로 상당히 낮았으며, 수돗물과 멸균증류수, 0.5% 키토산 분해물질 첨가 침지액에서는 pH 7.2로 비슷하였고, 저장 초기에 약간 감소하다가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탁도의 변화는 미생물상의 변화와 연관시켜 두부가 부패된 것으로 간주되는 총균수 $10^{7}\;CFU/mL$이상에서 0.2를 초과해 탁도가 두부부패정도를 파악하는 한 척도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상기 결과로부터 항균성을 가지는 수용성 키토산 분해물질을 첨가한 두부 침지액의 개발은 두부의 저장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농산물(農産物) 폐물(廢物)을 이용(利用)한 농후사료(濃厚飼料) 제조(製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anufacture of Concentrated Feed by the Use of Farm Product Waste Materials)

  • 김삼순;이지열;박성오;김기주
    • 한국균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5-23
    • /
    • 1973
  • 각지(各地)에서 수집(蒐集)한 목재부식물(木材腐蝕物), 퇴비(堆肥), 고목(古木)의 버섯, 토양(土壤) 및 부후고엽(腐朽枯葉) 등 60여종(餘種) 시료중(試料中)에 cellulase 생성균(生成菌)을 130균주(菌株) 분리(分離)하여 CMC분해력(分解力)과 여지(濾紙)붕괴력이 비교적(比較的) 강(强)한 균주(菌株) 3종(種)을 선정(選定)하여 이에 대(對)한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고 동정(同定), 조효소제(粗酵素劑) 이용(利用) 등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선정(選定)된 균주(菌株)는 홍릉(洪陵)의 부후고목(腐朽古木)에서 KM 10-1, 전북완주(全北完州)의 부후고엽(腐朽枯葉)에서 OL 11-1 수원(水原)의 퇴비(堆肥)로부터 얻은 SH 9-2이다. 2. Cellulase 생산(生産)에 있어서의 최적외적(最適外的) 조건(條件)은 KM 10-1 ; pH $5.2{\sim}5.5,\;35^{\circ}C$, 배양일수(培養日數) 6일(日) OL 11-1 ; pH 5.5, $30{\sim}35^{\circ}C$, 배양일수(培養日數) 6일(日) SH 9-2 ; pH 5.5, $30^{\circ}C$, 배양일수(培養日數) 6일(日) 3. Cellulase력가(力價)는 최적배양조건하(最適培養條件下)에서 KM 10-1 ; CMC점도저하력(粘度低下力) 78.5%, CMC당화력(糖化力)은 4.0 glucose mg/배양물건물(培養物乾物) g/분(分) OL 11-1 ; CMC점도저하력(粘度低下力) 89.9%, CMC당화력(糖化力)은 4.9 glucose mg/배양물건물(培養物乾物) g/분(分) SH 9-2 ; CMC점도저하력(粘度低下力) 77-4%, CMC당화력(糖化力)은 3.9 glucose mg/배양물건물(培養物乾物) g/분(分) 4. 배지조성(培地組成)은 피(被)과 톱밥외에 단백질(蛋白質)을 첨가(添加) 시(時)에 대두박(大豆粕)이 가장 양호(良好)하였으며, KM 10-1, OL 11-1은 avicel 30%를 첨가(添加)하는 것이 우수(優秀)하고 SH 9-2는 cellulose powder 20%를 첨가(添加)한 것이 우수(優秀)하였다. 5. 선정균(選定菌)의 동정결과(同定結果)는 KM 10-1 ; Aspergillus niger van Tieghem OL 11-1 ; Aspergillus schiemanni Thom SH 9-2 ; Trichcderma viride Fers. 등(等)과 근록(近綠)의 균주(菌株)이었다. 6. 선정(選定) 균주(菌株)의 조효소제(粗酵素劑)에 의(依)하여 다량(多量)의 섬유질(纖維質)을 함유(含有)한 사료(飼料)에 처리 작용시킨 결과(結果) 약(約) 30%의 섬유소를 분해(分解)하였다.

  • PDF

제품 간장의 보존에 관한 연구 -제1보 일반성분 및 미생물의 경시적 변화- (Studies on the Preservation of Soy Sauce -Part I. The Periodical Change of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flora-)

  • 이택수;주영하;신보규;유주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00-207
    • /
    • 1975
  • 성분이 동일한 S회사 제품 간장을 $30^{\circ}C$, $15^{\circ}C$, $5^{\circ}C$로 각각 달리하여 밀봉과 개봉 방치상태로 1년이상 보존하면서 경시적으로 성분의 변화 및 미생물의 동태를 관찰하고 동시에 기타 시판제품간장 중에 생육하는 미생물을 계측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총질소, 색도, 비중, 식염의 함량은 보존기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현상을 나타냈으며 고온도 $(30^{\circ}C,\;15^{\circ}C)$, 개봉방치 상태에서는 저온도$(5^{\circ}C)$ 밀봉방치 상태에 비하여 증가현상은 현저 하였다. (2) 제품간장 보존중의 pH 및 완충능의 변화는 거의 인정할 수 없었다. (3) 알콜 및 당분은 보존기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알콜은 개봉상태에서는 13개월 경과후에 전시험구 공히 검출되지 않았으며 밀봉 역시 13개월경에는 전함량의 1/2이상이 소실되었다. (4) 제품간장 1ml중에 생육하는 일반 세균수는 살균 전 96만개 정도에서 살균직후 1,060개정도로 감소되었고, 그후 저장 13개월경까지 통산 $10^2{\sim}10^3$정도의 출현을 보였으며 내염성세균수는 살균전 38만개 정도에서 살균직후 127개 그후 통산 $10^2$이하였다. (5) 제품간장 1ml중에 생육하는 곰팡의 포자수는 살균전 3억 2천만, 살균직후, 저장 13개월경까지 경시적으로 $10{\sim}10^2$정도였다. (6) 제품간장중에 생육하는 세균의 수는 보존기간의 경과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고온도, 개봉상태에서는 저온도, 밀봉상태 보다도 생존하는 균수는 감소되었다. (7) 시판제품간장 1ml중에 생육하는 효모 및 세균수는 제조원에 따라 다양하나 $10{\sim}10^3$의 출현을 보였다. (8) 보존기간의 경과에 따른 제품간장의 관능시험 결과 저온도, 밀봉상태에서는 품질의 안전성을 유지 하였으나 고온도 개봉상태에서는 다소 불량한 편이었다.

  • PDF

플라스틱 안경렌즈용 초고굴절 모노머 합성 및 이를 이용한 안경렌즈 제조 (Synthesis of Ultra High Refractive Index Monomer for Plastic Optical Lens and Its Ophthalmic Lens Preparation)

  • 장동규;김종효;이수민;노수균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6
    • /
    • 2008
  • 목적: 플라스틱 안경렌즈용 모노머 소재는 거의 전량이 선진국으로부터 국내안경관련 업체가 수입해오고 있는 실정이며 FTA 대비 및 침체되어 가고 있는 안경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플라스틱 안경렌즈 관련 재료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안경렌즈용 소재의 수입대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새로운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모노머 소재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는 새로운 우레탄계 초고굴절률 플라스틱 안경렌즈 모노머 수지를 합성하고 이를 이용한 안경렌즈 제조한 후, 안경렌즈의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초고굴절용으로 사용가능한 안경렌즈 수지인 ETS-4(2-(2-mercaptoethylthio)-3-{2-[3-mercapto-2-(2-mercaptoethylthio) propylthio]ethylthio}propane-1-thiol)를 합성하고, 이 물질의 확인 및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원소분석, EI-MS, TGA, FT-IR 분광기, ^1H$$^{13}C$ NMR 분광기 등을 이용하였고 모노머 수지와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여 균일하게 섞은 후, 안경몰드에 케스팅하고 가열경화하여 얻은 안경렌즈의 광학적인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굴절률 및 아베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합성하고자 하는 소재는 원소분석, EI-MS, TGA, FT-IR 분광기, ^1H$$^{13}C$ NMR 분광기 등의 측정에서 얻은 결과에 의하면 합성되었다는 확인하였고, 합성물질은 세 가지의 이성질체의 존재를 $^{13}C$ NMR 분광법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아베굴절계로 측정한 액상 상태의 모노머 굴절률은 1.647이었다. ETS-4 모노머 및 디이소시아네이트 종을 이용하여 제조한 안경렌지의 생지는 무색투명하며, 생지의 굴절률은 1.656~1.680 이었다. 결론: 새로운 초고굴절용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모노머를 합성하고, 그 물질의 구조 및 특성을 연구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플라스틱 안경렌즈는 무색투명하며 특성이 우수하여 상업화가 가능하다.

  • PDF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이용한 실험적 레진의 표면 조도에 대한 연구 (SURFACE ROUGHNESS OF EXPERIMENTAL COMPOSITE RESINS USING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 배지현;이미애;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1호
    • /
    • pp.1-8
    • /
    • 2008
  • 본 연구는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새로운 단량체와 filler의 크기, 연마방법이 실험용 복합레진의 표면조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단점이 많은 희석재인 TEGDMA의 사용을 줄이기 위해, Bis-GMA의 유도체로서 중합수축이 적고 점도가 낮은 새로운 단량체인 methoxlyated Bis-GMA (Bis-M-CMA)를 첨가하고 다른 크기의 filer를 갖는 2종의 실험용 복합레진과 TEGDMA를 함유한 1종의 실험용 복합레진을 제작하였다. EX1; 실험용 복합레진 1 (Bis-M-GMA/TEGDMA = 95/5 wt%, 40 nm 나노필러 함유), EX2; 실험용 복합레진 2 (Bis-M-GMA/TEGDMA = 95/5wt%, 20 nm 나노필러 함유), EX3; 실험용 복합레진 3 (Bis-GMA/TEGDMA = 70/30 wt%, 40 nm 나노필러 함유). 테프론 몰드를 이용하여 지름 6 mm 두께 2 mm의 시편을 각 실험용 복합레진과 Filtek Z250으로 9개씩 만들고 3군으로 분류하였다. Mylar strip 군은 연마를 하지 않았고, Sof-lex군은 #1000 SiC paper로 연마한 뒤 501-lex disc로 연마하였다. Diapolisher 군은 #1000 SiC paper로 연마한 뒤 DiaPolisher polishing point로 연마하였다.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각 시편당 7군데에서 Rq (Root mean square roughness), Rv (Valley roughness), Rp (Peak roughness), Rc (2D Roughness), Sc (3D Roughness) 값을 측정하였고, Two-way ANOVA와 Tukey multiple comparisons test로 유의수준 0.05로 통계처리 하였다. 복합레진의 종류 (p < 0.001), 연마 방법 (p < 0.001)은 각각 모두 표면조도 값에 영향을 미치며, 복합레진의 종류와 연마 방법 간에는 교호 작용이 관찰되었다 (p < 0.001).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른 표면조도는 EX2가 가장 거친 표면을 보였고, EX3이 가장 평활한 면을 형성하였으며 (p < 0.05). 연마 방법에서는 연마하지 않은 Mylar strip 군이 가장 평활한 면을 형성하였다 (p < 0.05).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보면 연마하지 않고 Mylar strip하에서 복합레진이 중합된 경우 가장 낮은 표면조도와 평활한 표면을 보였으며, 새로운 레진 단량체인 Bis-M-GMA를 함유한 복합레진이 수복물의 표면조도 측면에서는 필러 크기에 관계없이 기존의 Bis-GMA/TEGDMA를 기질단량체로 사용하는 복합레진에 비교하여 우수하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