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CBCL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31초

Berkeley Puppet Interview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 연구 - 증상 척도와 부모-자녀 관계척도 (A PILOT STUDY FOR STANDARDIZATION OF BERKELEY PUPPET INTERVIEW - SYMPTOMATOLOGY & PARENT-CHILD RELATIONSHIP SCALE)

  • 신민섭;손정우;조수철;김붕년;김수경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4권1호
    • /
    • pp.103-111
    • /
    • 2003
  • 목 적:본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개발된 반 구조화된 진단적 인터뷰인 Berkeley Puppet Interview(BPI)의 유용성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BPI는 만 4세에서 7세 사이의 아동들에 대한 진단적 도구로써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BPI의 척도(symptomatology, marital relationship, parent-child relationship, academy & social scale) 중 임상 장면과 놀이 치료 장면에서 가장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증상 척도(BPI-S)와 부모자녀 관계 척도(BPI-PC)가 아동의 문제를 진단하는 평가 도구로써 신뢰롭고 타당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수용 언어(Receptive language)가 부진한 아동을 제외한 만 4세에서 만 7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용 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PTI의 어휘와 상식 및 이해 소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토끼 손 인형을 사용하여 BPI 증상 척도와 부모 자녀 척도를 아동들에게 실시하였다. BPI-S에 대한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K-CBCL을 환아모에게 실시하였다. 결 과:BPI-S와 BPI-PC 모두에서 chronbach's alpha=0.74와 0.86 정도의 수준을 보여 통계적으로 신뢰로운 결과를 보였다. BPI-S의 타당도는 우울, 또래에 대한 공격성 및 ADHD 부주의형을 제외한 6개의 하위 유형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 PDF

틱 장애의 진단분류에 따른 임상특징과 질환 심각도와 연관된 변인들 (THE CLINICAL FEATURES OF THREE SUB-DIAGNOSED GROUPS OF TIC DISORDERS AND FACTORS RELATED WITH ILLNESS SEVERITY)

  • 정희연;황정민;정선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1호
    • /
    • pp.115-124
    • /
    • 2001
  • 연구목적:본 연구는 일과성 틱 장애(Transient tic disorder:TTD), 만성 틱 장애(chronic tic disoder:CTD), 뚜렛 장애(Tourette's disorder:TD) 아동의 임상 양상을 비교하고, 틱 장애의 질환 심각도와 연관된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 법:DSM-Ⅳ 진단분류에 따라 틱 장애로 진단된 69명의 아동과 대조군 43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변인 및 틱과 관련된 임상적 변인을 조사하였다. 틱 증상의 심각도를 알아보기 위해 예일 틱 증상 평가 척도(Yale Global Tic Severity Scale)을 시행하였으며 연구 대상 모두에게 동반된 정서/행동 문제를 평가하기 위해 아동 행동조사표(Child Behavior Checklist)를 시행하였다. 결 과:TTD군은 CTD 및 TD군과 비교할 때 틱 증상의 지속 기간이 짧을 뿐 아니라 틱 증상의 심각도와 장해 정도도 미약하였다. TTD군의 동반된 정서/행동 문제 역시 CTD, TD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으며 공격성 소척도 점수를 제외하고는 정상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CTD군과 TD군간에는 틱 증상의 종류, 개수와 CBCL의 사회성 문제 소척도 점수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이 없었다. 틱 증상으로 인한 장해 정도를 가장 잘 예측해 주는 변인은 운동틱의 강도와 방해도, 틱 증상의 지속기간이었으며, CBCL 총 문제행동 점수와 가장 높은 연관성이 있는 변인은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의 존재여부였다. 결 론:본 연구의 결과는 틱 증상의 심각도 외에 증상의 지속 기간이 틱 장애 아동들의 틱으로 인한 장해도에 큰 영향을 미치며, 동반된 ADHD의 존재가 이들의 임상상을 결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위와 같은 임상 변인들이 틱 장애의 진단적 분류보다도 틱 장애 아동의 질환 심각도를 판단하고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있어 더욱 중요함을 시사한다.

  • PDF

야뇨증을 보이는 일반아동에서의 정서-행동 문제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NOCTURNAL ENURESIS CHILDREN IN GENERAL POPULATION)

  • 이영식;김은영;나철;전창무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1호
    • /
    • pp.42-50
    • /
    • 2000
  • 연구 목적:현재 야뇨증에서 흔히 보이는 문제행동이 야뇨증의 원인인지, 결과인지, 아니면 공존하는 동반된 문제인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저자들은 기존 연구의 대상이 대부분 임상환자였다는 점을 감안하여 비임상군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야뇨증 아동에서 흔히 보이는 문제행동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야뇨증과 문제행동간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충청북도 영동군 소재의 2개 초등학교 학생 1,421명중 야뇨증이 있는 72명을 환자군으로 하였고, 연령, 학년, 성별을 대비시킨 72명의 정상아동을 대조군으로 하여 수정된 아동행동조사표를 시행하였다. 결 과:야뇨증 아동에서 불안-공포 척도, 우울 척도, 주의력결핍-과잉활동 척도, 비행 척도의 점수가 의미있게 높게 나왔다. 주의력결핍-과잉활동 척도의 점수는 성별과 학년에 관계없이 항상 의미있게 높게 나왔으며 남자와 고학년에서는 비행 척도가 의미 있었고, 여자와 저학년에서는 불안-공포 척도가 의미 있었다. 결 론:야뇨증 아동에서 다양한 문제행동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았고 야뇨증 환자의 치료시 이런 문제행동들에 좀더 주의를 기울이고,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PDF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위축행동 감소를 위한 가창 프로그램 연구 (A Study of a Singing Program for Decreasing Withdrawal Behaviors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 김수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6권1호
    • /
    • pp.33-53
    • /
    • 2009
  • 본 연구는 가창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위축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본 실험연구로 교사에게 추천 받은 서울 소재 S 지역아동센터에 다니고 있는 위축행동 아동 5명에게 가창 프로그램을 한 회기 60분씩 총 10회기 실시하였다. 양적 측정을 위해 아동에게는 K-CBCL의 자기보고형 위축척도 검사를, 교사에게는 K-CBCL의 교사 평가 위축척도 검사를 실시하여 대상자들의 위축행동 변화를 살펴보았고 그 외 위축관련 행동인 목소리 사용 변화와 자기표현 변화 그리고 눈맞춤 횟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매 회기 녹화된 비디오를 분석하고 이를 기록하였다. 그 결과 K-CBCL의 자기보고형 위축척도 점수는 6.4점 감소하였고, Wilcoxon 비모수 검정 결과 유의수준 .042(p < .05)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 K-CBCL의 교사 평가 위축척도 점수는 3.6점 감소하였고, Wilcoxon 비모수 검정 결과 역시 유의수준 .042(p < .05)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 대상자들이 가창 활동 안에서 보인 위축관련 행동인 목소리 사용과 자기표현 변화, 그리고 눈맞춤 횟수를 비디오 분석을 통해 회기별로 분석한 결과 가창 활동 초기에 비해 후기에 각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창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위축행동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중재도구임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 PDF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에서 Child Behavior Checklist 1.5-5 유아 행동평가척도 부모용의 변별력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1.5-5 in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 이선희;하은혜;송동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6권1호
    • /
    • pp.30-37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and clinical cutoff score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1.5-5 (CBCL 1.5-5) for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Methods: 44 ASD infants and 100 normal infants participated. T-test, discriminant analysis,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 and odds ratio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data. Results: Discriminant validity was confirmed by mean differences and discriminant analysis on the subscales of Withdrawn, Attention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Total problems, and all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oriented scales between the two groups. ROC curve analysis showed that Withdrawn, Attention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Total problems,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DSM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problems, and DSM oppositional defiant problems significantly predicted ASD infants compared to normal infants. In addition, the clinical cutoff score criteria adopted in the Korean CBCL 1.5-5 for subscales of Withdrawn, Attention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Total problems,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DSM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problems, and DSM oppositional defiant problems were shown to be valid. Conclusion: The subscales of Withdrawn, Attention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Total problems,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DSM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problems, and DSM oppositional defiant problems significantly discriminated for the diagnosis of ASD.

Preliminary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SM-5 Level 2 Cross-Cutting Symptom Measure: Depression and Irritability for Parents of Children Aged 6-17 Years

  • Shin, Min-Sup;Kim, Bung-Nyun;Jang, Mirae;Shin, Hanbyul;Seo, Gyuji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3권3호
    • /
    • pp.67-72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DSM-5) Level 2 Cross-Cutting Symptom Measure-Patient-Reported Outcomes Measurement Information System (PROMIS)-Depression and the Irritability for parents of children aged 6-17 years. Methods: Participants were 190 children diagnosed with depressive disorder (n=14), anxiety disorder (n=21),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n=111), ADHD with anxious depression (n=13), and tic disorder with somatic symptoms (n=31). Patients were 8-15 years of age. The participants' mothers completed the Korean versions of the DSM-5 Level 2 Cross-Cutting Symptom Measure-PROMIS Depression and Irritability (Affective Reactivity Index, ARI), and 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Using these data, we calculate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and examined th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PROMIS Depression and the Irritability (ARI) scales for assessing depression and irritability in children. Results: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PROMIS Depression scale (Cronbach's α) was 0.93.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the K-CBCL DSM emotional problem score was 0.71. The PROMIS Depression scale significantly discriminated children with depressive disorders from those with other conditions.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Irritability (ARI) scale was 0.91, suggesting its high reliability.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DSM-5 Level 2 Cross-Cutting Symptom Measure for Depression and Irritability Scales for parents of children aged 6-17 years is reliable and valid and may be an efficient alternative to the K-CBCL.

틱 장애아(障碍兒)들의 동반 정신병리(同伴 精神病理)와 부모양육태도(父母養育態度)에 관(關)한 연구(硏究) (COMORBID PSYCHOPATHOLOGY AND PARENTAL BEHAVIORS IN TIC DISORDER CHILDREN)

  • 김자성;이정섭;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5권1호
    • /
    • pp.150-161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83명의 틱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임상적인 특성(성별빈도 차이, 형제순위별 특성, 동반 행동문제, 스트레스 정도 등)을 살펴보았고, 아동 행동조사표(CBCL)과 어머니 양육태도 검사(MBRI)를 이용하여 동반된 행동문제의 정도와 어머니 양육태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또한 DSM-III-R별 진단에 따른 차이, 주의집중문제의 동반효과 등에 관하여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자가 5.9 : 1로 많았다. 2) 형제순위별로는 첫째가 막내보다 두배 이상 많았다. (맏이 : 막내 : 외동=4.7 : 1.7 : 1) 3) 형제순위별로 발병시기에서는 맏이가 빠른 경향을 보였다. 4) 틱 장애에서 대조군보다 동반된 행동문제가 유의하게 많았다. 5) 틱 장애 아동의 어머니들이 대조군의 어머니들보다 더욱 증오적, 거절적이었고, 아동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6) 뚜렛 장애 아동이 만성 틱 장애 아동에 비해 동반된 행동문제가 더 심하지는 않았다. 7) 주의집중 문제가 동반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다른 행동문제가 더 심했다. 8) 가족력이 있는 경우일수록 뚜렛장애 진단이 더 많았다.

  • PDF

한국판 소아신체화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 문항구성과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of the Korean Somatization Scale for Children: An Investig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 이소영;박준호;정한용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9권3호
    • /
    • pp.168-174
    • /
    • 200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Somatization Scale for Children (KSS-C) an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scale. Methods: Sixty-five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omatic symptoms were evaluated the KSS-C, Child Version,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and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STAIC). 65 parents of the subjects evaluated the KSS-C, Parent Version and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Psychometric properties and associations with the internalizing symptoms were. Results: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by factor analysis. KSS-C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DI, the STAIC, and the internalization, externalization and somatization scale of the K-CBCL. The KSS-C, Parent Ver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KSS-C, Child Version. Frequently reported somatic symptoms in children were fatigue, headache, low energy, stomachache, and nausea. Conclusion: Both KSS-C, Child Version and KSS-P, Parent Version were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assess somatic symptoms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 PDF

미숙아로 출생한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의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Preschoolers Born Prematurely)

  • 이상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470-478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preschoolers who were born prematurely and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parenting stress in child's problem behavior, mother-child interaction and parenting alliance. Methods: An exploratory survey study was conducted with 66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5~6 years) with preterm births (PTB). Data were collected using Parenting Stress Index (PSI),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Mother-Preschool Child Interaction Scale (MPIS), and Parenting Alliance Inventory (PAI). Results: Of the 66 mothers, 8(12.1%) showed high scores that were more than borderline for the PSI total score. I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lower scores on the PAI (${\beta}=-.41$, p<.001), higher scores on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of the CBCL (${\beta}=.40$, p=.001), and lower scores on the MPIS (${\beta}=-.21$, p=.043)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tributors to maternal parenting stress.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mothers of PTB preschool children are at risk for parenting stress. Child'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poor maternal-child interaction and parenting alliance were independent factors raising maternal parenting stress. More attention is needed on paternal parenting support, child's behavioral development, interaction with children for effectiv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of PTB young children.

소아와 조기청소년에서 보이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간질의 공통적 특성 (Common Feature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Epileptic Disorder in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 김시형;김태형;최말례;김병조;송옥선;장영택;은헌정
    • 정신신체의학
    • /
    • 제19권2호
    • /
    • pp.101-108
    • /
    • 2011
  • 연구목적: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와 간질 사이에서 나타나는 공통적 특성을 연구할 목적으로 Korea-Child Behavior Checklist(K-CBCL)과 ADHD Diagnostic System (ADS), Electroencephalogram(EEG)를 평가하여 두 질환군의 공통적 특성(Common features)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6세부터 16세까지의 소아,청소년들을 대상으로 ADHD군 30명 간질군 34명 그리고 대조군은 29명이었다. 평가도구는 K-CBCL과 자가보고 도구인 ADS를 사용하였으며 뇌파를 측정하였다. 모든 결과의 분석은 다중변량분석(MANOVA)과 교차분석(${\chi}^2$-test)을 이용하였다. 결 과: 간질군, ADHD군 간의 공통적 특성으로 뇌파에서 비정상 뇌파 소견(대조군 13.8%, 간질군 97.1%, ADHD군 40%)을 보인 것과 ADS에서 부주의, 반응시간 표준편차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 론: 간질군과 ADHD군에서 비정상 뇌파 소견, 부주의, 반응시간 표준편차라는 공통적 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