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rassic

검색결과 329건 처리시간 0.026초

남한(南韓)의 신기화강암류(新期花崗岩類)의 관입시기(貫入時期)와 지각변동(地殼變動) (Study on the Intrusion Epochs of Younger Granites and their Bearing to Orogenies in South Korea)

  • 김옥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4권1호
    • /
    • pp.1-9
    • /
    • 1971
  • The "Younger Granites" in Korea were being believed to be late Cretaceous in age and named "Bulkuksa granites" by all previous works until the writer had discovered Jurassic granite in 1963. The present paper is to prove its validity by age dating on these granites which was carried out by Professor Y. Ueda, Tohoku University, Japan. The age of 37 granites samples from various localities ranges from 68 my to 181 my. Of these 10 samples belonged to early Jurassic, 6 samples to mid-Jurassic, 4 samples to late Jurassic, 5 samples to early Cretaceous, and 12 samples to late Cretaceous in age. It is of the writer's opinion that the granites intruded in from early Jurassic to early Cretaceous age belong to Daebo granites and are syntectonic plutons associated with Daebo orogeny, and only those of late Cretaceous age belong to Bulkuksa granites that were associated with Bulkuksa disturbance. Daebo granites are aligned along NE-SW Sinian direction in the middle parts of Korea and crop out in the cores of folded mountains which were formed by Daebo Orogeny, such as Charyong, Noryong, Sobaek, and Dukyu Ranges. On the contrary Bulkuksa granites are restricted in Kyongsang basin and adjacent few localities in distribution and show no alignment. Granites supposedly associated with other disturbances of post-precambrian Have not been found so far in S. Korea. Age dating of granites has revealed that Daebo orogeny might be continuous from Songrim distur bance of late Triassic age. From this viewpoint, it could be assumed that Daedong system of Jurassic age were deposited in separate intermontain basins while Daebo orogeny was active, so that Daedong system in separate localities in Korea could not been correlated in their lithology as well as stratig raphy.

  • PDF

독일 남부지역에서 시추한 상부쥐라기 코어 시료의 유기물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Organic Matter in Upper Jurassic Core Samples Drilled in Southern Germany)

  • 박명호;김일수;이영주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5호
    • /
    • pp.429-436
    • /
    • 2002
  • 남부독일의 상부쥐라기 석회암 내에 들어 있는 유기물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바이에른 중부지역에서 시추한 코어 시료를 분석하였다. 코어(북위 48$^{\circ}$53', 동위 11$^{\circ}$19')는 가이젠탈층의 상부에서 졸른호펜층의 전체를 걸쳐 뫼른스하임층의 상부까지 중생대 상부쥐라기의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어에서 상부쥐라기 암질은 판상석회암, 층상석회암 및 괴상석회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부 쳐어트층이 협재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지화학 변화(탄소, 질소, 총유기탄소)와 Rock-Eval 열분해 데이터(S$_2$피크와 수소지수)는 상부쥐라기 석회암이 대부분 해양성 기원임을 지시한다. 특히, 수소지수와 총유기탄소 그리고 S$_2$ 상호 상관관계는 층에 따라 비례 또는 반비례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코어의 하부층(가이젠탈층과 졸른호펜층)에 비하여 코어의 상부층인 뫼른스하임층이 육원성 퇴적물의 유입에 영향을 좀 더 많이 받았음을 의미한다.

한반도 쥬라기 심성암의 연령분포 (Age Distribution of the Jurassic Plutons in Korean Peninsula)

  • 박계헌;김명정;양윤석;조경오
    • 암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69-281
    • /
    • 2010
  • 쥬라기 동안 한반도에 관입한 심성암체들에 대한 최근의 정밀한 연대측정결과들을 종합해보면 남쪽에 위치한 영남육괴에서는 삼첩기와 쥬라기의 경계시기인 약 200 Ma 무렵부터 가장 먼저 화성활동이 시작되었으며 점차 북쪽으로 화성활동의 범위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난다. 옥천대 및 그 주변지역에서의 화성활동은 영남육괴에서의 화성활동이 거의 종료된 약 180 Ma무렵부터 화성활동이 시작되었고, 더 북쪽의 경기육괴 및 그 주변지역에서의 주된 쥬라기 화성활동의 시작은 옥천대지역보다는 조금 더 후기인 약 170 Ma경부터이다. 쥬라기 화성활동이 종료된 시점도 옥천대 및 그 주변지역이 경기육괴 지역보다는 조금 일찍 종료되었다. 이와 같은 한반도에서의 쥬라기 화성활동 시기가 위치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 것은 해구까지의 거리와 섭입 각도 및 섭입판의 침강각과 같은 요소들이 변화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한반도에서 확인된 정밀한 연령에 따른 화성활동의 변화는 당시의 동북아시아 고지리 및 지구조환경을 세밀하게 복원하는데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우리나라 쥬라기 화강암의 스위트/슈퍼스위트 분류에 대한 예비적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Granite Suite and Supersuite for the Jurassic Granites in South Korea)

  • 좌용주
    • 암석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22-230
    • /
    • 2008
  • 우리나라 중생대 쥬라기(${\sim}$트라이아스기) 화강암의 관입 연대는 화강암이 분포하는 지체구조에 따라 $210{\sim}170\;Ma$$180{\sim}160\;Ma$의 두 시기로 재설정 될 수 있다. 경기육괴의 쥬라기 화강암의 관입 시기는 주로 $180{\sim}160\;Ma$에 속하여 쥬라기 중기의 화성활동으로 규정된다. 한편, 영남육괴의 쥬라기 화강암의 경우 $210{\sim}170\;Ma$의 관입 연대를 보여 트라이아스기 말기에서 쥬라기 중기에 걸친 화성활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우리나라 중생대 쥬라기 화강암에 대한 스위트/슈퍼스위트 구분에서 경기육괴의 북동-남서방향의 커다란 쥬라기 저반은 '경기 슈퍼스위트'로 설정될 수 있다. 이 슈퍼스위트는 화성기원의 지각성분에 좀 더 부화된 지각 성분이 포함된 근원물질에서 유래하며, 충돌환경으로부터 약 50Ma후에 일어난 후조산환경(post-orogenic)에서 형성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남육괴의 쥬라기 화강암은 하나의 슈퍼스위트와 두 개의 스위트로 구분된다. 북동-남서 방향의 저반형 화강암체들로부터 '영남 슈퍼스위트'가 설정될 수 있다. 이 슈퍼스위트는 화성기원의 지각성분에 좀 더 부화된 지각성분이 포함된 근원물질에서 유래한다. 영남육괴의 안동김천 사이의 화강암체들은 '안동 스위트'로 설정될 수 있는데, 이 스위트는 결핍된 맨틀 성분에 화성기원 지각성분이 혼합된 근원물질에서 유래하며, 화산전면대에 비교적 가까운 지역에서 형성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남육괴의 대강화강암과 함창 화강암은 '대강 스위트'로 설정될 수 있다. 대강 스위트는 영남육괴에서 일어난 대부분의 쥬라기 화성활동과는 지체구조적 환경이 다른, 즉 인장력이 우세하던 환경에서 마그마가 형성된 비조산성 화성활동으로 특징지어진다.

충남탄전(忠南炭田) 무연탄(無煙炭)의 특성(特性) (Property of the Jurassic anthracite (Anthracite from the Seongju Area of the Chungnam Coalfield))

  • 박석환;박홍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22권2호
    • /
    • pp.129-139
    • /
    • 1989
  • The anthracite coalfields of Korea are confined to the areas where sedimentary rocks of Permian and Jurassic are preserved. The Chungnam coalfield lies in the sedimentary rocks of Jurassic which belongs to the Daedong Supergroup (the Nampo group). For the property analysis of each coal seam interbeded in Daedong Supergroup, Seongju area is chosen and twelve coalseams are taken. Many standard tests have been established for optical analysis (maceral analysis, coalification degree measurement), chemical analysis (proximate, ultimate analysis) and physical analysis (ignition temperature, ash fusion temperature, hardgrove grindability index and X-ray diffraction). The Jurassic anthracite mainly consist of vitrinite and macrinite and the range of the reflectance is $R_{max}$ 5.0-6.5 which means metaanthracite rank. By the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it shows low H/C and high O/C value compare with international average value. By the physical analysis, it has very high ignition temperature ($531-584^{\circ}C$) and ash fusion temperature ($1510-1700^{\circ}C$) and very low combustion velocity (0.2-1.9 mg/min). The very wide range of the hardgrove grindability index (46-132) means that the grindability controlled mainly by the structural conditions of coal bearing strata.

  • PDF

옥천 변성대 변성퇴적암의 K-Ar및 $^{40}$ Ar/$^{39}$ Ar 연대와 그 의의 (K-Ar and $^{40}$ Ar/$^{39}$ Ar Ages from Metasediments in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

  • 김성원;오창환;이덕수;이정후
    • 암석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9-99
    • /
    • 2003
  • 옥천 변성대 서남부 화산지역과 중부 미원-증평지역 52개의 변성이질-사질암과 5개의 화강암류에 있는 흑운모와 백운모로부터 K-Ar과 $^{40}$ Ar/$^{39}$ Ar 연대를 구하였다. 서남부 화산지역 보은과 피반령의 2개의 지구조 단위에서 채취한 변성이질-사질암류로부터 구한 흑운모와 백운모 K-Ar과 $^{40}$ Ar/$^{39}$ Ar 연대는 149-180Ma이다 미원-증평지역의 보은과 피반령의 2개의 지구조 단위에서 채취한 변성이질-사질암류로부터 구한 흑운모와 백운모 K-Ar 연대는 서남부 화산지역에 비해 복잡한 연대분포를 보이는데 백악기 화강암체 주위의 102-105 Ma를 제외하고 142-194Ma(쥬라기), 216-234Ma(삼첩기후기-중기) 및 241-277 Ma(삼첩기초기-페름기 중기)의 범위이다. 하지만 삼첩기부터 페름기까지 연대범위는 보은 단위 북부와 피반령 단위 남부, 즉 증평지역의 옥천변성대 중앙부에서만 구해지며 다른 지역의 연대들은 쥬라기중기에 집중된다. 서남부 화산지역 및 중부 미원-증평지역의 화강암류의 K-Ar과 $^{40}$ Ar/$^{39}$ Ar 흑운모와 백운모 연대들은 쥬라기중기로 이들은 변성퇴적암으로부터 얻어진 쥬라기중기의 $^{40}$ Ar/$^{39}$ Ar과 K-Ar 흑운모와 백운모의 연대와 거의 일치하며 이는 두 암체가 동시에 냉각된 사실을 지시한다. 서남부 화산지역과 중부 미원-증평지역의 보은 단위 및 피반령 단위에서 분리된 탄질물의 $d_{002}$ 값은 모두 각섬암상 범위의 흑연화를 지시하는 3.353-3.359 $\AA$의 매우 좁은 범위에 집중된다. 변성광물군으로 볼 때 녹색편암상의 변성작용을 받은 화산지역의 보은 단위 남부에서도 각섬암상 이상의 고온을 지시하는 탄질물의 $d_{002}$ 값이 나타남은 이들 지역에서 흑운모와 백운모 K-Ar과 $^{40}$ Ar/$^{39}$ Ar 연대가 쥬라기중기에 집중되는 사실, 이들 지역들 내 광역적으로 관입한 화강암의 관입정치연대와 냉각연대가 쥬라기중기인 사실, 그리고 쥬라기 화강암 주변에 50$0^{\circ}C$ 이상의 저압형 변성대가 형성된 것은 광역적으로 변성광물을 형성한 주변성작용 이후 쥬라기초기(\ulcorner)-증기에 일어난 저압형의 광역적 열변성작용을 강하게 뒷받침한다. 하지만 광역적 열변성작용에 의한 변성광물변화는 화강암접촉부 1-2km 내에서만 인지되며 이는 화강암의 빠른 냉각에 의해 1-2km 밖의 광물군이 변화될 만큼 충분한 기간동안 열이 공급되지 못하였음을 지시한다. 한편, 옥천변성대 증평지역 중망부의 변성이질-사질암으로부터 측정된 흑운모와 백운모 K-Ar과 $^{40}$ Ar/$^{39}$ Ar 연대는 최근에 이들 지역에서 보고된 중압형의 주 광역변성작용시기인 석탄기후기-폐름기초기 이후의 냉각역사들을 잘 대변한다. 특히 옥천변성대 중부 증평지역의 중앙부에서 5개 시료에 대해 구한 흑운모와 백운모 K-Ar 연대인 241-249 Ma와 263-277 Ma는 석탄기후기-폐름기초기 (ca. 280-300 Ma) 옥천변성대의 주변성시기 이후 280-300 Ma부터 263-277 Ma 사이에서 약 3$50^{\circ}C$까지의 빠른 냉각과 263-277 Ma부터 241-249 Ma 사이에서 약 30$0^{\circ}C$까지의 느린 냉각을 지시한다 하지만 왜 삼첩기-폐름기의 연대가 증평지역의 중앙부에만 국한되어 나타나는지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요하다.

Geochrononlogy and thermal history of the Chuncheon granite in the Gyeonggi massif, South Korea

  • Jin, Myung-Shik;Shin, Seong-Cheon;Kim, Seong-Jae;Choo, Seung-Hwan
    • 암석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22-129
    • /
    • 1993
  • We report Rb-Sr whole rock, K-Ar and fission track mineral ages for the Chuncheon granite in the Precambrian Gyeonggi massif. The Rb-Sr whole rock define an age of $196{\pm}9$ Ma with an initial ratio of $0.7159{\pm}0.0006$, suggesting that the granitic magma might have been generated from crustal sources (S-type), or probably mixed mantle and crustal materials, and emplaced into the massif in the late Triassic or the early Jurassic. K-Ar mineral ages of hornblende, muscovite and biotite are ~210 Ma, ~180 Ma and 166-170 Ma respectively, and fission track zircon and apatite ages are 65-70 Ma, ~35 Ma respectively. These ages indicate that the granitic magma might have been emplaced at about 7 to 9 km from the paleosurface, and rapidly cooled down up to $300^{\circ}C$ until middle Jurassic (~170 Ma) with a rate of about $10^{\circ}C$/Ma, due to thermal difference between the magma and the wall rock. During middle Jurassic to late Cretaceous (about 170-70 Ma), the granite pluton is assumed to have uplifted to 4 to 6 km level under the paleosurface with a rate of 30 m/Ma and slowly cooled down with a rate of about $1^{\circ}C$/Ma owing to relatively slow denudation of the massif. In late Cretaceous to the present, the pluton might have more rapidly uplifted to the present level with a rate of 85 m/Ma and rapidly cooled down with a rate of about $3^{\circ}C$/Ma compared to those of middle Jurassic to late Cretaceous time because of extensive igneous activities accompanied by tectonism in the Gyeonggi massif.

  • PDF

합천지역의 쥬라기 화강암에 발달된 결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Rock Cleavage in Jurassic Granite, Hapcheon)

  • 박덕원
    • 암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19-230
    • /
    • 2011
  • 합천지역의 쥬라기 화강암에 대하여 결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세균열의 분포상은 박편의 확대사진(${\times}6.7$)에서 잘 확인되었다. 일차 우세 미세균열은 1번 면에 평행하고 이차 우세 미세균열은 2번 면에 평행하다. 이들 1번 결과 2번 결을 형성하는 미세균열은 3번 면상에서 상호 거의 수직을 이룬다. 결과적으로 연구대상 석산에서 채취한 쥬라기 화강암에서 발달하는 결은 미세균열의 배향성과 관련이 있다. 빈도수, 길이 및 밀도와 같은 미세균열의 매개변수들은 1번결 > 2번 결 > 3번 결의 순서로 우세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결의 상대적인 강도를 지시한다. 한편 6개 방향에 따른 압열 인장강도가 측정되었다. 암석의 강도와 상기한 미세균열 매개변수들 사이에는 밀접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옥천습곡대 서남부지역에 분포하는 쥬라기 화강암류의 석영내 아문 미세균열 및 유체포유물을 이용한 고응력장 (Paleostress from Healed Microcracks and Fluid Inclusions in Quartz of the Jurassic Granites in the Southwestern Ogcheon Folded Belt)

  • 강성승;유봉철;장보안;김정빈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32
    • /
    • 2009
  • 옥천습곡대의 서남부지역에서 분포하는 쥬라기 화강암류의 석영내에 존재하는 아문 미세균열과 유체표유물을 분석하여 이 지역에 작용한 고응력장을 해석하였다. 연구지역에서 나타나는 아문 미세균열의 방향성은 전체적으로 $N30^{\circ}W$의 방향이 가장 우세하며 $N70^{\circ}W$의 방향도 나타난다. 연구지역의 아문 미세균열 생성온도는 $380-550^{\circ}C$ 범위를 보이며, 이들 아문 미세균열은 약 166-200Ma의 기간 동안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문 미세균열의 방향성을 통한 고응력장의 작용 방향과 유체포유물에 의한 아문 미세균열의 형성시기를 비교하여 볼 때, 연구지역 내에서 발달하는 화강암질암체는 NNW-SSE와 WNW-ESE 방향의 최대수평주응력인 고응력장이 쥬라기 초기에서 쥬라기 중기 기간 동안 작용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옥천대(沃川帶)에서의 화성활동(火成活動) -특(特)히 옥천대동북부(沃川帶東北部)에서의 화성활동(火成活動)- (Igneous Activity in Ogcheon Geosynclinal Zone,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Igneous Activity in its Northeastern Part-)

  • 이대성;김용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18권1호
    • /
    • pp.23-39
    • /
    • 1985
  • The northeastern part of Ogcheon zone which consisted mainly of Cambro-Ordovician arenaceous, argillaceous and calcareous formations and Carboni-Triassic arenaceous and argillaceous formations is delineated as the eastern mass of a thrust fault along Choongju-Moongyong-Cheongsan in the middle of the zone.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geotectonic line, Imgye-Samchog fault(see, figure 1) which divides the northeastern part into two blocks, Hambacksan block in the west and East coast block in the east. The igneous rocks in the Hambacksan block ranging from granite to gabbro are distributed in a symmetrical zones parallel to general direction of Ogcheon zone as follows (Fig. 2 and Table 2). Southeast igneous rock zone: it aligns Jurassic granites in its south and Precambrian leucocratic granites in its north. Central igneous rock zone: it aligns Cretaceous granites in its south and Jurassic granites, and some of diorite and gabbro in its north. Northwest igneous rock zone: aligns Jurassic granites in its south and huge batholithic granodiorite in its north. The distribution of the igneous rocks in the East coast block shows an entirely different features from those of Hanbacksan block. In the southern part of the block they assemble in a narrow area ranging in age from Early Proterozoic, through Middle to Late Proterozoic, Devonian, Jurassic, Cretaceous to Tertiary, whereas, the igneous rock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block gathered to a restricted area, in ages of Middle Proterozoic and Cretaceous. The assemblage of the igneous rocks in the studied area shows a compositionally restricted, mixed S-type and I-type granites, $^{87}Sr/^{86}Sr$ > 0.706, rare volcanics and shortening with upright folding. These lithologic and structural features suggest that the igneous activity in this part related intimately to Hercynotype Orogeny of Pitcher(1979). Chronological episodes of igneous activity from Early Proterozoic to Early Tertiary in the northeastern part are figur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