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liet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6초

SORET AND ELECTROMAGNETIC RADIATION EFFECT OF MHD MICRO POLAR FLUID PAST A POROUS MEDIUM IN THE PRESENCE OF CHEMICAL REACTION

  • SHEEBA JULIET S.;VIDHYA, M.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41권5호
    • /
    • pp.1085-1102
    • /
    • 2023
  • In this study the magneto hydrodynamic (MHD) micro polar fluid flow of a viscous incompressible fluid past a porous medium in the presence of chemical reaction is considered. This work is devoted to investigate the Soret effect and Electromagnetic radiation effect and analyze analytically. In the energy equation the applied magnetic field strength and in the concentration equation the Soret effect are incorporated. The basic PDE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are reduced to ODE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using non dimensional variables. Then the analytical solution of the dimensionless equations are found using perturbation technique. The features of the fluid flow parameters are analyzed, discussed and explained graphically. The graphical solutions are found using MATLAB R2019b. Skin friction coefficient at the wall, Couple stress coefficient at the plate and the local surface heat flux are also thoroughly examined. Overall,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physical parameters in the behavior of MHD micro-polar fluid past a porous medium in the presence of chemical reaction.

AI 기반 시큐어 코딩 점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ols for Development of AI-based Secure Coding Inspection)

  • 김동연;김세진;이도경;이채윤;임승연;서혁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01-802
    • /
    • 2023
  • 시큐어 코딩은 해킹 등 사이버 공격의 원인인 보안 취약점을 제거해 안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SW 개발 기법을 의미한다. 개발자의 실수나 논리적 오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차단하여 대응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시큐어 코딩에는 오탐과 미탐의 문제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탐과 미탐이 발생하는 단점을 해결하고자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AI 기반으로 개발자의 실수나 논리적 오류를 탐지하는 시큐어 코딩 도구를 만들고자 한다. 다양한 모델을 사용하여 보안 취약점을 모아놓은 Juliet Test Suite를 전처리하여 학습시켰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과정 중에 있다. 향후 연구를 통해 정확도를 높여 정확한 시큐어 코딩 점검 도구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Traffic Safety Analysis in Mombasa Channel: Integrating Ferry Crossings and Main Transit

  • Wamugi Juliet Wangui;Young-Soo Park;Sangwon Park;Daewon Kim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88-96
    • /
    • 2024
  • This study examined challenges posed by two ferry routes, namely, Likoni and Mtongwe crossings, in the Mombasa Channel and their impact on navigational safety. Utilizing the Environmental Stress (ES) model, this study analyzed current ship traffic and assessed stress levels imposed by ferry crossing traffic on navigators. ES values revealed significant stress at these ferry crossings attributed to varying transit speeds. Standardizing transit speeds at two ferry passages can reduce high stress levels, presenting a viable solution. Furthermore, the IWRAP Mk2 simulation underscores crossing collisions as a significant concern, particularly at Likoni and Mtongwe crossings, due to increased ferry traffic. This research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stakeholders, such as the Kenya Ports Authority (KPA), to develop targeted safety measures and enhance the flow of ship traffic in the channel.

사랑 모델에서 의식과 무의식을 적용한 거동 분석 (Behavior Analysis in Love Model with applying Conscious and Nonconscious)

  • 손영우;이정구;배영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523-530
    • /
    • 2016
  • 사람의 마음은 의식 세계와 무의식 세계로 나누어진다. 우리 눈에 보이는 행동은 의식적인 세계의 표출이지만 무의식 세계가 의식 세계보다 더 많은 영역을 차지하는 것으로 뇌 과학자들은 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인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모델에서 의식 세계와 무의식 세계로 나누고 이를 복소수 형태로 표시한 후 이에 대한 거동을 시계열과 위상 공간으로 나타내고, 이들 거동 특성에서 비선형 특성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외력을 가진 사랑 모델에서 비선형 거동 해석 (Analysis of Nonlinear Behavior in Love Model with External Force)

  • 황림운;배영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845-850
    • /
    • 2015
  • 사람의 감정 중의 하나인 사랑은 사회학과 심리학에서 주된 관심사로 연구되어 왔다. 기본적인 사랑 모델에서 비선형 특성을 찾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인 사랑모델에서 비선형 거동을 찾기 위하여 기본적인 사랑 방정식에 외력을 주고 이때의 시계열과 위상 공간을 통하여 비선형 거동이 있음을 확인한다. 또한 이 비선형거동이 일반 카오스 발생현상인 주기배증과정, 카오스, 주기과정의 현상과 유사하게 유사한 주기 배증 과정, 카오스, 주기과정이 있음을 확인한다.

외부 환경을 가진 사랑 모델에서 컬러 잡음을 고려한 카오스 거동 현상 (Chaotic Behavior Phenomena in Love Model with External Environment considering Colored Noise)

  • 손영우;배영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43-348
    • /
    • 2020
  • 지난 50년에 걸쳐 카오스 이론은 수학, 물리학에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기 시작하여 공학, 사회과학 분야에까지 연구가 확장되어왔다. 최근에는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을 융합한 융합 연구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융합의 연구는 중독문제, 인간의 행복문제, 가족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문제, 남녀 간의 사랑 문제를 포함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융합 연구의 하나인 사랑 모델을 기반으로 외부 환경을 고려하고, 이 외부 환경에 컬러 잡음을 반영하였을 때, 사랑 모델에서 카오스 패턴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시계열 데이터와 위상공간을 통하여 검증한다.

코퍼스에 기반한 문학텍스트 분석 (Corpus-Based Literary Analysis)

  • 하명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40-447
    • /
    • 2013
  • 코퍼스 언어학이 연구방법의 한 분야로서 최근 그 입지를 급격하게 넓혀온 가운데, 언어학적 현상과 함께 문학텍스트의 이해를 깊게 하는데 기여를 해 왔다. 최근 코퍼스 언어학의 급속한 저변확대에도 불구하고 문학텍스트 코퍼스를 기반으로 한 고전 및 문학작품의 재해석에 대한 시도는 국내언어학계에서 매우 미미한 실정에 머물러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코퍼스 언어학의 분석도구인 컴퓨터 콘코던스 프로그램인 워드스미스를 이용하여 방대한 전자텍스트로 이루어져 있는 문학작픔의 문체적 특성과 주요테마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텍스트의 주요한 특성을 나타내는 키워드(keyword)에 초점을 두고 세익스피어의 비극작품인 로미오와 줄리엣을 코퍼스 언어학적 분석기법으로 접근하여 작품세계를 재조명하여 학문적 의의가 크다고 생각되며 앞으로 관련된 후속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Let Us Make: Interrogating Personnel's Perception towards Makerspace in a Nigerian University Library

  • Igbinovia, Magnus Osahon;Alex-Nmecha, Juliet C.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23-36
    • /
    • 2021
  • Makerspace offers an innovative way for university libraries to render services and achieve its core objectives. However, there is low level of adoption in Nigerian university libraries, hence the need to investigate the personnel's perception towards makerspace as an innovative learning platform. To achieve this, the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to elicit data with the aid of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the 96 library personnel in John Harris Library, University of Benin. Of the 96 copies of questionnaire distributed, 68 copies were returned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ibrary personnel were familiar with makerspace even though they still require more information about it. Also, that makerspace gives students the opportunity to acquire ew skill and enhances collaboration among learners. Moreover, the study revealed that budget constraints, high cost and maintenance of equipments, erratic power supply and lack of staff training are some of the perceived challenges to makerspace implementation. Consequently, the study revealed that university libraries should strategize on how to increase allocation of funds, organize makerspace webinar for personnel, ensure stable electricity supply and create a dedicated space for makerspace in the library. In conclusion, makerspace will provide students with the technological exposure and creative abilities required for the future, and as such effective planning should be made for its deployment and sustainability in Nigerian university libraries.

가족 관계에서의 비선형 거동 해석 (Analysis of Nonlinear Dynamics in Family Model)

  • 황림운;배영철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313-318
    • /
    • 2015
  • 강조되고 있다. 결혼으로 인한 새로운 부부의 탄생 이외에 처가와 시가 등 새로운 가족이 형성되어 새로최근 가족의 중요성이 운 가족과 갈등을 빚기도 하고 화목을 이루기도 한다.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사회학적인 측면에서만 연구되고 있고 자연과학적인 측면의 하나인 가족관계에 대한 수학적인 모델링이 없어 근본적인 가족 사이의 거동 현상을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회에 대한 비선형 연구의 하나로 가족 구성원 간 특별히 시부모와 며느리의 관계나 처부모와 사위와의 관계를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 모델을 변형하여 새로운 가족 관계 모델을 제안하고 이 모델에서 비선형 거동인 카오스 거동이 있음을 시계열과 위상공간으로 확인한다.

사이버 미술교육의 가능성 연구 : 드로잉 수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Cyber Art Education : Focusing on a Drawing Course)

  • 주리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663-668
    • /
    • 2017
  • 본 연구는 미술 실기 교육인 드로잉 수업을 사이버 강의를 통해 어느 정도로 구현할 수 있으며 학습자 입장에서 만족과 불만족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했다. 드로잉 수업은 드로잉에 대한 개념적인 이해와 실제 기법을 학습하며 과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었다. 드로잉 과목을 개발한 2014년과 부분 수정을 거친 2016년에 콘텐츠 만족도 평가와 강의 평가를 통해 과목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콘텐츠 만족도와 강의 평가 모두 학교에 개설된 전체 과목들의 평균과 유사한 점수를 보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콘텐츠 만족도에서 강의 내용 구성은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상호작용은 낮은 평가를 받았다. 강의평가의 경우 교수의 열의와 응답 성실성은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강의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낮은 편이었다. 또한, 학생들의 자기 평가도 낮은 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더 많은 실습에 대한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더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사이버 교육 환경에서 미술 실기 교과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