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seon Korea

검색결과 1,060건 처리시간 0.053초

Ancient Mitochondrial DNA Analyses of Ascaris Eggs Discovered in Coprolites from Joseon Tomb

  • Oh, Chang Seok;Seo, Min;Hong, Jong Ha;Chai, Jong-Yil;Oh, Seung Whan;Park, Jun Bum;Shin, Dong Ho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3권2호
    • /
    • pp.237-242
    • /
    • 2015
  • Analysis of ancient DNA (aDNA) extracted from Ascaris is ver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phylogenetic lineage of the parasite species. When aDNAs obtained from a Joseon tomb (SN2-19-1) coprolite in which Ascaris eggs were identified were amplified with primers for cytochrome b (cyt b) and 18S small subunit ribosomal RNA (18S rRNA) gene, the outcome exhibited Ascaris specific amplicon bands. By cloning, sequencing, and analysis of the amplified DNA, we obtained information valuable for comprehending genetic lineage of Ascaris prevalent among pre-modern Joseon peop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Sleeve Patterns of Women's Costume of the 16th Century - Focus on the Joseon Dynasty and European Monarchy -

  • Chon, Eun-Sun
    • 패션비즈니스
    • /
    • 제12권3호
    • /
    • pp.62-71
    • /
    • 2008
  • Costume elements are closely related with human living environment and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stume patterns. The East and the West have influenced and adopted each other's culture through mutual trade, which are well reflected in costume patterns and textile patterns. These days world wide fashion shows the designs applying costume details of the East and the West, which is much affected by the orienta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leeve patterns which take an important part in women's costume design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European Monarchy in the 16th century. Korean women's costume showed sleeves in rectangular shape with same width and long length, together with cuffs. Later they changed to diagonal shape of getting narrower toward the wrist. Western women's costume showed sleeves with puff and slash patterns. Then they were classified into French, British and Spanish styles which were getting narrower toward the wrist. Later they adopted the shape of leg of mutton which was puffed in middle and narrower toward the wrist. I n Korea and Europe, they showed respective changes in sleeve patterns, but also similarity of getting narrower toward the wrist. The East and the West are now exchanging their culture in every aspect such as politics, economics and social matters. Costume fashion is not an exception. The characteristic designs of traditional costumes are shown on global fashion, which is influenced by the orientalism.

한국 주요 의서(醫書)에 나타난 64卦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the 64 Trigrams in Major Books of Korean Medicine)

  • 백유상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5-172
    • /
    • 2022
  • Objectives : Contents on the 64 trigrams in major medical texts from early to late Joseon such as the Uibangyuchwi(醫方類聚), Donguibogam(東醫寶鑑), Somundaeyo(素問大要), Gyeokchigo(格致藁) were analyzed to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context. Methods : Related contents in each medical texts were collected, sorted and analyzed for thorough examination. Results : The study of Changes which was widely applied in the field of medicine throughout the Joseon period focused more heavily on each of the trigram patterns, especially in regards to the qi intera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axis of the body, rather than the various meanings of the ten wings[十翼]. This is a result of the Jing-Qi-Shen perspective of the body and the universe that transcends the Daoist inner cultivation method[內丹術], under which concepts related to qi circulation such as the opening and closing[闔闢] of the Heaven[乾] and the Earth[坤], the interaction between Water[水] and Fire[火] were considered more important. Conclusions :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study of medicine and Changes[易] of Korea could be grasped through analysing the 64 trigrams in medical texts of each period in Joseon. Further research with the field of History of Changes studies is much anticipated.

한글본 석실비록(石室祕錄)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Shishimilu )

  • 朴薰平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13
    • /
    • 2023
  • Objectives :The Shishimilu is a clinical treatise, published in 1687 by Qing period doctor, Chensidu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newly discovered Korean translation to the academic world and discuss its significance. Methods : The newly discovered Korean translated version was examined in detail focusing on bibliography and content items. In addition, the time of introduction of the Shishimilu to Joseon was studied philologically. Results : 1. The time of completion was during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2. The original text was faithfully translated. 3. The book was rearranged from the original document to make it easier to apply in clinical practice. 4. Experiences of Joseon medicine were reflected, mainly prescriptions. 5. According to documentary evidence, the Shishimilu was first introduced to Korea only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was widely distribu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nclusions : he Korean translated version of the Shishimilu was the earliest among known Korean translations of Chinese medical texts, and while faithfully translating the original text, the compilation was rearranged to make it easier to apply clinically.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Joseon medicine was reflected mostly in prescriptions. It could be determined that if contents of the Shishimilu appear in Korean literature whose writing period is unknown, it can be historically verified to have been written after the late 19th century.

조선 후기 초량객사(草梁客舍) 일곽의 유지와 관리 (A Study o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Choryanggaeksa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송혜영
    • 건축역사연구
    • /
    • 제32권2호
    • /
    • pp.49-62
    • /
    • 2023
  • This study was prepared for the purpose of restorative consideration such as the construction background, scale, and location of buildings by comparing the historical materials of two countries, Korea and Japan, focusing on Choryanggaeksa. Choryanggaeksa was a building with a special purpose installed in Dongnaebu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was also a space exclusively for Japanese envoys. When Choryangwaegwan, the only place of diplomacy and trade with Jap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moved in 1678, Choryanggaeksa was also built and continued until its function ceased due to the modern opening of the port. As diplomacy and trade with Japan take place in the category of Choryangwaegwan, the existence of an interpreter takes an important place. Therefore, Seongsindang, a space for interpreters, was built near Choryanggaeksa. When the modern port opened in 1876, Choryanggaeksa and Seongsindang lost their original function, but the building remained. However, after the 1890s, a Superintendent office was built on the site of Choryanggaeksa, and a school was established on the site of Seongsindang. It was destroyed when the site of Choryanggaeksa and Seongsindang was converted during the opening of the port, and its remains cannot be found today due to urbanization.

조선시대 궁궐에서의 양학(養鶴) 사례 (A Cases of Crane Breeding(養鶴) in the Palace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 홍형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1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 시대 궁궐에서도 학을 길렀는가에 대한 확인과 함께 그 사례를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조선 시대이며 공간적 범위는 외전, 내전, 궐내각사, 궐외각사 등 궁궐 전체를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한 문헌 자료는 일부 원문 자료를 발췌·번역하여 고찰하였으며, 이와 함께 한국고전번역원 데이터베이스(http://db.itkc.or.kr)에 탑재되어 있는 고전번역서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 시대 최고 관부인 의정부에서는 전기 때부터 학을 길렀다. 임진왜란 이후 위상 변화와 청사의 훼철로 인해 의정부에서의 양학은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조선 시대에 경연과 언론 기능을 담당하며 왕을 측근에서 보좌한 홍문관에서의 양학은 조선 전기 중종 대부터 임진왜란 이후 정조 대에까지 이어졌다. 셋째, 정조 대에는 왕권 강화를 위해 학문의 중추기관으로 새롭게 설치한 규장각에서도 학을 길렀다. 당시 규장각에는 여러 쌍의 학을 기르기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넷째, 의정부, 홍문관, 규장각 등 조선의 핵심적 관부에서의 양학 행위는 그 기관의 위상이나 성격 등 정체성을 나타내는 표상으로서의 의미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홍문관 등 궁궐에서 기르는 학은 관례적으로 황해도 배천군 등에서 충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례는 영조 대에 이르러 중앙 관서와 지방 관아 간에 마찰을 일으키기도 했으나 이후 정조 연간에도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 국역 자료에 의존하여 연구를 진행했다는 한계가 있다. 추후 자료의 발굴과 번역 성과가 더욱 축적된다면 보다 풍부한 사례를 확인할 있을 것이다. 또 지방의 관아, 사찰 등에서의 양학 사례 등 보다 심화된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

조선 전기 석가설법도의 사천왕 도상과 배치형식 고찰 (Study on Picture Image and Change of the Four Devas of Sakyamuni Buddha painting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김경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1호
    • /
    • pp.4-23
    • /
    • 2015
  • 그린 불화에서는 조선 전반기에 다문천(多聞天)이 드는 지물에 변화가 생긴다. 고려시대까지 부처의 오른편에서 탑(塔)을 든 다문천왕은 조선 전반기에 들어와 비파(琵琶)를 드는 형식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변화는 원대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1330~1336년)" 변상도에서 확인된다. 불화에서 다문천이 드는 탑이 몽구스(보서(寶鼠))로 변하는 지물의 변화는 티베트 사찰인 철방사(哲蚌寺), 오둔사(吳屯寺), 백거사(白居寺)에서 처음 벽화로 나타난다. 조선에서도 원각사지십층석탑 1층 탑신 〈석가설법도〉에서 지물의 변화를 보이는 새로운 배치의 사천왕이 처음 등장한다. 그러나 조선 전반기 불화에서 탑과 비파를 든 사천왕의 위치는 좌우가 혼용되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티베트계 사천왕의 영향으로 대체로 파악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티베트계 사찰벽화에서 나타나는 사천왕 도상이 이전의 중국 내륙에서 나타나는 사천왕과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여 티베트계 사찰에서 나타나는 사천왕 도상을 중심으로 그 현황을 파악하고, 조선 전기에 나타나는 사천왕 도상이 티베트계에서 연원을 가지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선 전반기에 사천왕상의 지물과 위치가 새로운 도상이 확산되는 현상과 더불어 일정기간의 도상 혼용 현상에 대해 그 원인과 이유를 당시 유통되었을 판본을 중심으로 찾고자 하였다. 이를 반영하듯, "묘법연화경경변상도(명 1432년, 국립중앙박물관소장)" 사천왕 도상과 "제불세존여래보살존자명칭가곡(1417년)"의 사천왕 도상은 다른 형식을 보여 준다. 이것은 주존인 석가불을 중심으로 하는 경전임에도 서로 다른 판본의 존재를 확인시켜 준다. 그러므로, 조선 전반기 불화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사천왕의 지물이 다른 두 가지 판본의 경변상도에 의해 도상의 정형이 확보되지 않은 과도기의 성격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성격은 티베트불교미술이 중국 내륙에 전파되면서 전통적인 중국 사천왕도상과 티베트계 도상의 혼용이 명대 지속되는 가운데 이러한 전환기 미술이 조선 전기에 유입된 특징이라 하겠다. 따라서, 조선 전반기 사천왕의 다양한 도상 현황은 일괄적인 도상이 정착된 시기가 아닌 다양성을 보여주는 조선 전반기 불교미술의 특징을 공유한다 하겠다.

근세조선의 왕목-사직수, 문화사회적 임업, 그리고 문화적 지속가능성 (The Royal and Sajik Tree of Joseon Dynasty, the Culturo-social Forestry, and Cultural Sustainability)

  • 이정호;전영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1호
    • /
    • pp.66-81
    • /
    • 2009
  • '환경을 조성하고 보전하는 인간과 문화'의 새로운 시각에서 지속가능한 숲 관리는 '문화적 지속가능성' 개념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문화적 지속가능성은 환경을 조성하고 보전하는 문화의 높은 기여도를 강조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근세조선의 '문화사회적 임업'의 역사적 사례를 통해서 현대의 문화적 지속가능성에 필요한 함의들을 추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조선의 첫 번째 왕이었던 태조와 관련하여 소나무(Pinus densiflora)는 조선의 왕목이었고 왕도정치의 이념을 지지하는 성리학적 신앙과 예제 체제 속에서도 가장 상위에 속하는 사직제례와 관련 있는 사직수(社稷樹)였다. 사직 제례의 숭배대상은 토지신(社)과 곡식신(稷)인데 고대 사회의 수목신앙을 이으면서 유교적 신앙 및 예제에 편입된 것이 토지신이며 토지신의 구체적 모습이 사직수이다. 왕목과 사직수로서의 소나무는 조선 왕실 통치의 종교-정치적 정통성을 지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소나무의 종교-정치적 상징성은 여러 측면으로 표현되었다. 소나무는 조선 조정이 주관하는 예제가 봉행되는 신전과 사당을 위해서도 물적 기반으로도 쓰였다. 소나무의 이런 역할은 왕실 능원림, 왕실 관곽재를 위한 황장봉산의 소나무 숲, 왕의 거처 도성 내외사산 소나무 숲의 조성, 방제, 보전, 관료적 관리로 확대 표현되었다. 문화사회적 임업의 역사적 사례인 이러한 소나무 숲의 종교-정치적 관리 체계는 조선의 경제적인 숲 관리 체계인 송정이나 조선 전기의 의송처와 금산의 소나무 숲 및 조선 후기의 봉산 체계의 소나무 숲의 경영과도 비교가 가능하고 공통성과 고유성을 함께 보여준다. 왕실의 소나무 문화는 대중적 의식에도 영향을 끼쳐 백성들이 금표가 있는 능원림, 금산, 봉산에서 시행된 금양(禁養)된 토지 또는 숲과 바꾸어 쓸 수도 있는 '말림갓'이라는 순한국어 단어를 형성하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 근세조선은 사직단, 능원림, 황장금산 및 황장봉산, 도성내외 사산의 소나무숲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사회적 임업을 실행하였다. 조선 시대 소나무 숲의 보전과 경영에는 풍수지리, 민속신앙, 불교적 요소가 통합된 조선의 성리학적 신앙과 예제가 경제적 목적보다도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이 여러 세대를 걸쳐 장기적인 문화-자연적 평형이나 균형을 이루는 것이 문화적 지속가능성인데, 숲과 환경을 조성하고 보전하는 현대인이 문화-자연 유산을 발굴하고 여러 세대에 걸친 보전으로 변환하며, 문화적, 사회적, 정신적 필요를 충족하는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초학제적 지식인 지속가능성 과학 지식을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근세조선의 사례 연구의 함의로 추출되었다.

조선후기 성인여성머리양식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Hair Sty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유효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80-90
    • /
    • 2011
  • 본 논문은 영조와 정조가 통치한 시기에 해당하는 시기인 조선후기 풍속화에 표현된 여성머리양식을 고찰하여 조선후기 성인여성머리양식의 특성을 분석한 논문으로서 연구의 목적은 조선후기 여성머리양식의 특성과 당시 여성들의 미의식을 규명하여 최근 유행하고 있는 사극드라마나 영화 등의 영상예술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조선시대 성인여성의 대표적인 머리는 얹은머리와 쪽머리로 그 중 얹은머리가 더욱 유행하였다. 신분에 관계없이 많은 여성들은 얹은머리의 규모를 크게하기 위해 가체를 사용하였으며 개인의 개성에 따라 머리양식을 다르게 하여 각기 다른 조형미를 연출했다. 조선시대는 신분에 따른 복색제도가 엄격하였으나 기녀들은 제약을 받지 않았으므로 복색에 자유로워 유행을 선도하였으며, 조선후기에는 실학의 영향으로 이미 신분이나 사상등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워진 반가나 민서계급의 모든 여성들이 기녀들의 차림을 모방하여 유행과 동조하는 현상을 보였다. 조선후기 여성들은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기 위해 머리양식을 유행의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많은 여성들이 현대와 같이 유행을 추구하였다. 또한 당시 여성들도 얼굴과 가장 가까운 머리를 아름답게 꾸며 자신의 미를 강조할 정도로 미의식의 수준이 상당히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