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seeking stress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7초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외모만족도, 진로동기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areer Motivation on Nursing Students' Job Seeking Stress)

  • 최숙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86-393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고, 자아탄력성, 외모만족도, 진로동기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취업스트레스를 조절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B, Y시의 간호대학생 1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4월 16일부터 4월 27일까지 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독립 t-검증,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 $2.23{\pm}0.64$점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취업 스트레스의 차이에서 건강상태(F=3.062, p=.048)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자아탄력성, 외모만족도, 진로동기와 취업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아탄력성(r=-.353, p<.001), 외모만족도(r=-.261, p<.001), 진로동기(r=-.289, p<.001)는 취업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취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아탄력성, 외모만족도로 나타났고, 취업 스트레스를 21.0%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반복연구와 취업 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남자대학생의 외모 스트레스와 외모관리행동이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earance Str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Job-seeking Stress among Male University Students)

  • 강현주;최혜정;김주현;채영란;강소연;이선희;김원희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8-116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earance str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job-seeking stress among male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cross-sectional and descriptive study were 158 mal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K Province who completed a self-report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survey period was from September 19th to November 9th, 2017.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ith the SPSS statistics 23 program. Results: Job-seeking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BMI (F=2.55, p=.042) and pocket money (F=3.08, p=.049).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rade (${\beta}=8.93$, p=.008), pocket money (${\beta}=-5.11$, p=.029), appearance stress (${\beta}=.52$, p<.001),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eta}=.25$, p=.001)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jog search stres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variables such as grade, pocket money, appearance str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ignificantly explain job-seeking stress among male students in colle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reduce job-seeking stress for senior male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employment before graduation. In addition, when organizing a program to reduce job-seeking for male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help them have a more positive evaluation of their appearance and pursue prope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간호대학생 고학년의 자아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 (Ego Resili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Job Seeking Stress of Senior Nursing Students)

  • 채명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229-238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고학년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간호대학생 3, 4학년 175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은 대학생활 만족도에 따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건강상태, 대학생활 만족도, 전공에 대한 만족도, 학업성적에 따라, 취업스트레스는 학년, 대학생활 만족도, 전공에 대한 만족도, 학업성적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취업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은 학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대학생활 만족도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13.5%였다. 그러므로 학년, 대학생활 만족도룰 고려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키는 융복합적인 중재를 통해 간호대학생 고학년의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그릿,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Gri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Job-Seeking Stress of Nursing Students)

  • 김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93-204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그릿,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및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G광역시 일개 대학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 2일부터 11월 13일까지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그릿 정도는 5점 만점에 3.21±0.50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정도는 3.65±0.51점, 진로준비행동 정도는 5점 만점에 2.57±0.48점, 취업스트레스 정도는 2.07±0.64점으로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는 그릿(r=-.308, p=.000), 진로결정 자기효능감(r=-.336, p=.000)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진로준비행동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214, p=.002). 대상자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β=-.340, p=.000), 진로준비행동(β=.302, p=.000), 그릿(β=-.175, p=.010) 순이었고, 이러한 변수들은 대상자의 취업스트레스 영향 요인 정도를 22.1% 설명하였다(F=20.605, p=.000).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그릿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적용과 진로지도 및 취업역량강화를 위한 개인 수준에 맞는 단계별 진로준비행동의 실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기공과 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연관성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students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 강월;김웅철;김지환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47-25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job seeking stress,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students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Method: For this, the students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in daegu and daejeon and wonkwang university selected at May 2016. A question investigation was used in a entry method of self-estimation. Furthermore a total of 151 person was used as final analysis data. Sta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 22.0. An analysis of frequency, two sampl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Results: Firstly, personal expenses affected beneficially statistically the Job Seeking Stress(p<.05). Secondly, sex, Score, Major satisfaction, personal expenses affected beneficially statistically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p<.05). Thirdly, University environment and academic stress in the Job Seeking Stress affected beneficially statistically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choice target). Conclusion: The study foun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when increased to university environment and academic stress in Job Seeking Stress,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decreased. So the study proved that when helping students facing difficulties due to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t is important to decreased their university environment and academic stress.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IPP형 장기현장실습 경험 유무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 (Influences of Student's Major Satisfaction on Job-seeking Stress - Focusing on Differences of IPP Experienced, Nonexperienced Groups -)

  • 정병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3권1호
    • /
    • pp.87-9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취업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고, 장기현장실습을 경험한 학생집단과 그렇지 않은 학생 집단 간 전공만족도와 취업스트레스가 유의한 차이가 나는지를 검정하였다. 연구를 위한 모집단은 4학년 학생 중 IPP(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s) 장기현장실습을 경험한 학생과 IPP를 포함한 장기현장실습을 전혀 경험하지 않는 학생으로 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샘플은 각각 100명씩 200명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취득하였다. 결과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4.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실증적 연구 분석결과, 첫째, 전공만족도는 취업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중 교과만족은 인지적, 신체적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관계만족 역시 인지적, 신체적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일반만족은 정서적 스트레스에만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전공만족도와 취업스트레스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는 장기현장실습경험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취업스트레스는 반대로 낮게 나타났었다. 셋째, 실습을 한 학생 집단의 경우 교과만족이 정서적 및 신체적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친 반면, 실습을 하지 않은 학생 집단의 경우 교과만족이 취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관계만족의 경우 비실습 집단만 인지적 스트레스와 신체적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일반만족의 경우 실습 집단만 정서적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취업스트레스에 전공만족도가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이론을 지지하였고, 두 집단간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 연구 의의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학술적인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일 지역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영향요인 (Affecting Factors in Job-seeking Stress among Health Care Related Students)

  • 방미란;심선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57-266
    • /
    • 2018
  • 본 연구는 일 지역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외모 만족도, 대인관계 및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2018년 6월 11일부터 15일까지 4년제 보건의료계열 학과에 재학 중인 4학년 학생 1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4점 만점에 2.92점, 외모 만족도는 5점 만점에 2.89점, 대인관계는 5점 만점에 3.65점, 취업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2.24점이었다. 자아존중감, 외모 만족도 및 대인관계는 모두 취업스트레스와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취업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 존중감이었으며, 18.5%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보건의료계열 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생 개인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공영역별, 개인별 맞춤형 취업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c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Job-Seeking Stress in Nursing Students)

  • 양승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71-183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인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서술적 조사연구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10일부터 10월 30일까지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4년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 학생 246명이였으며 구조화된 질문지를 배부한 후 회수하였다. 측정 도구는 전공만족도, 진로 결정 효능감, 자아존중감, 자아 탄력성, 취업 스트레스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전공만족도, 진로 결정 효능감, 자아존중감, 자아 탄력성, 취업 스트레스 정도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취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취업 스트레스는 전공만족도, 진로 결정 효능감, 자아존중감, 자아 탄력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37, r=-.218, r=-.491, r=-.229, 학년(${\beta}=.498$), 자아존중감(${\beta}=-.456$), 학업 성취도(${\beta}=.233$), 임상 실습경험(${\beta}=.166$), 경제 수준(${\beta}=.118$)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 스트레스의 46.1%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 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Job-seeking stress on Somatization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 박성권;김해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67-278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정서조절곤란이 취업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측정 변인 간의 경로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였다. 첫째, 취업스트레스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경로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취업스트레스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경로에서 정서조절곤란의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취업스트레스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경로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정서조절곤란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부분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취업스트레스를 호소하는 대학생은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성향을 보이며 이로 인해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겪게 되며 결국 신체화 증상을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아로마테라피 교육 프로그램이 취업준비 여대생의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및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 Aromatherapy Education Program on Stress, Self-efficacy,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Func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 이은주;임은진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23
    • /
    • 2023
  • Purpose : The stress of job-seeking college students is gradually worsening due to the continuing recession in the job marke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intervention with an 'aromatherapy education program,' which combines theory and practice, has greater effect on stress, self-efficacy,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function than simple inhalation of essential oils in female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Methods :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a total of 4 weeks with 29 female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Interventions included essential oil inhalation combined with an aromatherapy education program (experimental group(EG), n=14) and essential oil inhalation alone (control group(CG), n=15); measurements were taken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2 weeks after completion of the intervention. Evaluations were conducted using the job-seeking stress scale, stress VAS, self-efficacy scale, and a pulse-wave measuring instrument.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G and EG groups with repeated measurements of job-seeking stress (p=.003), cognitive stress (p<.001), and self-efficacy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G and EG in terms of autonomic nervous system changes stress index(p=.047), total power(p=.029), high frequency(p=.036), and low frequency/high frequency ratio(p=.049).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ow frequency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 The aromatherapy education program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job-seeking stress, cognitive stress, self-efficacy,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function than simple essential oil inhalation. For the aromatherapy education program to be useful as a complementary intervention for stress management in job seekers, it will be necessary to gather additional evidence of its efficacy by conducting follow-up studies with diverse participants and expanding the numbers, and durations, of the interven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