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Based Curriculum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2초

실전 창의형 인재 양성을 위한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NCS Based Vocational Curriculum Model for the Practical and Creative Human Respirces)

  • 김동연;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1-121
    • /
    • 2014
  • 이 연구는 고교 단계에서의 실전 창의형 인재 양성을 위한 NCS 기반 직업교육과 정의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용한 연구 방법은 국내 외 문헌 연구, 내용 분석 연구, 사례 연구, 전문가(9명) 협의회 및 검토 자문 위원(3명)의 심층 면담 조사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구안한 모형(안)의 타당도 확보를 위해 평균, 표준 편차, 내용 타당도 비율(CVR)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개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개발 매뉴얼과 훈련기준 활용 훈련과정 편성 매뉴얼, NCS 학습모듈 개발 매뉴얼과 사례집, NCS 연구보고서, NCS 기반 고교 단계 직업교육과정의 시범 개발 자료집과 사례 연구 분석, 국내 외 직업교육 모형 등 NCS 관련 선행 및 문헌 연구를 토대로 실전 창의형 인재 양성을 위한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기본 모형(안)을 개발하였고 둘째, 구안한 모형(안)의 단계별 영역별 해당 하위 구성 요소 도출 자료를 토대로 전문가 심층 면담 조사 내용과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19개를 도출하였다. 즉 1단계의 영역별 하위 구성 요소로 능력단위, 능력단위정의, 능력단위요소, 수행준거, 적용범위 및 작업상황, 평가지침, 직업기초능력이고 2단계의 영역별 하위 구성 요소는 교과목명, 교과목표, 대단원명, 대단원목표, 교수 학습 방법, 평가방법, 직업기초능력이며 3단계 영역별 해당 하위 구성 요소로 NCS 기반 교과목 행렬표, NCS 기반 교과목 프로파일,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편제표, NCS 기반 교과목 전체 구성도,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운영계획서를 도출하였다. 셋째, 1단계와 2단계 각각의 해당 하위 구성 요소를 3단계의 NCS 기반 교과목 프로파일과 연계 구성하여 모형(안)을 개발하였다. 넷째, 모형(안)에 대해 단계별 영역별로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평균이 4.67이고 CVR 값은 1.00으로 타당도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해당 하위 구성 요소 도출 내용에 대한 평균이 모두 4.33 이상이며 CVR 값은 1.00으로 타당도가 매우 높았고 모형(안)의 연계 구성에 대한 평균도 모두 4.33 이상이며 CVR 값도 1.00이었다. 그리고 표준 편차는 .50 이하로 편차가 모두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문가에 의한 타당성 검증 자료와 검토 자문 위원들의 심층 면담 조사 내용을 토대로 모형(안)을 수정 보완 단계를 거쳐 고교 단계에서의 실전 창의형 인재 양성을 위한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국제사회복지 역량중심 교육과정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International Social Welfare)

  • 은선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508-518
    • /
    • 2016
  • 본 연구는 사회복지의 영역에서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국제사회복지의 역량있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복지기관의 환경적 변화하는 국제사회복지에 대한 요구를 증가시켰고, 그로 인해 국제사회복지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국제사회복지직무에 필요로 하는 역량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역량중심의 국제사회복지 교육과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직무에 따른 교육과정을 사회복지 NCS직무와 사회복지교육, 국제개발협력기관의 업무와 사회복지NCS, 그리고 NCS와 국제사회복지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제안하였다. 기관홈페이지에 제시된 직무와 채용공고를 토대로 국제개발협력기관의 직무를 파악하고, 교육과정은 사회복지지침서에 제시된 사회복지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국제사회복지의 직무역량을 강화시키는 교육과정의 핵심교과목은 다음과 같다; 인권과 사회복지, 국제사회복지, NGO와 국제개발협력, 북한지역개발, 제개발협력과 ODA, PCM(Project Cycle Management), 평가와 모니터링, 국제사회복지세미나, 국제사회복지실습, 국제사회복지인턴십, 지역사회복지론, 프로그램개발과 평가,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다문화 사회복지, 빈곤과 사회복지, 사회적 기업과 제3섹터, 사회문제론 등이다.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Job Seeking College Degree Candidates and the Librarians Concerning Library Specialized Services

  • Noh, You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81-108
    • /
    • 2019
  • This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subject specialization services and the opinions of students major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eparing for librarianship, librarians operating in the field, and library directors on the status and ways of nurturing subject specialization for librarians, among others. To this end,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and the survey questionnaire analysis, we have presented a policy to train subject librarians. First, we have proposed a plan for systematizing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with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 have also suggested ways to secure subject expertise based on curriculum management, minor programs, multi-major programs, and interdisciplinary major programs based on the standard curriculum model. Second, we have presented a subject specialization educational system for field librarians, and further suggested details for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help build subject expertise and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methods as well as the personnel in charge of implementing the educational programs. Third, we have propose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qualifications of the subject librarian where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have been organized considering academic background, major program, library career, and career experience in the subject specialization service, further suggesting the implementation and maintenance of the system.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Track for Civil Service Librarian

  • Noh, You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31-63
    • /
    • 2013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professional librarians in society. To this end, we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S curriculum, determined demand from field librarians through a survey, carried out job analysis by library types, and developed an operating model for LIS curriculum by synthesizing all of these results. Finally, we suggested a course of study for civil service librarians based on this model. As a result, the six required courses for civil service librarians are: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Organization, Information Services (Reference and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Management, Information Retrieval, and Field Work. The four core courses for the civil service concentration are: Collection Development, Information Sources by Subjects, Public Library Management, and Digital Libraries. Suggested electives best suited to this career path include Using Web Resources,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Services in Culturally Diverse Communities, Library Marketing, Libraries and Cultural Programs, Reading Guidance, Library History, Small Library Management, Studies in Library Buildings, Library Cooperation, Managing Digital Collection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a Digital Age.

NICE 기반 사이버보안 교육커리큘럼 개선 연구 (Enhancing Education Curriculum of Cyber Security Based on NICE)

  • 박원형;안성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7호
    • /
    • pp.321-328
    • /
    • 2017
  • 사이버 위협이 고도화되고 지능화되어짐에 따라 사이버 침해사고로 인한 피해사례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이버보안 전문인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다수의 사이버 보안관련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지만 사이버보안 인력 현황 및 직무에 기반한 사이버보안 교육연구가 이루어지 않아서 교육 수요자 및 공급자가 목표한 교육과정이 제공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보안 인력 및 지식체계를 정의하고 이를 반영한 새로운 사이버보안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커리큘럼은 기존 교육 커리큘럼에서 강조하고 있는 방어와 관련된 교육내용만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공격분야의 교육내용을 추가하여 전문적이고 균형적인 사이버보안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 및 개선하였다.

NCS based Leveled Micro-Degree Certification Model for Training Practical Cyber Security Experts

  • Kim, Jeong-Sham;Lee, Kyu-Chang;Choi, Sang-Y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8호
    • /
    • pp.123-133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NCS에서 정의된 직무를 기반으로 직무의 수준을 고려한 수준별 마이크로디그리 직무능력인증 모델을 제안한다. 4차 산업혁명 등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환경을 따라가지 못하는 대학교육의 문제로 인해 인력의 미스매치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나노디그리와 마이크로 디그리 체계를 사이버보안 인력의 직무능력 인증에 활용한다. NCS의 세분류 분야별 직무를 마이크로 디그리, 능력단위별 세부직무를 나노디그리로 정의하고, 수준별로 구분된 능력단위의 수준을 마이크로 디그리에 동일하게 적용한다. 그리고 이를 학위기반의 대학 학력에 상응하는 직무능력을 인증하는 체계이다. 이러한 체계를 영남이공대학교 사이버보안스쿨의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NCS직무 기반으로 나노디그리 과정을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최근 들어 많은 대학들이 도입하고 있는 나노디그리와 마이크로디그리의 직무역량 인증을 위한 방법으로 사용가능하다.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AI Major Curriculum at Universities Based on Standard of AI Curriculum

  • Kim, Han Sung;Kim, Doohyun;Kim, Sang Il;Lee, Won J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25-3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의 인공지능(AI) 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 분석을 통해 향후, 더욱 체계적인 AI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사전 연구를 통해 개발한 산업계 수요 기반의 대학 AI 전공 표준형 교육과정을 활용해 국내 대학(SW중심대학 외 총 51개교)과 해외 QS Top 10 대학의 관련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대학의 경우 파이썬 중심의 프로그래밍 과목이 부족하였다. 둘째, AI 응용, 융합 등의 심화학습을 위한 과목이 적었다. 셋째, AI 개발자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과목(ex, 컨테이너 인프라 구축, DevOps 실습 등)의 과목이 부족하였다. 넷째, 전문대학의 경우 AI 수학 관련 교과 개설 비율이 낮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체계적인 AI 전공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문헌정보학과 학생의 취업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Cognitive Survey about Student Employment of the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s)

  • 노영희;심효정;곽우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69-10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과 학생들이 생각하는 문헌정보학의 취업전망에 대한 인식을 포함하여 현재의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취업준비도, 취업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생들의 취업희망분야는 도서관이 가장 높고 그 중에서 공공도서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취업희망지역은 출신대학의 소재와 관계없이 서울 경기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이며, 현장기반 취업프로그램을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준비에 대한 애로사항은 취업정보에 대한 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직장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건은 근무조건, 정년보장, 복리후생, 보수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취업률 제고를 위해서는 취업정보시스템의 구축, 현장기반 교육과정의 강화, 그리고 지방의 취업여건 및 환경개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현장맞춤형 선박해양 교과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Customized on-site Ship Building & Ocean Engineering)

  • 이연신;김항우;한재호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6호
    • /
    • pp.71-79
    • /
    • 2012
  • In this paper, we present, based on a systematic job analysis, the definition, flowchart and description of Ship Building & Ocean Engineering Technician's job in Ship Building & Ocean Engineering Industry for developing an Ship Building & Ocean Engineering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in the context of Korea situation.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courses be directed toward job site-centered reform through conducting job analysis with experts in the environmental industry. serving new courses demanded by industries in practice and providing training programs for industries.

수산·해운계 고등학교 제7차 교육과정 각론 개정 연구 (A Study the 7th Revised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Fisheries and Merchant Marine High School)

  • 김삼곤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2권1호
    • /
    • pp.83-97
    • /
    • 2000
  • This article refers to the processions and the improvement of the 7th revised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Fisheries and Merchant Marine High School, published at Dec. 30, 1997. The general point of the 7th revised curriculum development was to cultivate creative Korean who will lead the epoch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and to perform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Moreover, it defines the nature of Business High School not as completive but as continuing education. Based on this view, the improvment of 7th revised curriculum has been searched in varous sides. The group of general researchers and cooperators consisted of 12 members who were of university professors, teachers, related business men and executives in the administration branches, and the total researchers of 7th revised curriculum development were 90 members. The basic orientation of the research for the revised curriculum development was as following : The improvement of basic ability, job-analysis ability, integrity of theory and practice, acquisition of the certificate of national qualification, interrelation and cooperative role division between school and industrial fields, extension of self-decision ability of school and local society, protection of learner-selection right and maintaining close relations with the business-educational organization under life-long education system. Thus on the whole, the research for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instructions, learning theory and evaluation is being processed with a high activity,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plan of 7th revised curriculum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the methods and the models are being investigated. At last, it is to be noted that, in such as the 7th revised curriculum development research in this case, the effort should not be spared to harmonize the basic technological knowledge of the specialists in the Fisheries and Merchant Marine field and the cultural, liberal arts of personality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