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Based Curriculum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2초

영양사 직무요건서 작성 연구 (Analysis of and Draw up Dietitian's Job Description)

  • 문현경;이애랑;이영희;장영주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7권1호
    • /
    • pp.117-124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art of project developing the standards of the national board test for dietitian's lic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job specification for dietitian's job description based on the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related to the curriculum. The study team established the research team which composed of 11 person(7 professor in the university and 4 dietitians in hospitals, schools and private firms). The job description composed of 17 duties, 99 tasks and 576 task elements. For each element, the job specifications are written, which composed of introduction, process, required equipments, and required ability. Required ability included knowledge, skill and attitudes. The relations of th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s with the possible curriculum currently operated in the college or university were analyzed, also. Job specifications for 576 task elements are analyzed and framed.

  • PDF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는 융합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힐링바이오공유대학 융합치유전공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ces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Healing Bio Sciences Consortium Convergence Healing Major Focus -)

  • 이진홍;송덕근;권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6호
    • /
    • pp.28-39
    • /
    • 2019
  • In order to improve this, Korean universities should reorganize their curriculum such as job system research and job - based program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demand of industry in order to improve their working ability due to the decrease of the school - age population and the youth unemployment rate. In this study, first, conceptualization of friendly education and definition of industry - university cooperation and analysis of cases related to friendly - educational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academia, second, analysis of fusion healing majors in Healing Bio - I want to conduct research. Konkuk University Healing Bioresource College conducted a survey based on demand such as experts and industry for the development of industry - academic cooperation - friendly curriculum. As a result of this process, I developed a curriculum development committee to study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focus group interviews, and Delphi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mpetitiveness curriculum reflecting competitivenes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Korea, to develop competitiveness curriculum that reflects customized opinions of societal demand, to organize systematic curriculum to have practical ability, to strengthen the employment link through development of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e will make contribution to build the system of operation from the center to the consumer center, evaluation of the practical ability through the curriculum and the feedback system.

Designing ESP Curriculum for EFL Learners at College of Navigation

  • Choi, Seung-Hee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7-134
    • /
    • 2014
  • This paper aims to identify what is needed to improve the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ESP) curriculum for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EFL) college learners at navigation school. Different needs from learners and experienced professionals are identified through diversified methods, and the findings from these are analysed and consolidated from a balanced point of view. For this purpose, putting learners at the centre of analysis, identifying their subjective and objective needs serves as a point of departure in formulating the curriculum. Then, the target situation is analysed according to the short-term aim of getting a job, followed by long-term needs for successfully fulfilling future duties as a pilot. Based on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ESP curriculum for learners in navigation studies should be focused on the successful language performance of their actual duties and tasks to be given in the future working situations, rather than on immediate needs for getting a job. In particular, special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enhancing learners' productive language competences through a series of hands-on trainings and a wide rang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specifically for a higher command of oral communication. For this, not only ESP, curriculum for EGP(English for General Purposes) should be systematically structured as ESP-oriented EGP, and naturally move onto areas of ESP in a coherent manner.

주거학 교과과정의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 Curriculum Development in Housing)

  • 윤정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1-124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wofold : 1) to establish an area of housing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of housing within home economics units, and 2) to develop a model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 area of housing defined. The data used for this research are the curricula of departments which offer housing courses within home economics units in Korea, Japan, and U.S.A: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a field of housing studies is divided into four different areas : a housing-planning, socio-cultural aspects of housing, interior design, and general housing, research, and internships. A model curriculum is proposed based on the four different area of housing studies. The housing programs in Japan and U.S.A. are designed to prepare students for professional careers. In Korea, there is a strong demand for planning, designing, and managing housing and interior design to satisfy social needs. Therefore, our curriculum should be revised to expand graduates' job opportunities.

  • PDF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평생교육에서 학습자의 직무능력개발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arners' Job Competency Development on the Improvement of Their Vocational Key Competencies in Lifelong Education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 남기영;윤준상;임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30-141
    • /
    • 2017
  •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 평생교육에서 학습자의 직무능력개발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혀내는데 목적을 갖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원관리능력, 의사소통능력 4개 단위로 구분한 직업기초능력에 직무능력개발이 미치는 각각의 영향력을 검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평생교육 학습자들의 교육환경의 외부적 영향을 감안하기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표본조사를 위해 서울에 소재중인 평생교육 기관의 학습자 480명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1의 검증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은 단일 차원에서는 수리능력에 모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2의 검증 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 중 교육체계(F=3.021, p<.05)와 교육과정(F=6.684, p<.05)은 단일 차원에서 수리능력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3의 검증 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 중 교육과정(F=5.865, p<.05)만 단일차원에서 자원관리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 4의 검증 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은 단일 차원에서는 의사소통에 모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직무능력개발요인은 교수상호작용과 평생교육지원이 병행되는 과정에서, 교육체계와 교육과정이 조화되거나 혹은 교육체계, 교육과정, 평가관리 모두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었을 때, 의사소통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직무모형을 중심으로 한 4년제 대학 실내디자인 관련 전공교육과정 개발 연구 -K대학교 실내디자인전공 사례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a Job Model Centric Educational Program for a 4 Year Interior Design University Course: Based on a Case Study of an Interior Design Major at K University)

  • 정성욱;김석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46-555
    • /
    • 2019
  • 본 연구는 K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디자인전공의 교육이 산업계의 요구에 부합하는 전문인을 양성하도록 교육과정의 개발절차 및 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먼저 내 외부 환경분석을 거쳐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수립하였다. 이어서 실내디자인분야 직무모형을 구축하고 직무에 따라 교과목을 도출하여 4년제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목을 편성하였다. 실내디자인 직무에 따라 수립한 인재상은 '실내디자인분야 경영 및 마케팅 전문가', '실내디자인분야 공간기획 전문가' 그리고 '실내디자인분야 시공관리 전문가'이다. 세부 직무모형에 따라 40개 교과목을 도출하였다. 1학년은 학부 공통교과목, 2학년은 전공기초, 3학년은 전공심화, 4학년은 전공응용으로 전체 교육과정을 편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내디자인분야의 산업체 조직구성현황 및 직무표준의 모형을 기준으로 교과목을 개발하는 과정 자체를 제안하고 구체적 결과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실용적 의의를 찾고자 한다.

S/W 산업체 직군별 요소기술 요구 분석에 따른 3년제 S/W 학과 표준 교과과정 개발 (A 3-year Standard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Software Departments based on Job Group Analysis of S/W Industries)

  • 송두헌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3권12호
    • /
    • pp.1713-1724
    • /
    • 2002
  •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 양성을 위한 여러 가지 분석과 시도가 있어 왔지만 최근에는 그 질적인 요소에 대한 산업체의 불만이 우려할 만한 수준에 와 있다고 할 것이다. 반면 경력자 위주의 채용 관행이 더욱 심화되어 대졸자의 IT 시장 진입 장벽이 높아져 대학의 불만 역시 만만치 않다. 본 연구는 대학과 산업체 간의 시각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국내 IT 기업에서 필요로 라는 대졸자 수준의 직군별 요소 기술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최근 3년제로 전환한 전문대학 소프트웨어 학과 교과과정의 표준 안을 제시한다.

  • PDF

역량기반 치의학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역량모델 개발 사례 (A Case of Developing a Competency model for the revision of the dentistry education curriculum on the competency-based)

  • 황재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347-354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W치과대학의 역량기반 치의학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역량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방법은 역량모델 개발절차를 3단계로 진행하였다. 역량모델 준비 단계는 구성원의 인식조사를 분석하고, 개발단계는 역량수준 등을 개발하였다. 평가단계는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그 결과 내용타당도지수(CVI: content validity index)는 .91로 높은 CVI를 나타났으며, 대학차원의 공통역량인 4개의 핵심역량과 전공역량인 직무역량을 연계한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걸쳐 개발된 W치과대학의 역량모델 개발 사례는 앞으로 역량모델 개발이 필요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W치과대학의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편에도 반영할 예정이다.

DACUM 직무 분석 기법을 통한 이러닝 품질 관리사의 직무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Task Model of e-Learning Quality Managers Based on the DACUM Method)

  • 류진선;김희필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10-19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DACUM 직무 분석 방법을 통하여 이러닝 품질 관리사의 직무를 분석하고 직무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DACUM 직무 분석을 위해 1명의 직무 분석가, 9명의 직무 분석 협조자, 1명의 서기, 1명의 실무자로 이루어진 DACUM 직무분석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품질 관리사의 직무는 7개의 임무(서비스 기획, 인프라 구축, 콘텐츠 개발, 서비스 운영, 서비스 평가, 품질 관리 행정, 전문성 계발)로 구성되었으며, 각 임무별 과업은 총 61개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러닝 품질 관리사의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14개의 지식, 21개의 기능 및 19개의 태도가 추출되었다. 둘째, 직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러닝 품질 관리사의 직무 능력 모형을 만들었다. 이 직무 모형은 이러닝 품질 관리사의 임무와 임무별 과업이 상호 연관성을 갖도록 논리적인 순서 등을 고려하여 DACUM 차트로 완성되었다.

노인전담 방문간호사의 직무분석 (Job Analysis of Geriatric Visiting Nurses)

  • 백희정;문지현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0-8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uties and tasks of home visiting geriatric nurses using Development A Curriculum (DACUM) method. Method: The sample consisted of 107 geriatric visiting nurses who worked at community service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ob analysis was conducted at a DACUM workshop after that a web-based survey was given to participants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duties and tasks of geriatric visiting nurs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3. Results: A total of 8 duties and 56 tasks were identified as part of the job description of geriatric visiting nurses'. A task verification process was conducted. Overall mean ratings of the task importance were high. 'Recording' was identified as the most frequent duty, and 'Community program planning and operating' was identified as the most difficult duty. Conclusion: Duties and tasks that make up the job of geriatric visiting nurses were identified using the DACUM method. The resulting data will serve as the basis for the design of a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for nurses involved in geriatric home visiting education programs, and will also be used to identify training needs and establish a standardized job description for geriatric visiting n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