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Suitability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5초

대졸자의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Model for Graduates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Job Sui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 이만기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4호
    • /
    • pp.245-266
    • /
    • 2010
  • 지금까지 대졸자에 대한 연구는 대졸자의 취업, 임금 등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대졸자가 취업을 하였다면 과연 자신의 수준에 맞는 일자리를 얻게 되었는지 아니면 현재 자신의 직무에는 만족하는 지에 대한 연구로 확장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2007년도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졸자의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졸자의 직업가치관, 대학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를 선행요인으로 하여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직업가치관은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대학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취업 시 직무만족과 일자리적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밖에 일자리적합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서 대졸자가 재학 시 갖는 직업에 대한 가치관이 매우 중요하며 취업 시에 일자리적합이나 직무만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 가치관이 높은 사람은 대학의 각종 취업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고 취업 후 일자리 적합이나 직무만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의 각종 취업지원프로그램이 대졸자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 당국과 고용센터 등에서는 대학생들에게 직업 가치관을 심어 줄 수 있도록 가치관교육을 강화하여야 하며 대학의 취업지원프로그램을 개선하고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외식업 종사자의 직무 적합 정도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 몰입을 매개변수로 - (The Influence of Foodservice Employees' Job Suitability on the Turnover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Variab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

  • 이상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1-4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construct known as job fit perceived by service employee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The model was tested using SPSS 12.0 and AMOS 4.0 based on the sample of 667 persons that showed a 95% usable response rate.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howed as follows. First, in restaurants, the employees' job suitability factor brings about an indirect effect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Second, employees' job satisfaction factor causes an indirect effect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factor has relationships with turnover intention. That is, the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lower turnover intention. By the same route analysis, job suitability has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the research proved organizational immersion has an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this respect, the research contributes to job performance of foodservice employees,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programs for them.

  • PDF

일선 공무원의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individual-organizational suitability and individual-job suitability of front-line public officials Effect on Job Enthusiasm: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노시범;김종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79-89
    • /
    • 2021
  • 본 연구는 정부의 조직성과와 목적달성을 제고하고자 공무원의 직무열의에 있어 개인-조직/직무적합성, 자기효능감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며, 자기효능감이 어떤 매개효과를 가지는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과 방법으로는 경기도 3개의 시(P, U, Y시)의 공무원 2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조사에 대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공무원의 개인-조직적합성이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기효능감은 개인 조직적합성과 직무열의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직무적합성의 경우에는 직무열의에 유의하지 않았으며,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행정조직의 일선 공무원에 대한 직무열의를 제고하는 행정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개인-직무적합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기반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erson-job fit on job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job-based psychological ownership)

  • 변희섭;이태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275-284
    • /
    • 2023
  •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가 부족했던 개인-직무적합성과 직무기반 심리적 주인의식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직무기반 심리적 주인의식이 개인-직무적합성과 직무성과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결과를 국내에서 최초로 확인한 것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이와 더불어 능력적합이 직무성과에 미친다는 기대이론과 요구적합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사회교환이론을 뒷받침해주는데도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의 인적자원관리 부서에게는 인적자원 선발시 직무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 시키고, 조직구성원들의 능력적합이 요구적합보다 더 큰 효과를 미치는 것을 감안하면 자기 능력에 맞는 직무에 배치하는 것이 정신적, 물질적 보상보다 더 높은 직무성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이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실무적인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ctivities on the Compatibility and Work Results

  • NGUYEN, Duc Trung;HA, Van Dung;DANG, Truong Thanh Nh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9호
    • /
    • pp.621-629
    • /
    • 2020
  • This research focuses on determining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ctivities on the compatibility and work results of employees of Ho Chi Minh Stock Exchange (HOSE) listed companies. The paper includes five parts: introduction, literature review,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results, and conclusion and policy implication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the survey of 350 listed companies in HOSE, in which 315 survey notes filled with sufficient information are used for analysis. The paper employs both qualitative method and quantitative method. Group discussion of 10 experts is for qualitative research. Quantitative method performs analysis of Statistics, Cronbach's Alpha, EFA analysis, CFA analysis and SEM model.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learly indicate that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activities are measured through improving the ability, improving the motivation and improving the opportunity. While compatibility is measured through suitability, connection and sacrifice; whereby HRM activities of ability improve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uitability and connection; HRM activities of motivation improve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uitability, connection and sacrifice; and HRM activities of opportunity improve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uitability, sacrifice and connection; Finally, the job suitability, sacrifice and connection positively affect the work results of employees.

보건소 영양사의 직무만족도가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Job Satisfaction of Nutritionis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Public Health Center)

  • 박세은;서민영;김원경;류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6권1호
    • /
    • pp.54-75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job satisfaction of nutritionists, and its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public health centers. The response data of 174 nutritionists were analyzed. The overall average of job satisfaction was 3.94 out of 7 points, which was determined to be below 'normal'; however, the job suitability of sub-factors scored 5.26, which was more than 'normal'. The variables affecting job satisfaction that were provided by the respondents included job-related licenses (P<0.01) and co-nutritionists (P<0.01). Organizational commitment ranked 'normal' with a score of 4.35. Normative commitment (4.90) of the sub-factors was 'normal' or more, and differed when considering 'age' (P<0.01), 'employment status' (P<0.01), 'salary per year' (P<0.05), and 'working area' (P<0.05). The turnover intention was analyzed to be below 'normal' with 3.88 points, and the variables affecting turnover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subjects in their 20s (P<0.01), less than two job-related licenses (P<0.05), and less than two co-nutritionists (P<0.01). The four 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business discretion' (P<0.05), 'work environment' (P<0.01), 'job suitability' (P<0.01), and 'reward' (P<0.01), positively affecte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Moreover,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mediating effect (P<0.01)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public health centers need to develop improvement plans for business discretion, work environment, job suitability and reward.

메디컬 스킨케어 종사자의 실무경력에 따른 직무분석 (Job analysis according to the working experience of medical skincare workers)

  • 이수민;이재은;전해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41-452
    • /
    • 2021
  • 본 연구는 메디컬 스킨케어 종사자의 실무 경력에 따라 직무의 적합도와 중요도, 빈도, 난이도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현장에서 효율적인 직무를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방법으로 빈도 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일원 변량 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메디컬 스킨케어 종사자의 실무경력에 따른 직무의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피부미용 전공 교육이 메디컬 스킨케어에서 스킨케어 직무에서 적합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직무의 실제 현장에서 빈도가 높을수록 중요도가 높았고, 실무 경력에 따라 난이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료 미용산업이 성장할수록 메디컬 스킨케어 종사자들의 직무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전문성 있는 직무로 체계화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해양스포츠 종사자의 직장생활에서의 만족요인이 이직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Factors on Turnover of Marine Sports Employees)

  • 지삼업;김태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797-80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factors on the turnover of marine sports employees and propose the methodical and scientific preliminary data suggesting the development of marine sports and policy direction. To achiev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247 marine sports workers from February to March, 2013 and the findings are shown below. Firstly, male workers showed higher satisfaction rate in social recognition and salary. Female workers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work conditions. Married workers with related license holders negative in promotion, but workers who are 50 and older with high school diploma showed higher satisfaction. Secondly, group of singles showed higher satisfaction rate in social recognition and peer relationship. People with related majors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suitability, salary, peer relationship and social recognition. Thirdly, those who show higher satisfaction in social recognition, work condition, salary, suitability, and promotion are show a lower likelihood of changing their job.

조경시공분야 신입사원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s among the Newcomers in the Construc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 김도균;유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73-86
    • /
    • 2015
  • 본 연구는 조경시공분야 신입사원들의 직무환경, 직무특성, 직무역량이 이직에 미치는 영향을 개념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가설과 연구모형을 개발하여 설문에 의한 실증 분석하였다. 조경시공분야 신입사원들은 입사 3년 이내에 이직경험이 54.5%로 우리나라의 다른 분야 대졸신입사원들보다 1.6배 정도 더 높았다. 조경시공분야 신입사원들의 이직의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회통계학적으로 직무량(p<0.01), 직무적합성(p<0.1), 대인관계(p<0.1)에 유의하였고, 나머지 직무자율성, 직무여건, 직무역량, 직무정체성, 직무다양성, 직무보상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조경시공분야 신입사원들의 이직의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량>대인관계>직무적합성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경시공분야 신입사원들의 이직의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서 인적자원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대졸자의 자격보유가 취업과 일자리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s of college graduates' qualifications on employment and job suitability)

  • 임미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23-230
    • /
    • 2020
  • 본 연구는 자격을 보유하고 있는 대졸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학교소재지에 따른 취업과 일자리적합도 분석을 통해 자격의 경제적, 비경제적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를 SPSS 25를 사용하여 기초통계,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밝힌 취업의 효과성을 재확인하였으며, 특히, 비 서울권 대졸자의 자격보유는 취업 및 일자리적합도를 높이는데 일부 긍적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개인속성과 학교소재지에 따른 자격의 효과성은 다를 수 있으나, 이를 고려한 적절한 자격보유 독려와 취득 지원은 대졸자의 취업과 일자리적합도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