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otgal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2초

시판 젓갈에서 분리한 Bacillus cereus의 독소 유전자 및 항균제 내성 분석 (Profiles of Toxin Gene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Bacillus cereus Strains Isolated from Commercial Jeotgal)

  • 박권삼;조의동;김희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870-877
    • /
    • 2020
  • Twenty-three Bacillus cereus strain isolated from commercial jeotgal were investigated for 11 toxin genes and susceptibility to 25 different antimicrobials. The hemolytic enterotoxins hblA, hblC, and hblD were detected in 13.0%, and non-hemolytic enterotoxins nheA, nheB, and nheC were detected in 26.1%, 100%, and 100% of the isolates, respectively. The positive rates of cytK, entFM, becT, hlyII, and ces were 73.9%, 60.9%, 26.1%, 8.7%, and 0.0%,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disk diffusion susceptibility test, all of the strains studied were resistant to cefuroxime, followed by cefoxitin (78.3%), oxacillin (78.3%), ampicillin (69.6%), penicillin G (69.6%), and amoxicillin (65.2%). However, all the strains were susceptible to 11 other antimicrobials, including amikacin, chloramphenicol, and ciprofloxacin. The averag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amoxicillin, ampicillin, and cefuroxime against B. cereus were 462.9, 235.0, and 135.0 ㎍/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sanitizing commercial jeotgal, and provide evidence to help reduce the risk of jeotgal contamination by antimicrobial-resistant bacteria.

오징어젓갈 Bacteria 군집분석 및 식중독균 생육저해 Bacillus 균주 선발 (Analysis of the Bacterial Community in Ojingeo-jeotgal and Selection of Bacillus Species Inhibiting the Growth of Food Pathogens)

  • 김혜림;한설화;이빛나라;정도원;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62-468
    • /
    • 2013
  • 오징어젓갈의 안전성 확보 및 품질 균일화를 목적으로 사용할 종균 후보 선발을 위하여 오징어젓갈 우점 bacteria를 도출하고, 이들 중 황색포도상구균과 장염비브리오균에 대한 생육저해활성 보유 균주를 선발하였다. 6종의 배지를 이용하여 2종류의 오징어젓갈 시료로부터 순수 분리한 121 균주를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 Bacillus 속,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CNS), 유산균의 순으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NS는 두 시료 모두에서 검출되었고, 유산균은 시료에 따라 분리되는 종(species)이 다르게 나타났다. 121 균주로부터 선발된 황색포도상구균과 장염비브리오균의 생육을 모두 저해하는 6종의 Bacillus 균주는 NaCl이 6% 첨가된 배지에서 단백질분해활성을 나타내었다.

Optimizing the fermentation condition of low salted squid jeotgal by lactic acid bacteria with enhanced antioxidant activity

  • Akther, Fahima;Le, Bao;Chung, Gyuhwa;Yang, Seung Hwa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4호
    • /
    • pp.391-402
    • /
    • 2017
  • Lactic acid bacteria (LAB) are widely used as starter culture in food fermentation due to their harmless entity and health beneficial properties along with the ability to change texture, aroma, flavor and acidity of food products. In this study, five different LAB (FB003, FB058, FB077, FB081, and FB111) isolated from different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assigned to Lactobacillus plantarum, Pediococcus pentosaceus, Weissella viridescens, Lactobacillus sakei,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ir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16S rRNA sequence analysis, to use as fermentation starter and check their ability to fasten the ripening time as well as the overall optimization in the fermentation condition. To check their suitability as starters, their safety, acid and bile tolerance, NaCl and temperature resistance, susceptibility to common antibiotic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determined. Squid jeotgal samples were prepared by adding $10^8CFU/g$ of each strain in different samples, which were then kept for fermentation at $4^{\circ}C$ and check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at 0, 7, 15, and 21-day intervals. The samples fermented with FB003 and FB077 display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This study revealed two effective starter cultures (FB003, FB077) for squid jeotgal fermentation, which presented increased functiona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novel industrial-scale production avenues for jeotgal preparation, and offer new insights into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chronic disease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a Traditional Jeotgal Product in Korea

  • Cho, Gyu-Sung;Do, Hyung-Ki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1권2호
    • /
    • pp.113-119
    • /
    • 2006
  • Seventeen lactic acid bacterial strains (LAB) were isolated using MRS agar medium from Jeotgal, a Korean fermented food, purchased at the Jukdo market of Pohang. To identify the strains isolated, they were tested by examining their cell morphologies, gram-staining, catalase activity, arginine hydrolase activity, D-L lactate form and carbohydrate fermentation. According to the phenotypic characteristics, three strain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pp., ten were Enterococcus spp. (or Streptococcus spp., or Pediococcus spp.) and the rest were Leuconostoc spp. (or Weissella spp.). Five strains among 17 were chosen by preliminary bacteriocin activity test. Four bacterial strains which inhibited both indicator microorganisms were identified by 16S rRNA sequenc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Leuconostoc mesenteroides (HK 4), Leuconostoc mesenteroides (HK 5), Leuconostoc mesenteroides(HK 11), Streptococcus salivarius(HK 8). In order to check LAB which are showing a high survival rate in gut, we investigated three strains inhibiting both indicator microorganisms in artificial gastric acid and bile juice -all except HK8. The three strains mentioned above grew in extreme low acid conditions.

Vari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quid jeotgal by altering the level of added soy isoflavones and storage duration

  • Le, Bao;Ngoc, Anh Pham Thi;Yang, Seung 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2호
    • /
    • pp.68-76
    • /
    • 2019
  • In this study, we propose a squid jeotgal, Korean fermented seafood, supplement with different soy isoflavones supplements, followed by fermentation for different time intervals at $4^{\circ}C$ to increas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improve the food value. In the first month, fermented jeotgals with at lowconcentration ($2mg\;g^{-1}$) of added soy isoflavone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ctivity of up to 55%, whereas, at high concentration ($10mg\;g^{-1}$), the activity almost doubled compared to that of the sample without isoflavones. Moreover, the squid enriched with isoflavones also exhibited significantly decreased total volatile base nitroge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nd biogenic amines, indicative of higher inhibition of the formation of these substances. The changes in the microbial profile were also evaluated. This use of soy isoflavanones as an additive could aid in improving the nutritional value of fermented seafood to reduce the incidence of age-related and chronic disorders.

양념 창란젓갈 제조시 감마선 조사기술 적용: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 (Application of Gamma Irradiation on Manufacturing Changran Jeotgal (aged and seasoned intestine of Alaska pollack) :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 조철훈;김동호;이원동;이재진;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73-678
    • /
    • 2003
  • 양념 창란젓갈 제조시 감마선의 산업적 적용을 위하여 시판품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제조된 양념 창란젓갈을 0, 2.5, 5.0 및 10 kGy로 감마선 조사하고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을 관찰하였다. 또한 고춧가루를 10 kGy의 감마선 조사로 살균한 후 시판품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양념 창란젓갈의 품질특성도 비교하였다. 시판 고춧가루는 이미 3.9$\times$$10^{6}$ CFU/$m\ell$의 호기성 미생물수를 나타내었으며 10kGy의 감마선 조사로 약 4 log cycle의 감균효과를 볼 수 있었다. 양념 창란젓갈 제조 후 2.5, 5.0, 10 kGy 감마선 조사는 12주동안 1$0^{\circ}C$에서 저장 후 각각 약 3,6,7 log cycle의 감균효과를 가져왔으며, 고춧가루를 10 kGy로 조사하여 제조된 양념 창란젓갈도 약 2 log cycle의 감균효과를 가져왔다. 관능검사 결과 2.5 및 5kGy 조사구는 종합적 기호도에서 비조사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조된 양념젓갈에 2.5kGy의 감마선 조사는 양념 창란젓갈의 유통안전성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며 또한 고춧가루에 감마선 조사도 위생성 향상 측면에서 상당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란젓갈 제조의 신기술 개 발 3. 조미공정의 개량 및 품질평가 (Development of New Manufacturing Process for Changran-Jeotgal 3. Improvement of Seasoning Process and Quality Estimation)

  • 이원동;이재진;장동석;윤지혜;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9-124
    • /
    • 2001
  • 창란젓갈의 조미공정에서 효율적인 수분조정과 물엿에 의한 맛의 이질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엿을 먼저 첨가하여 교반당장을 한 후 부재료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조미공정을 개선하였으며 그 최적화 방안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물엿을 첨가하여 당장을 할 경우 첨가농도 $20\%$, 처리온도 $20^{\circ}C$, 교반속도 10rpm으로 4시간 교반하는 것이 최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조건으로 당장을 할 경우 4시간만에 당농도가 평형에 도달하여 기존의 정치당장에서 6시간 이상 소요되는 것에 비하여 당장시간을 2시간 이상 단축할 수 있었다. 한편 개선된 창란젓갈 신제조 기법과 재래식제조 방법의 각 제조공정별 제품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평가 결과, 공정전반에 걸쳐 염도나 pH, VBN값, 조지방, 조단백 등의 성분들에 대하여는 두 방법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A_{w}$와 수분함량에 대해서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재래식 제조법에 의한 완제품의 $A_{w}$가 0.90인데 비해 공정을 개선한 경우 완제품의 $A_{w}$는 0.82로 감소되었다. 뿐만 아니라 각 제품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개선된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한 제품이 일반 소비자에게 (부산 지역의 40대 이상을 제외하고는) 종합적인 수용도가 높았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관능평가의 결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배양 분리법을 통한 젓갈 내 원핵 세균 군집 분석 및 신규 미생물의 분리 (Analysis of Prokaryote Communities in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Jeotgal, Using Culture-Dependent Method and Isolation of a Novel Strain)

  • 김민수;박은진;정미자;노성운;배진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6-31
    • /
    • 2009
  •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 식품인 젓갈로부터 배양 분리법과 분자생물학적 분석법을 이용하여 원핵 세균 군집을 분석하고, 신규 미생물 분리를 목표로 하였다. 젓갈은 생산 지역과 주재료를 고려하여 17 종을 선정하였으며, 이들 젓갈 시료를 적정 희석배수로 희석하여 12종류의 미생물 선택배지에 도말, 배양한 후 나타난 집락(colony)을 형태학적 특성에 따라 무작위로 308개를 선정하여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된 미생물은 PCR 방법을 이용하여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기존에 보고된 미생물 database와 비교함으로서 17종의 젓갈 내 미생물 군집을 확인하였다. 젓갈의 발효 및 숙성 과정에 관여하는 lactic acid bacteria (Leuconostoc 속, Weisella 속, Lactococcus 속, Lactobacillus 속, Carnobacterium 속, Marinilactibacillus 속, Tetragenococcus 속)와 Bacillus 속, Pseudomonas 속, Micrococcus 속, Brevibacterium 속, Microbacterium 속과 Kocuria 속이 17가지 젓갈에서 광범위하게 분리되었으며, Salinicoccus 속, Halomonas 속, Cobetia 속, Lentibacillus 속, Paracoccus 속, Psychrobacter 속이 소수 분리되었다. 또한 분리된 미생물의 계통학적 분석을 통하여 기존에 보고된 적이 없는 신규 미생물 14종을 분리하였다.

전복내장 젓갈의 제조 및 품질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Haliotis Discus Hannai Ino (abalone) viscera Jeotgal, a Korean fermented seafood)

  • 이정뢰;김보섭;강성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8
    • /
    • 2014
  • 본 연구는 전복내장을 이용하여 젓갈을 제조과정 중 이화학적 변화와 제조된 젓갈의 품질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전복내장의 영양학적 성분을 분석한 결과 탄수화물, 단백질 및 미네랄이 풍부하여 젓갈발효에 우수한 성분특성을 갖고 있었다. 젓갈 발효중 pH는 경시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염도가 pH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휘발성염기질소함량은 발효중 염농도에 따라 현저한 영향을 받았으며 고염발효의 경우 저염발효에 비하여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이 현저하게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발효중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염농도가 낮을수록 높은 값을 보였으나 염농도에 따른 변화는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발효과정중 protease 활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 고염에서 활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발효 30 일경 최고 활성을 보였다. 전복내장과 발효 전복내장젓갈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젓갈 중 7종의 아미노산이 내장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26 종의 아미노산이 높게 나타났다. 전복내장 젓갈의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62.75 mg/g 으로 전복내장 30.37 mg/g에 비하여 약 2배 증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색과 종합기호도에서 우수하였으며 상품화를 위해서는 맛과 향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복내장젓갈에 대한 최초의 연구논문으로 향 후 타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창란젓갈 제조의 신기술 개발 1. 염장조건의 최적화 (Development of New Manufacturing Process for Changran-Jeotgal 1. Optimization of Salting Process)

  • 이원동;장동석;강선모;윤지혜;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9-113
    • /
    • 2001
  • 재래식 창란 젓갈은 정치상태로 제조공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염장 및 숙성 시간이 오래 걸리며, 또한 높은 수분함량으로 변패가 빠른 단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조공정 중에 교반염장 과정 및 염지 유출수 제거과정을 도입하여 염장조건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원료창란에 $12\%$의 식염을 첨가하여 $20^{\circ}C$에서 10rpm으로 교반한 경우 염장 2시간만에 목표염도인 $11\%$에 도달하였으며 이는 정치염장의 경우 6시간이 소요되는 것에 비교하면 염장시간을 4시간 단축시킬 수 있었다. 또한 교반염장 후 2시간째에 유출수를 제거한 경우의 Aw는 0.88이었으며, 반면 유출수를 제거하지 않은 창란의 Aw는 0.94인 것으로 나타나 높은 수분함량 때문에 나타나는 품질변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