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olla province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8초

Ego-resilience, Disaster-Experience and Core competencies of Disaster response between Paramedic Students' and Nursing Students'

  • Jung, Ji-Yeon;Yun, Hyeong-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9호
    • /
    • pp.109-117
    • /
    • 2019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in a disaster response education program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of the paramedic and nursing in ego-resilience, disaster-experience and core competencies of disaster response. The data is collected from March 2 to April 2, 2019, on a total of 358 students (196 paramedic students and 162 nursing students) based in Jeolla Province.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program as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average score of total ego-resilience among the subjects was 86.97 out of 125 points. The number of paramedic students who experienced or witnessed the disaster situation in person was 11.2%, and the number of nursing students was 11.7%. The core competence of disaster response was 3.21% in paramedic students and 3.16% in nursing students. The ego-resilience of the paramedic and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2.797, p<.005) and the paramedic students has an average score of 3.52 points, which is higher than the nursing students (3.42 poi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 in disaster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2.797, p<.005), paramedic students had more disaster experiences (3.11 points) than nursing students (2.67 points). It indicated the static 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disaster experience and core competences of disaster response (p<.000). Through this study, the paramedic students were found to be more ego-resilience, more disaster experience and more critical capacity for disaster treatment than nursing students.

성인의 우울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본인인지 구강건강의 융합관계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the Depression, Social Self-efficacy and Self-perceived Oral Health in Adults)

  • 지민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80-18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본인인지 구강건강과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여 성인구강관리를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4월 25일부터 2016년 5월 21일까지 전북지역의 40대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활용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자료는 SPSSWIN 20.0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법, Scheffe'사후 검정 분석,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울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강건강과도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구강건강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에 꾸준한 예방관리를 위한 사회적 효능감이 반영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며, 심리적 구강건강인지에 대한 교육이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홍대용이 제작한 천문시계 통천의의 기계동력시스템 (MECHANICAL POWER SYSTEM OF TONGCHEON-UI, AN ASTRONOMICAL CLOCK MADE BY HONG, DAE-YONG)

  • 민병희;윤용현;김상혁;기호철
    • 천문학논총
    • /
    • 제35권3호
    • /
    • pp.43-57
    • /
    • 2020
  • Hong, Dae-Yong manufactured the Tongcheon-ui (Pan-celestial Armillary Sphere) with cooperating clock researcher Na, Kyeong-Jeok, and its craftsman An, Cheo-In, in Naju of Jeolla Province in 1760 ~ 1762. Tongcheon-ui is a kind of astronomical clock with an armillary sphere which is rotated by the force generated by a lantern clock's weight. In our study, we examine the lantern clock model of Tongcheon-ui through its description of the articles written by Hong himself. As his description, however, did not explain the detail of the mechanical process of the lantern clock, we investigate the remains of lantern clocks in the possession of Korea University Museum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Comparing with the clocks of these museums, we designed the lantern clock model of Tongcheon-ui which measures 115 mm (L) × 115 mm (W) × 307 mm (H). This model has used the structure of the striking train imitated from the Korea University Museum artifact and is also regulated by a foliot escapement which is connected to a going train for timekeeping. The orientation of the rotation of the going train and the striking train of our model makes a difference with the remains of both university museums. That is, on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gear set of Tongcheon-ui's lantern clock, the going and the striking trains take on a counterclockwise and clockwise direction, respectively. The weight of 6.4 kg makes a force driving these two trains to stick to the pulley on the twine pulling across two spike gears corresponding to the going train and the striking train. This weight below the pulley may travel down about 560 mm per day. We conclude that the mechanical system of Tongcheon-ui's lantern clock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Japanese style.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과 임상실습만족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Job-Seeking Stres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조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607-614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과 임상실습만족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21년 5월부터 6월까지 전라지역 소재 M대학의 4학년 간호대학생 15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는 전공만족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r=-.356, p<.001)이 있었지만, 임상실습만족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018, p=.825).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나이(β=0.285, p<.001), 성적(β=0.250, p=.001), 전공만족(β=-0.331, p<.001)이었고 설명력은 25.3%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해 전공만족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나이와 성적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노인의 노화불안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ging Anxiety and Self-Efficacy of the Elderly)

  • 박경아;김정자;오명화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51-258
    • /
    • 2020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화불안과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노화불안과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2019년 4월부터 2019년 8월까지 광주·전남지역 노인건강센터, 노인복지관, 보건소, 경로당을 중심으로 284명의 응답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노화불안 척도와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화불안은 연령, 경제적 수준, 건강상태, 현재걱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은 연령, 학력, 종교, 경제적 수준, 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노화불안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은 낮게 나타났다. 건강을 오래 지켜나가고 안전할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 방안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Development and Analysis of the Effects of an Inter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 Hyejin Kim;Bong Seok Jang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3_spc호
    • /
    • pp.343-349
    • /
    • 2024
  • Recently, the intercultural approach, which aims to resolve social conflicts in multicultural societies through cultural encounters and dialogue, has been actively discussed. Intercultural education aims to foster smooth relationships and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interactions among various cultural groups.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has revealed the need for research on intercultural civic education programs targeted at adult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n inter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and to analyze its effects. For the study, previous research on interculturalism, inter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and inter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s was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developed inter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was categorized into five major themes: understanding oneself and others, racism and hate speech, overcoming conflict and discrimination, breaking away from prejudice and stereotypes, and the future of our country. Subsequently, the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64 total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3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in the control group, at an accredited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in M City, South Jeolla Province.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an intercultural competency scale was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for adult students was effective in conflict management, respect, communication, and reflection competencies, all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Finally, the authors compared the study results with previous research and discussed the findings. Findings indicated the necessity of enhancing multicultural citizenship awareness among adults and expanding teacher training in intercultural education. The program effectively improved intercultural competence among adult student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ailored educational content and active participation in discussions. Future research should ensure a balanced gender ratio among participants.

조선후기 전라도 임실현 향리층의 존재양태 - 『운수연방선생안(雲水?房先生案)』을 중심으로 - (The Existence Aspects of the Hyangri Class in Imsilhyeon, Jeolla Province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 With a focus on Woonsuyeonbangseonsaengan)

  • 권기중
    • 동양고전연구
    • /
    • 제72호
    • /
    • pp.157-183
    • /
    • 2018
  • 이 논문은 "운수연방선생안"을 통해 조선후기 전라도 임실현 향리층의 존재양태를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운수연방선생안"에는 경종 4년(1724)부터 작성하기 시작하여 20세기 초반까지 작성한 임실현 향리들의 명단을 수록하고 있다. "운수연방선생안"에는 모두 704명의 향리들이 확인된다. 김씨 119명, 엄씨 103명, 진씨 103명, 박씨 87명, 문씨 86명, 이씨 66명, 백씨 31명, 황씨 27명, 태씨 17명 등이다. 이외에도 12개의 성씨가 확인되는데, 10명 미만의 향리를 배출할 따름이다. 이 지역의 대표적인 향리 성씨를 전체 점유율 순으로 추정해본다면, 김씨, 엄씨, 진씨, 박씨, 문씨, 이씨 등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특징은 전씨와 양씨가 19세기에 들어와서 전혀 향리를 배출하지 못한 반면, 황씨가 19세기에 들어와 5%대의 향리를 배출하고 있으며, 진씨가 10%이상대의 점유율을 보이며 약진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몇 몇 향리 성씨가 향리 사회를 주도함에도 불구하고 그 내부에는 약간의 변화들이 늘 상존했음을 보여준다. 이들 성씨들의 본관을 "노소계안"을 통해 살펴본 결과, 이들은 경주 김씨, 영월 엄씨, 남원 진씨, 함양 박씨, 남평 문씨, 경주 이씨였다. 다음으로 "운수연방선생안"에 호장 직역을 역임한 것으로 기재된 76명의 호장 성씨를 통해 상층 향리를 배출한 성관도 위의 성관과 동일한 지 살펴보았다. 향리의 최상층 직임인 호장을 다수 배출한 성관과 향리를 가장 많이 배출한 성관은 전체적으로 보면 거의 일치하나, 시기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18세기에는 6개 성관이 비슷한 비율로 호장을 배출했다면, 19세기에 와서는 남원 진씨에서 13명, 남평 문씨 9명, 영월 엄씨 6명 등 3개 성관만이 10명 이상의 호장을 배출하고 있다. 19세기의 주목할 만한 또 다른 변화는 한 명의 호장이 두 번 이상 호장을 역임하는 빈도수가 18세기에 비해 급격히 늘어났고, 특정 성관으로 집중된다는 사실이다. 이같이 조선후기 임실현의 향리 사회는 6개 성관이 다수의 향리를 배출하며 공존하는 양상이나, 내부적으로는 시기에 따른 상층 향리 성관의 변화가 일부 확인되며, 특정 성관이 향리 사회를 주도하는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전남북 지역 맥류 붉은곰팡이병균의 Propiconazole 약제에 대한 감수성 변화 (Change in the Sensitivity to Propiconazole of Fusarium graminearum Species Complex Causing Head Blight of Barley and Wheat in Jeolla Province)

  • 백지선;나주영;이미정;임수빈;최정혜;장자영;이데레사;최효원;김점순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81-289
    • /
    • 2022
  • 붉은곰팡이병은 곡류의 중요한 병이며 Fusarium graminearum species complex (FGSC)에 속하는 균들에 의해 발생한다. 맥류 재배 농가들은 이 병을 방제하기 위해 탈메틸화 억제제인 triazole계 살균제를 살포한다. 본 연구는 FGSC 집단에서 triazole계 살균제인 propiconazole에 대한 감수성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0-2016년과 2020-2021년 동안 전남북의 보리와 밀에서 124개와 350개의 FGSC 균주를 각각 분리하였다. 균주들의 종 동정 및 트리코테센 독소화학형은 각각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및 TRI12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PCR 분석을 기반으로 결정되었다. propiconazole에 대한 민감도는 한천 희석법을 사용하여 균사체 성장을 50% 감소시키는 유효 농도(EC50)를 기준으로 결정되었다. 모든 균주에서 nivalenol 독소화학형의 F. asiaticum이 가장 많았으며(2010-2016년 83.9%, 2020-2021년 96.0%), 3-acetyl deoxynivalenol 독소화학형의 F. asiaticum (2010-2016년 12.1%, 2020-2021년 2.9%)이 그 다음이었다. 2010-2016년과 2020-2021년에 수집된 균주의 EC50 값은 각각 0.0180-11.0166 ㎍/mL 및 1.3104-17.9587 ㎍/mL 범위였으며, 평균 EC50 값은 2010-2016년 3.8648 ㎍/mL에서 2020-2021년 5.9635 ㎍/mL로 증가했다. 2010-2016년 균주의 EC50 값을 바탕으로 7.0 ㎍/mL을 저항성 기준으로 정하였고, 저항성 균주의 수는 2010-2016년 9.7%에서 2020-2021년 28.6%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군 구성 분석을 통한 전통 음식문화 측면에서의 학교급식 식단 평가 (Evaluation of Traditional Aspects of School Lunch Menus in Korea by Analyzing Dish Group Composition)

  • 이영미;김미영;정혜경;김행란;심재은;조혜영;윤지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86-401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raditional aspects of school lunch menus in Korea.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menu-related contents included in guidelines for school lunch programs provided by 16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In addition, the data of 10,495 menus for the third week of December 2010 and March, July, October 2011 from 557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ere analyzed by school grade, area, and provi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pecific and detailed guidelines for menu planning in terms of traditional food culture in most of the guidelines for school lunch programs. However, the basic traditional menu composition was maintained in school lunch menus. The percentage of menus including rice and Kimchi was 97% and 95%, respectively, and that including Korean soup was about 72%. However, the frequency of serving Namul, Korean seasoned vegetable dish, accounted for only about 52% of the menus. The percentage of the menus following the traditional food group pattern including such five food groups as rice, Korean soup, Kimchi, Namul, and optional Korean side dish was only about 35%. The percentage of the menus following the traditional food group pattern excluding Namul from the five food groups accounted for about 30%. The traditional food group score, calculated by allocating 1 point to each of the five food groups was 4.06 out of 5 points on average. Elementary schools and schools in rural area and in Jeolla-do province served traditional menus more frequently. In conclusion, school lunch programs need to consider establishing traditional foods-based standards and relevant guidelines for school lunch, particularly for high schools and schools in urban areas and in some provinces.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된장 제품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대한 연구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Made by Traditional Methods)

  • 변명우;남탄공;전명숙;이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543-1548
    • /
    • 2014
  • 전국 5개도에서 수집된 된장의 화학성분 분석 결과 환원당 함량은 강원도 된장이 $122.37{\pm}0.95$ mg/g으로 다른 지역 된장들보다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나머지 지역 된장들은 거의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전라도 된장이 가장 높았고 경기도 된장이 가장 낮았으나 된장의 전통식품 품질인준 기준 300 mg%를 모두 충족시키는 값이었다. 식염 함량은 충청도 된장(14.58%)과 경상도 된장(13.54%)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강원도 된장(9.76%)이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pH 값 범위는 5.36~4.79로 된장 모두 정상적인 시판 제품의 범위였고, 적정산도는 전라도 된장과 경기도 된장이 220(0.1 N NaOH mL/5 g)으로 높은 적정산도를 나타내었다. 된장에 대한 묘사분석 결과를 토대로 주성분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은 짠맛과 짠맛 후미를 갖는 된장 제품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된장의 화학성분과 기호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된장의 소금 농도와 pH 값이 높고, 환원당 함량이 낮은 제품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된장의 화학성분과 묘사분석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와 상관관계를 부분 최소 제곱을 이용하여 pH가 높고 짠맛이 있는 된장을 좋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