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ju natural extracts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5초

한국의 양식넙치에서 분리한 Tenacibaculum maritimum의 특성과 자생식물 추출물에 대한 감수성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enacibaculum maritimum isolated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in Korea and sensitivity against native plant extracts)

  • 장영환;정준범;여인규;김기영;;허문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3-65
    • /
    • 2009
  • Tenacibaculum maritimum (formerly Flexibacter maritimus)은 tenacibaculosis라 불리며, 해산어에서 궤양 및 괴사성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원인체 이다. Tenacibaculosis는 다양한 양식 어종에서 있어서 경제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질병 중 하나이며, 피부, 입, 지느러미, 꼬리 등과 같은 어체 표면에 심각한 궤양과 괴사로 인한 손상을 유발시 킨다. 본 연구에서는 tenacibaculosis의 증상을 나타내는 넙치 병어로부터 A-7 균주를 분리하였고, 형태학적 특성, 생화학적 성상 및 유전자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T. maritimum으로 동정하였으며, 침지법을 통하여 넙치에 인위적으로 감염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enacibaculosis를 제어하기 위해 약욕에 의한 항생제 투여가 많이 이루어지며, 그 중 oxytetracycline이 주로 사용되고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양식어민과 소비자들은항생제 잔류와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우려하고있으며, 비싼 항생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양식어의 생산 비용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천연 자생식물 추출물을 항생제 대체제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35 종류의 천연식물의 항균 활성을 검색하였고, 많은 천연식물 추출물이 T. maritimum에 대하여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밝혔다.

광나무 열매 발효 추출물의 항염 및 항산화 활성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for Extract of Fermented Ligustrum japonicum Fruits)

  • 김정은;김소희;김미애;고미선;신찬성;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17-12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광나무(Ligustrum japonicum) 열매 발효 추출물의 항염 및 항산화 효능을 비발효 추출물과 비교 분석하였다. 광나무 열매의 발효는 제주 자리돔(Chromis notata) 내장에서 분리한 Latilactobacillus curvatus (L. curvatus) 및 Weisella minor (W. minor) 균주를 이용하였으며, 각각의 발효 추출물(LJF-LC 및 LJF-WM)의 수율은 40.5 ~ 46.0%로 비발효 추출물(LJF)의 29.5% 보다 높게 나타났다. Lipopolysaccaride(LPS)로 자극된 RAW 264.7 대식세포를 이용한 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활성 실험 결과, 발효 추출물인 LJF-WM이 세포 독성 없이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생성을 저해시키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실험 결과, 발효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 활성이 비발효 추출물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발효 추출물 LJF-WM은 과산화수소(H2O2)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를 보였다. 광나무 열매의 주성분인 salidroside의 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발효 추출물 LJF-LC에서 15.6 mg/g, LJF-WM에서 13.9 mg/g으로 확인되어 비발효 추출물(12.0 mg/g) 보다 함유량이 높게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광나무 열매 발효 추출물은 항염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써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냄새냉이 수용성추출물의 제초활성 탐색 (Screening of Herbicidal Activity from Aqueous Extracts of Coronopus didymus)

  • 김태근;송진영;강정환;양영환;김현철;송창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3-85
    • /
    • 2016
  • 본 연구는 냄새냉이의 군락 형성에 따른 하부식생에 미치는 영향을 환경식물학적 측면에서의 파악과 천연제초제로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용성 추출액 농도에 따른 수용체 식물의 발아 및 유식물 생장 등을 조사하였다. 냄새냉이 군락에 근접할수록 1번 조사구(7종, 1.76), 2번 조사구(5종, 1.34), 3번 조사구(5종, 1.25) 순으로 출현종수, 종 다양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냄새냉이의 수용성 추출액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대부분 수용체 식물의 상대발아률(r=-0.731, p<0.01), 평균발아기간, 상대신장률(r=-0.571, p<0.01, r=-730, p<0.01), 상태생체량(r=-0.743, p<0.01), 뿌리털 발달 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각각 수용체 식물에 따라 약가의 정도 차를 보였다. 수용체 유식물의 생장은 부위별 억제의 정도 차를 보이는데 수용체 식물의 지상부보다 지하부가 냄새냉이의 수용성추출액에 대해 억제의 경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냄새냉이의 수용성추출액에 대한 총 페놀 함량은 $23.0{\pm}1.1mg/g$으로 분석되었다. 조사지역의 토양 내 총 페놀 함량은 1번 조사구($0.072{\pm}0.002mg/g$), 2번 조사구($0.082{\pm}0.003mg/g$), 3번 조사구($0.092{\pm}0.004mg/g$) 순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 결과를 종합하면 냄새냉이는 자생식물과의 경쟁함에 있어 알레로파시 효과를 나타내는 페놀 화합물 등이 수관 내 토양으로 방출하여 하부식생에 대한 발아 및 생장 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경쟁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천연제초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쥐 해마 HT22 세포에서 글루타메이트 유도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Salacca wallichiana 추출물의 신경 보호 효과 (Neuroprotective effects of Salacca wallichiana extract against glutamate-induced oxidative stress in mouse Hippocampal HT22 cells)

  • 변지훈;홍예영;이중회;;;한송이;김재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250-257
    • /
    • 2023
  • Glutamate는 포유류의 중추신경계에 분포하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로, 기억, 인지, 그리고 학습 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고농도의 Glutamate는 신경세포에 독성을 유발하여 신경세포사멸을 유도함으로써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뇌졸중 등의 신경퇴행성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아열대 천연물의 항산화 활성과 신경보호 효과를 분석하였다. 11종의 아열대 추출물 중에서 Salacca wallichiana 추출물 (SE)의 라디칼 소거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SE의 신경보호 효과를 조사한 결과 glutamate로 유도되는 cell death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였다. 또한 glutamate로 유도되는 apoptosis로부터 HT22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는 Annexin V와 PI로 염색한 후 flow cytometry를 통해 분석되었다. 추가적으로 H2DCFDA 염색을 이용하여 SE가 glutamate로 유도되는 세포 내 활성 산소 종 (ROS)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SE의 신경보호 효과는 oxidative stress로 유발되는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signaling pathway를 억제함으로써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SE가 신경퇴행성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편백나무 잎 추출물 및 편백나무 잎과 꼭두서니 추출물로 염색한 견직물의 표면색 및 기능성 (Surface Color and Functionality of Silk Dyed with Extract from Chamaecyparis obtusa and Mixture Extracts from Chamaecyparis obtusa and Rubia tinctorum)

  • 장현주;정진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86-492
    • /
    • 2017
  • This study finds surface color and functions of natural dyeing from Chamaecyparis obtusa leaves which help cure skin problems such as atopic dermatitis. This study also seeks to find dyeing properties and functions of natural colorants derived from Chamaecyparis obtusa and Rubia tinctorum on silk. Dyeing properties and functions are compared between silks dyed with Chamaecyparis obtusa and silks composite-dyed with Chamaecyparis obtusa and Rubia tinctorum. The comparison examines the feasibility of developing healthy and high functional fabrics and wellness of fashion merchandises. Silk dyeing with Chamaecyparis obtuse leaves yields yellow and double coloring from Chamaecyparis obtusa; however, Rubia tinctorum yields yellow/red on silks. Silks dyed with Chamaecyparis obtusa and silks composite-dyed with Chamaecyparis obtusa and Rubia tinctorum show a high level on dry cleaning, ultraviolet protection and deodorization. Especially, the dyed silks from leaves of Chamaecyparis obtusa show a 99.7%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B. Silks composite-dyed with Chamaecyparis obtusa and Rubia tinctorum are better known for medicinal herb for dermatitis, and natural colorant, Rubia tinctorum does not improve significantly functions compared with silks dyed with Chamaecyparis obtusa. However, the dyeing properties improve by composite dyeing. This implies that ways to maximize effects of tie-dyeing technique could be developed.

광나무 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견직물의 염색성 (Dyeability of Silk Fabrics Using Extracts of Ligustrum Japonicum Thunb Fruit)

  • 이혜선;고성미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1-76
    • /
    • 2010
  • In this study the optimum dyeing conditions and blocking effect of UV deodorization efficiency of Ligustrum japonicum Thunb were investigated. Colorants were water-extracted from Ligustrum japonicum Thunb fruit and freeze-drided to obtain colorants powder. The effects of dye concentration, dyeing temperature, dyeing time, and the number of dipping count were studied. Fastness to dry cleaning, rubbing, perspiration, and light were measured according to KS K 0644, KS K 0650, KS K 0715 and KS K 0700, respectively. In order to examine the dyeability according to dyeing conditions, reflectance of fabrics were measured by using UV/VIS spectrophotometer. The bath ratio was 1:20. Dyeing concentration was 100, 200, 300, 400 and 500% on the weight of fiber. Dyeing time was 20, 40, 60, and 80 minutes. Dyeing temperature was 20, 40, 60, 80, and $100^{\circ}C$. The infrared high pressure dying machine was used. As dyeing concentration increased, dye adsorption increased up to 400% and it slowed down. Dye uptake was increased with raising themperature up to $80^{\circ}C$ and it slowed down. Dye adsorption occurred rapidly at first 20 minutes and then it slowed down and reached almost maximum dye uptake at 60 min. Dye uptake increased by repeated dyeing.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optimum dyeing condition is 400%(o.w.f.), $80^{\circ}C$, 60 min. And repeated dyeing improves dye uptake. Color fastness to dry cleaning and rubbing was good, but light fastness and perspiration fastness was not good. Blocking effect of ultraviolet radiation and deodorization efficiency was goo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Fruits Produced in Jeju Island

  • Lim, Hee-Kyoung;Yoo, Eun-Sook;Moon, Jeong-Yong;Jeon, You-Jin;Cho, So-Mi 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312-316
    • /
    • 2006
  • Crude extract of young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fruit was investigated for its antioxidant activity as measured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the samples, including 4 Citrus species and various solvent-extracted-fractions of young dangyuja fruit, the water-extracted fraction (WF) and butanol-extracted fraction (BF) showed the greates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F and BF were further examin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by three different in vitro assays. The cell viability tests using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reduction assay showed that both fractions significantly reduced $H_2O_2$-induced cytotoxicity in HepG2 cells dose-dependently. Generation of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as also reduced in cells pretreated with both fractions. In addition, BF showed a higher level of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capacity than WF in $H_2O_2$-treated HepG2 cell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young dangyuja fruit can be used as an easily accessible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좁은잎천선과나무(Ficus erecta var. sieboldii) 잎 추출물이 대식세포 RAW 264.7 세포에서 미치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icus erecta var. sieboldii Leaf Extract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 정용환;함영민;윤선아;오대주;김창숙;윤원종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03-311
    • /
    • 2018
  • 본 연구는 좁은잎천선과나무 잎 추출물을 식의약품 소재 등 천연물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에 대한 예비 평가를 기술하였다. 좁은잎천선과나무는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한 다음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항산화 및 항염증제 효과를 효과적으로 스크리닝하기 위해 좁은잎천선과나무 잎 추출물이 산화 스트레스(DPPH, xanthine oxidase and superoxide) 생성에 미치는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LPS로 활성화된 대식세포 RAW 264.7 세포에서 염증성 인자(NO, iNOS, COX-2, $PGE_2$, IL-6 and $IL-1{\beta}$)의 생성에 대한 좁은잎천선과나무 잎 추출물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좁은잎천선과 나무 잎 추출물의 용매분획물 중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산화 스트레스(DPPH, xanthine oxidase and superoxide)의 생성 감소가 있었고, 좁은잎천선과나무 잎 추출물의 헥산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염증 유발인자(NO, iNOS, COX-2, $PGE_2$, IL-6, and $IL-1{\beta}$)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TNF-{\alpha}$, IL-6, and $IL-1{\beta}$)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좁은잎천선과나무 잎 추출물이 산화 스트레스 및 염증 유발 인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산화방지제 및 항염증제와 같은 천연물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마란스 씨앗 추출물의 항염 및 Tyrosinase 억제 효과 (Anti-inflammatory and Tyrosinase Inhibition Effects of Amaranth (Amaranthus spp L.) Seed Extract)

  • 이미란;강창희;부희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4-151
    • /
    • 2017
  • 본 연구는 아마란스(Amaranthus spp L.) 씨앗 추출물의 항염 및 미백과 관련된 효능을 측정함으로써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등에 유용한 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아마란스(Amaranthus spp L.) 씨앗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검색을 위하여 RAW 264.7 세포를 이용하고 실험을 진행하였고, 미백 효능 확인에 대하여서는 mushroom tyrosinase를 사용하였다.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NO 생성 억제, iNOS 및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염증매개인자인 $TNF-{\alpha}$$PGE_2$ 생성 억제효과 등을 확인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NO 생성과 iNOS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강하게 억제함으로써 iNOS 발현 억제를 통한 NO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NO와 iNOS 억제 효과보다는 약하지만 $PGE_2$와 COX-2 단백질 발현 역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으로써 $PGE_2$ 억제 효능이 COX-2의 발현 억제를 통하여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염증에 의해 증가되는 아라키돈산 대사물들이 피부 멜라닌 합성의 최초 속도결정단계에 작용하는 tyrosinase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PGE_2$의 발현을 억제하는 아마란스 EtOAc 분획물이 tyrosinase 효소 억제 활성을 측정하고 미백효능을 확인하였다. Mushroom tyrosinase 활성 억제 효능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효소의 활성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향후 아마란스 씨앗의 항염 효능을 갖는 유효성분 탐색 및 멜라닌 세포를 이용하여 미백 관련 연구의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며, 아마란스 씨앗이 우수한 영양식품으로 알려져 있는 만큼 안전하면서도 항염과 미백 효능이 있는 소재로서 기능성 식품, 의약품, 화장품 소재로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등수국 잎 추출물 유래 항염 및 항균 활성 성분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Active Ingredients Derived from the Extract of the Leaves of Hydrangea Petiolaris)

  • 조성미;김정은;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07-21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등수국 잎 추출물의 항염 및 항균 활성을 확인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RAW 264.7 세포를 이용한 항염 활성 실험 결과, n-hexane (Hex) 및 ethyl acetate (EtOAc) 분획물이 세포 독성 없이 nitric oxide (NO)의 생성 및 iNOS 단백질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인 항염 기전 연구 결과, n-Hex 및 EtOAc 분획물이 전염증성 cytokine (TNF-α, IL-1β, IL-6)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피포도상구균과 여드름균을 이용한 활성 실험 결과, 추출물 및 n-Hex, EtOAc, n-butanol (BuOH) 분획물에서 항균 활성이 나타났다. n-Hex 및 EtOAc 분획물의 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4 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phytol (1), corosolic acid (2), asiatic acid (3) 및 1-O-p-coumaroyl-β-D-glucopyranoside (4). 이들 화합물은 모두 등수국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물질이다. 또한 HPLC 분석을 통해 등수국 잎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phytol (1) 이 27.8 mg/g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등수국 잎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갖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