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ju Oreum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8초

제주도 왕이메오름의 식물상 (Wang-ime Oreum Flora on Jeju Island)

  • 박지현;서민희;문성필;송관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861-881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lora of the Wang-ime oreum located on Seogwipo-si, Jeju-do, to basic data for the Jeju Island plant distribution. A total of 366 taxa were found with 94 families, 240 genera, 358 species, 1 subspecies, 6 varieties, and 1 forma. The floristic target species in Korea appeared as 2 taxa of grade V, 13 taxa of grade IV, 46 taxa of grade III, 5 taxa of grade II, and 49 taxa of grade I. There were 14 taxa for naturalized plants. The different plant life forms that appeared were large ground plants (M)(54 taxa), small land plants (N) (52 taxa), epiphyte (E) (6 taxa), indicator plants (Ch) (4 taxa), and semi-aquatic plants (H) (168 taxa), There were 34 and 48 taxa of plants(G) and annuals (Th)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Wang-ime oreum, which is adjacent to ranches and grasslands, has little artificial interference, as more plants are distributed, and fewer naturalized plants are found than in Suwolbong and Dangsanbong. Accordingly, each oreu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lora of Jeju-do, thus a management plan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lcano is necessary.

웹 검색 기반으로 한 제주 오름의 콘셉트 분류 시스템 (Concept Classification System of Jeju Oreum based on Web Search)

  • 안진현;변소영;우서정;안예지;강정운;김민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235-240
    • /
    • 2021
  • 오름의 방문객 수가 증가하고 있고 관광의 트렌드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오름 방문의 동기도 과거의 휴식과 쾌락의 차원에서 경험과 체험을 중점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 사람들은 오름에 오를 때 단순히 운동만이 아닌 결혼, 가족여행 등과 같은 동기를 선정하여 방문한다. 하지만 관광객의 오름 방문 동기에 맞는 오름을 찾는 것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웹문서 검색 엔진을 통해 오름과 콘셉트에 대한 연관 수치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오름의 콘셉트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홈페이지에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원하는 날짜를 선정해서 과거 혹은 선택한 기간의 오름과 콘셉트에 대한 연관 수치 확인이 가능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제주의 자연유산인 오름의 방문을 활성화하여 제주 관광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향후 제주 오름만이 아닌 해수욕장이나 바다 등으로 본 시스템을 확장할 수 있다.

제주 '오름'의 지형경관 특성과 활용방안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Geomorphic Landscape and Its Usage of 'Oreurn' on Jeju-Island)

  • 서주환;노재현;김상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7-70
    • /
    • 2007
  • As a basic element of Jeju landscape, Oreum offers a beautiful and aesthetic view. Considering topographical and geological research achievements, however, an effort to discover implicit value in terms of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value has been ignored. This paper has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landscape by Oreum focusing on Jeju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eco-touristic value and discussed a scheme to maximize the values. Under a theme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RIO Declaration, tour industry has recently changed its focus from eco-tourism to gee-tourism. Fortunately, Jeju Oreum has very distinctive and unique landscape with depressed crater at a crest. Nevertheless, it's very difficult to see a true aspect of Oreum from the street or over the car window. Therefore, it's urgent to begin a research on how to make advantage of and preserve Oreum landscape in order to maximize its landscape values and improve its potential as a tourist attraction. Through diverse programs such as sky leisure sports(ex: light airplane and helicopter riding, paragliding), sky watching, and mountain hiking, in particular, a possibility that Oreum can succeed as LBD(Learning by Doing)-based tour program with volcanic features needs to be examined. Besides, it's also a good idea to develop Oreum tour program or Oreum Museum as an alternative plan. Above all, however, it's most urgent to protect the existing Oreum and restore ecological and landscape beauty of Oreum through proper land use.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제주 오름 이미지의 재해석 (Re-interpretation of Jeju Oreum imag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강묘선;양소희;박진우;좌동훈;김민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2-254
    • /
    • 2022
  • 본 연구는 최근 제주 현대미술가들의 작업을 지속해서 수용하며 활발한 작업을 끌어내고 있다는 점에 연구 배경을 갖고, 제주 미술 작가의 작품과 제주 관광산업에 이바지할 방안에 관해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는 방안으로서 딥드림 제너레이터(Deep Dream Generator) 소프트웨어는 본 연구를 추진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라 판단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과정으로서, 딥드림 제너레이터를 활용해 제주 작가 작품과 딥드림 제너레이터에서 제공하는 저명한 해외 작가들의 작품 각각을 직접 찍은 제주 오름 사진과 합성해 그 결과물을 전시하며, 인공지능을 이용한 제주 오름의 재해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또한, 나온 결과물을 이용해 제주 관광상품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제주의 미술 작품과 관광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문화콘텐츠로서의 당산숲 인식 증진을 위한 방법론 고찰 -당(堂)과 연계시킨 제주도 저지오름 대안 탐방로 모색을 사례로- (Perspectives of methodology for Heighten Public Awareness of Dangsan Forest as Cultural Contents -Case of Alternative Trail of Jeoji Oreum Connected with Dang in Jeju Island-)

  • 최재웅;김동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924-934
    • /
    • 2013
  • 전통마을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문화경관으로서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한라산 자락에 있는 기생화산 오름의 수는 총 368개이고, 제주도 전역에 총 391개의 신당(神堂)이 있는데, 근래에 관광객을 위한 올레길, 도로 개설 등으로 인해 제주 신당이 급속히 훼손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제 문화콘텐츠는 로컬리티(지역성)와 글로벌리티(세계성)를 같이 갖추어야 하며, 우리의 고유한 콘텐츠로서의 글로컬문화콘텐츠 생산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당(堂)과 연계한 제주도 저지오름 탐방로 개선방안을 고찰한 것이다. 당숲 구간을 오름 탐방로와 연계하면 실생활에 살아있는 전통문화경관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당과 오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주도 농어촌마을들이 탐방로를 따라 그 테마와 원형이 잘 보전, 관리된다면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닌 곳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제주 오름 체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n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the Jeju Oreum Experience Learning Program: Focused on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 고석호;이성희;문윤섭;김기대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5권2호
    • /
    • pp.135-148
    • /
    • 2012
  • This research was aimed at developing the program using the natural circumstances in Jeju Oreum as the basi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students were inquired about how these activities influence the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tu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experience activities to the developed program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literacy. This was t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o which theoretical classes were conducted. Second, Jeju Oreum Experience learning program has evenly influenced the elements of environmental literacy divided by the four goal leve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Natural Experience Activities on the basis of natural circumstance is considered to affect the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in positive, effective manner. Consequently,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a school or society should develop programs that apply to natural circumstances as a field of Environmental Education.

  • PDF

새별오름에서 초지 화입에 의한 식생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Vegetation by Burned Grasses in Saebyeol-Oreum of Jeju-do)

  • 송국만;강성현;최선아;김문홍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43-548
    • /
    • 2010
  • This research was mad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urned, which is made in the early spring every year at Saebyeol-Oreum from 2003 to 2009, on changes in vegetation on the grassl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y of the land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the surface land that had the angle of azimuth and the angle of slope in the range of southeast $135^{\circ}{\sim}180^{\circ}$ accounting for 73.89% and $21^{\circ}{\sim}30^{\circ}$ accounting 58.33% of the entire surface land, respectively, was found to be high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value was found to be lowered from 27.07 in 2003 to 19.47 in 2009, and this can be attributable to the relative importance value of Artemisia japonica having been heightened from 7.07 in 2003 to 16.23 in 2009. The reason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value of Artemisia japonica was found to be high is thought to be that vegetation on the surface land was removed by burned in the early spring and, due to this, the dry surface of soil and the high slope accelerated the soil erosion and could not provide proper environment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for Imperata cylindrical and Miscanthus sinensis, so Imperata cylindrical and Miscanthus sinensis were excluded and Artemisia japonica whose importance value had been highest have flourished. Researches to maintain the current vegetation on the burned location of Saebyeol-Oreum and to adjust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oil to restore vegetation and the proper time and cycle of burned should be conducted.

제주시 봉개동 고냉이술 오름의 화산형태학적 특성 (Volcanic Geomorphology of Gonaengisool-oreum, Bonggae-dong, Jeju)

  • 이정현;윤성효
    • 암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51-159
    • /
    • 2011
  • 제주시 봉개동의 고냉이술 일대의 지질은 오래된 것으로부터 영평동현무암, 신안동현무암, 봉개동현무암 및 분석층으로 구성된다. 영평동현무암과 신안동현무암은 고냉이술 오름의 남쪽 중산간 지역에 위치하고, 고냉이술 오름과 그 북부 저지대 일원에는 봉개동현무암이 분포한다. 봉개동현무암은 아아 용암으로 주로 구성되며, 용암 켜 사이에 두터운 클링커를 협재하고 있다. 고냉이술 오름은 화산지형학적으로 하나의 독립된 소화산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고냉이술 오름의 산정부에는 낮은 외륜산릉으로 둘러싸여 있는 넓은 분화구를 가지고, 그 내부에는 분지형 함물지인 여러 개의 피트 분화구(pit carter)를 가지는 용암순상화산이다. 고냉이술 오름의 저면 고도는 295 m에서 300 m (평균 297.5 m)이며, 최고봉의 고도는 304.5 m, 저면의 지름은 평균 597.5 m, 비고는 7.9 m로 사면경사각은 $1.5^{\circ}$이다.

윈드캐슬: 한라산-오름-밭담의 자연지능 제어 I (Wind Castle: The Natural Intelligence Control of Hallasan-Oreum-Batdam I)

  • 이문호;김정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05-111
    • /
    • 2020
  • 제주 윈드캐슬을 정의하고 그 주체인 한라산-오름-밭담의 상호관계를 최초로 분석했다. 제주에는 높이 1.5m의 밭담(Black Silk Road), 368개의 오름, 한라산 1950m, 모두 유니크한 풍광이다. 본 논문의 검증은 삼다수 지하수 채취 해수면이 한라산 높이와 같고 중성대 이론에서 이 문제를 수학적으로 완전하게 증명한다. 돈내코(해발700m)-백록담동릉-진달레밭-성판악-교래(453m)-윗세오름(1700m)은 Rain belt로 남동쪽에서 올라오는 북태평양 습도를 먹은 저기압 기단과 한라산 봉우리의 고기압의 찬공기가 부딪치는 -와+가 합해져서 제로가 되는 중성대이기 때문에 비가 많이 온다. 제주역사에서 한라산을 진산(鎭山)이라고 하는데 그 답은 윈드캐슬이다. 제주 오름 수는 한라산 포함 369이며 50m/s이상 불어오는 태풍에도 약 1.5m 높이인 밭담은 무너지지 않는다. 윈드캐슬의 핵(核)은 밭담 1.5m이고 그것은 삼각수이기 때문이다.

당(堂)과 오름을 중심으로 한 제주도 해안.중산간마을의 공간 특성 사례연구 (Case Study on the Space Characteristics Focused on the Dang and Oreum of the Seashore.Inland Villages in Jeju Island)

  • 최재웅;김동엽;조록환;김미희;안옥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1-109
    • /
    • 2012
  • 제주도는 세계유일의 유네스코 자연환경 분야 3관왕이라는 국제적 위상을 가진 지역이며, 전통마을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문화경관으로서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본 논문에서는 육지의 전통마을숲인 당산숲 비보숲과 비교하여 제주도 전통마을숲의 특징 및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한라산 자락에 산재하는 기생화산인 오름의 수는 368개이고, 제주도 전역에 총 391개의 신당이 있는 것이 확인된 바 있다. 이처럼 제주도 농어촌마을의 삶과 문화 전통경관은 당(堂)및 오름(기생화산)과 불가분의 관계로 엮어져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주도 마을공간은 자연이 만든 자연경관의 지표면(오름, 용출수 등)에, 인간의 의지로 추가로 만들어 놓은 문화경관(당산숲, 포제단숲, 방사탑 및 마을집, 농경지 등)으로 조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당과 오름을 중심으로 한 이러한 전통적인 제주도 마을공간은, 당산숲과 비보숲으로 이루어져 있는 전통마을숲이 있는 육지의 마을공간과 유사한 모습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육지의 마을 뒷산을 '오름'이 대신하고 있고, 상명리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당산숲 외에 '포제단숲'이라는 장소가 추가되어 있다. 제주도 해안은 대부분 현무암 바위로 이루어져 있어서, 육지에서와 같은 큰 규모의 해안방풍림 등은 볼 수 없었는데, 신흥리의 예와 같이 비보 기능을 갖는 방사탑이 비보숲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제주도의 당이 육지의 당산숲과 달리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아직도 신당이 실생활에 살아있고, 신앙인이 있다는 점과, 2009년에 제주칠머리당영등굿이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인류의 문화유산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신당은 근래에 이르러 관광객을 위한 해안도로 개설, 올렛꾼을 위한 올레 코스 정비 등으로 인하여 급속히 훼손되어 사라지고 있다. 베니스헌장 등 세계문화유산과 관련한 국제적 논의에서, 진정성과 함께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문화유산의 향유권이 다음 세대에도 지속가능하게 이어질 수 있도록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가의 여부이다. 당 문화의 관리체계 확립을 위해 주민, 도시민, 지방자치단체, 정부의 노력이 제고된다면, 당과 오름을 중심으로 한 제주도 농어촌마을은 살아있는 전통문화경관을 지닌 곳으로서 국제적 인정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